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8번째 줄:
  번뇌심소는 탐(貪)·진(瞋)·<br />
  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이다.<sup style="color: blue">124)</sup>
<br />논하여 말한다. 이 탐 등 여섯 가지는 체성이 근본번뇌에 포함되기 때문에 번뇌심소라고 이름한다.<br /><sup style="color: blue">124)</sup> 번뇌심소 여섯 가지를 밝힌다. 모든 번뇌의 근간인 근본번뇌를 일으키는 심소이다."}} 이들 중 [[무명 (마음작용)|무명]](無明)은 [[치 (마음작용)|치]](癡)라고도 하며, [[견 (불교)|견]](見)은 모든 [[견해 (불교)|견해]]를 말하는 것이 아니며 [[악견 (마음작용)|악견]](惡見) 즉 [[부정견 (마음작용)|부정견]](不正見), 즉 [[유신견]]{{.cw}}[[변집견]]{{.cw}}[[사견]]{{.cw}}[[견취]]{{.cw}}[[계금취]]의 [[5견]](五見)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7%BC%EB%B3%B8%EB%B2%88%EB%87%8C&rowno=1 根本煩惱(근본번뇌)]".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ps=<br>"根本煩惱(근본번뇌):
↔수번뇌(隨煩惱). 또는 본번뇌(本煩惱)ㆍ근본혹(根本惑)ㆍ본혹(本惑). 모든 번뇌 가운데서 그 근본이고 자체인 6종의 번뇌. 탐(貪)ㆍ진(瞋)ㆍ치(痴)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을 말한다. 이 가운데서 악견을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5견으로 나누어, 모두 10번뇌를 10사(使)라고도 하며, 처음 5번뇌를 5둔사(鈍使), 뒤의 5번뇌인 5견을 5리사(利使)라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7555&categoryId=2886 근본번뇌(根本煩惱)]".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ps=<br>"근본번뇌(根本煩惱):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되는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을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723&DTITLE=%AE%DA%A5%BB%B7%D0%B4o 根本煩惱]".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ps=<br />"根本煩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