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행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6번째 줄:
 有部主張,行者入見道之前,可以六行觀斷除修惑之一分,而入於見道。據俱舍論卷二十四載,於無間道時,緣自地(自己現在之境位)與次下地之諸有漏法,觀粗、苦、障等三行相之一;於解脫道中,緣次上地之諸有漏法,觀靜、妙、離等三行相之一,如是則可斷除次下地之惑。合其上下,共須觀六行相,故稱六行觀。<br>
 另據禪波羅蜜次第法門卷五所載,厭下地之苦、粗、障,欣上地之勝、妙、出,依此六法修行,是為六行觀,其一一之觀法為:(一)厭粗觀,思惟欲界五塵能起眾惡,是為因粗。而此身為屎、尿等三十六種臭穢之物所成就,是為果粗。粗因粗果,皆須厭惡。(二)厭苦觀,思惟身中所起心數緣於貪欲,不能出離,是為因苦。而欲界報身常受饑渴寒熱、病痛刀杖等種種所逼,是為果苦。苦因苦果,皆須厭惡。(三)厭障觀,思惟煩惱障覆真性,是為因障。而此身質礙,不得自在,是為果障。因障果障,皆須厭惡。(四)欣勝觀,厭惡欲界下劣貪欲之苦,欣喜初禪上勝禪定之樂。(五)欣妙觀,厭惡欲界貪欲五塵之樂,心亂馳動,欣喜初禪禪定之樂,心定不動,是為因妙。厭惡欲界臭穢之身,欣喜受得初禪之身,如鏡中像,雖有形色,無有質礙,是為果妙。因妙果妙,皆可欣喜。(六)欣出觀,厭惡欲界煩惱蓋障,欣喜初禪心得出離,是為因出。厭惡欲界之身質礙不得自在,欣喜初禪獲得五通之身自在無礙,是為果出。因出果出,皆可欣喜。<br>
 依此上下對望之欣厭力,能斷下八地之惑,不能斷第九地(有頂地)之惑。斷有頂地之惑,必依觀四諦之無漏智,因無漏智勢力強,能對治自地之惑及上地之惑。此六法入觀之順序,係隨斷惑者之意而定,不必依無間道之厭粗觀與解脫道之欣靜觀對應之順序。唯識宗認為,六行觀能伏住煩惱,不令起現行,然無法斷除煩惱之種子。〔俱舍論卷二十三、卷二十四、卷二十八、大毘婆沙論卷六十四、卷一六五、天台四教儀集註卷中本之四〕 p1263"}} '''행관'''(行觀)에서 [[행 (불교)|행]](行)은 진취(進趣) 즉 {{nowrap|'나아가서}} {{nowrap|다다름'}}을 뜻하고 [[관 (불교)위파사나|관]](觀)은 [[관찰 (불교)|관찰]]을 뜻하며, 따라서 [[행관]]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관찰 (불교)|관찰]]로 나아가서 [[관찰 (불교)|관찰]]에 다다른다는 것으로, [[관찰 (불교)|관찰]] 수행을 행하는 것 즉 [[비파사나]] 수행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40541/%E8%A1%8C%E8%A7%80 行觀]". 2013년 5월 27일에 확인|ps=<br>"行觀: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br>解釋: 行即進趣之義。謂別教菩薩,於十行位中,修習假觀,故名行觀。(十行者,歡喜行、饒益行、無瞋恨行、無盡行、離癡亂行、善現行、無著行、尊重行、善法行、真實行也。假觀者,謂觀一切法,無不具足也。)"}}
 
《[[대비바사론]]》 제64권과 제163권 그리고 《[[구사론]]》 제24권에 따르면,
각각의 [[지 (불교)|지]](地)의 [[무간도]](無間道)에서 [[자지 (불교)|자지]](自地)와 그것의 바로 다음의 [[하지 (불교)|하지]](下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추 (6행관)|추]]'''(麤){{.cw}}'''[[불교 용어 목록/경#고|고]]'''(苦){{.cw}}'''[[장 (6행관)|장]]'''(障)이라고 [[관 (불교)위파사나|관]]하여 그 결과 [[하지 (불교)|하지]]를 [[염 (선심소)|염]](厭: 싫어함)하고, [[해탈도]](解脫道)에서 [[자지 (불교)|자지]](自地)의 [[상지 (불교)|상지]](上地)의 온갖 [[유루법]]에 대해 '''[[정 (6행관)|정]]'''(靜){{.cw}}'''[[묘 (6행관)|묘]]'''(妙){{.cw}}'''[[리 (6행관)|리]]'''(離)라고 [[관 (불교)위파사나|관]]하여 [[상지 (불교)|상지]]를 [[흔 (선심소)|흔]](欣: 좋아함, 즐거이 구함)한다. 이와 같이 6가지로 [[관찰 (불교)|관찰]]하여 [[하지 (불교)|하지]]를 [[염 (선심소)|염]](厭)하고 [[상지 (불교)|상지]]를 [[흔 (선심소)|흔]](欣)함으로써 '[[자지 (불교)|자지]](自地)의 [[번뇌]]' 즉 '[[자지 (불교)|자지]](自地)의 [[수혹]]'을 [[끊기]] 때문에 [[6행관]]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D%96%89%EA%B4%80&rowno=1 六行觀(육행관)]". 2013년 5월 27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04&DTITLE=%A4%BB%A6%E6%C6%5B 六行觀]". 2013년 5월 27일에 확인}}{{sfn|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loc=제6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7n1545_p0330a26 T27n1545_p0330a26 - T27n1545_p0330b13]. 6행관(六行觀)|ps=<br>"問以世俗道離諸染時。無間解脫有幾行相。答諸無間道有三行相。一麤行相。二苦行相。三障行相。諸解脫道有三行相。一靜行相。二妙行相。三離行相。問無間道中何行相後。起解脫道何行相耶。有作是說。從麤行。相無間道後。起靜行相為解脫道。從苦行相無間道後。起妙行相為解脫道。從障行相無間道後。起離行相為解脫道。有餘師說。從麤行相無間道後。起妙行相為解脫道。從苦行相無間道後。起靜行相為解脫道。從障行相無間道後。起離行相為解脫道。麤妙苦靜障離對故。評曰。此事不定。從麤行相無間道後。容起靜等三種行相為解脫道。從苦行相無間道。後容起妙等三種行相為解脫道。從障行相無間道後。容起離等三種行相為解脫道。以此六種有漏行相隨離染者所樂起故。"}}{{sfn|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loc=제16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7n1545_p0823c12 T27n1545_p0823c12 - T27n1545_p0823c28]. 6행관(六行觀)|ps=<br>"定蘊第七中緣納息第二之二<br>淨初靜慮有四種。謂順退分。順住分。順勝進分。順決擇分。順退分者。謂若住此多分退失。順住分者。謂若住此多分不退失不勝進。順勝進分者。謂若住此多分勝進。順決擇分者。謂若住此多分能入正性離生。復次順退分者。與諸煩惱相陵相雜煩惱無間此現前此無間煩惱現前。順住分者。能觀下地為麤苦障而生厭背。能觀自地為靜妙離而樂安住。順勝進分者。能觀自地為麤苦障而生厭背。能觀上地為靜妙離而生欣樂。順決擇分者。即煖頂忍世第一法等。復次順退分者。隨順煩惱。順住分者。隨順自地。順勝進分者。隨順上地。順決擇分者。隨順聖道。此分或作聖行相。或作餘行相而向聖道趣於解脫。如初靜慮乃至有頂隨應亦爾。"}}{{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27c14 T29n1558_p0127c14 - T29n1558_p0127c27]. 세간도(世間道)|ps=<br>"諸出世道無間解脫前既已說。緣四諦境十六行相義准自成。世道緣何作何行相。頌曰。
<br>  世無間解脫  如次緣下上
<br>  作麤苦障行  及靜妙離三
294번째 줄:
==같이 보기==
 
* [[관 (불교)위파사나|관]](觀) - [[비파사나]]{{.cw}}[[위빠사나]]
* [[지관 (불교)|지관]](止觀)
* [[현관 (불교)|현관]](現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