오근과 육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41번째 줄:
指「眼處、耳處、鼻處、舌處、身處、意處」,即「六根」,另譯為「六入處、內六入、內六入處、六內入處、六入、六情、諸入、六觸入處、六觸處、六更樂處」。
<br />六更觸:
另譯作「六觸入處」,南傳作「六觸處」」(channaṃ phassāyatanānaṃ),菩提比丘長老英譯為「六個適於觸的基地」(the six bases for contact)。按:「處」(āyatana),另譯為「入處」,這裡的「觸處」(phassāyatanānaṃ)指的就是(適合)生起「觸」(phassa)的「六處」(saḷāyatana),也就是「眼、耳、鼻、舌、身、意」六根(六處),參看「六處」。"}} 전체적으로 말하면, [[6식]](六識)은 6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의지처, 도구, 감각 기관)로 하여 [[6경 (불교)육경|6경]]을 인식한다. 한편,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의근]] 즉 '[[6식]]의 [[소의]]가 되는 과거의 경험의 총체'가 실제로는 [[8식]] 가운데 [[제7식]]인 [[말나식]]이라고 보는데,{{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6a06 T31n1605_p0666a06 - T31n1605_p0666a10]. 의근(意根)}}{{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20 20 / 159]. 의근(意根)}}{{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6a03 T31n1605_p0666a03 - T31n1605_p0666a15]. 심(心)·의(意)·식(識)|ps=<br />"云何建立識蘊。謂心意識差別。何等為心。謂蘊界處習氣所熏。一切種子阿賴耶識。亦名異熟識。亦名阿陀那識以能積集諸習氣故。何等為意謂一切時緣阿賴耶識思度為性。與四煩惱恒相應。謂我見我愛我慢無明。此意遍行。一切善不善無記位。唯除聖道現前若處滅盡定及在無學地又六識以無間滅識為意。何等為識。謂六識身。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何等眼識。謂依眼緣色了別為性。何等耳識。謂依耳緣聲了別為性。何等鼻識。謂依鼻緣香了別為性。何等舌識。謂依舌緣味了別為性。何等身識。謂依身緣觸了別為性。何等意識。謂依意緣法了別為性。"}}{{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9 19-20 / 159]. 심(心)·의(意)·식(識)|ps=<br />"어떻게 식온(識蘊)을 건립한다고 말합니까?
<br />심(心)ㆍ의(意)ㆍ식(識)의 차별을 가리킨다.
<br />어떠한 것을 심(心)이라 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