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2번째 줄: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다음의 10가지 [[마음작용]]이 대지법을 구성한다.{{sfn|권오민|2003|pp=69-81}}{{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1 161-163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C%80%EC%A7%80%EB%B2%95&rowno=1 大地法(대지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859&DTITLE=%A4j%A6a%AAk 大地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
 
# [[수 (대지법)|수]](受): [[지각 (심리학)|지각]][領納], [[삼수 (불교)|고]]{{.cw}}[[삼수 (3수불교)|낙]]{{.cw}}[[불고불락 (3수)|불고불락]]을 [[감수작용|느낌]]{{sfn|권오민|2003|pp=69-81. 수受·상想·사思|ps=<br>"'먼저 '수受'란 대상에 대해 나쁘다(苦), 좋다(樂), 나쁘지도 않고 좋지도 않다(不苦不樂)고 지각하는 감수작용을, '상想'은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파악하는 표상작용을, '사思'는 마음으로 하여금 선·불선·무기를 조작하게 하는 의지작용을 말하는데, 이 세 가지는 5온蘊 가운데 수·상·행온行蘊에 해당한다. '행(samskara)'이란 넓은 뜻으로 보면 유위의 현상세계를 조작하는 일체一切의 유위법有爲法을 의미하지만, 좁은 뜻으로 본다면 유정의 삶을 이끌어 가는(혹은 조작하는) 의지를 말하기 때문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17 T29n1558_p0019a17 - T29n1558_p0019a18]. 수(受)|ps=<br>"受謂三種領納苦樂俱非有差別故。"}}{{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2 162-163 / 1397]. 수(受)|ps=<br>"수(受)란 이를테면 세 가지의 종류를 말하니, 고(苦)와 낙(樂)과 양자 모두 아닌 것(즉 不苦不樂)을 영납(領納)하는 데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수(vedanā)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낙(樂, 快의 增益)·불고불락을 감수하는 의식작용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a29 T29n1562_p0384a29 - T29n1562_p0384b01]. 수(受)|ps=<br>"於所依身。能益能損。或俱相違。領愛非愛俱相違觸。說名為受。"}}{{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0 440 / 3087]. 수(受)|ps=<br>"소의신을 능히 증익(增益)하거나 감손(減損)하거나 혹은 두 가지 모두와 상위(相違)하는 것(증익하지도 않고 감손하지도 않는 것)으로서, 애호(愛護)할 만한 것이거나 애호할 만한 것이 아니거나 두 가지 모두와 상위하는 촉(觸)을 영납(領納)하는 것을 일컬어 ‘수(受)’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15)</sup><br><sup style="color: blue">15)</sup> 수(vedana)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ㆍ낙(樂, 快의 增益)ㆍ불고불락을 감수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br>{{llang|sa|[[:en:vedanā|<span style="color: black">vedanā</span>]]}}, {{llang|pi|[[:en:vedanā|<span style="color: black">vedanā</span>]]}}, {{llang|en|[[:en:feeling|<span style="color: black">feeling</span>]]}}, [[:en:sensation|<span style="color: black">sensation</span>]], [[:en:perception|<span style="color: black">perception</span>]]
# [[상 (대지법)|상]](想): [[표상]][取像], [[차별상|차이]]를 [[인식 (불교)|인식]][取差別相], [[개념화]]{{sfn|권오민|2003|pp=69-81. 수受·상想·사思}}{{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18 T29n1558_p0019a18]. 상(想)|ps=<br>"想謂於境取差別相。"}}{{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상(想)|ps=<br>"상(想)이란 이를테면 대상[境]에 대한 차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는 의식작용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b01 T29n1562_p0384b01 - T29n1562_p0384b02]. 상(想)|ps=<br>"安立執取男女等境差別相因。說名為想。"}}{{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0 440 / 3087]. 상(想)|ps=<br>"남ㆍ여 등 경계대상의 차별상을 집취(執取) 안립(安立)하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상(想)’이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16)</sup><br><sup style="color: blue">16)</sup>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여 설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을 말한다. "}}<br>{{llang|sa|[[:en:saṃjñā|<span style="color: black">saṃjñā</span>]]}}, {{llang|pi|[[:en:sañña|<span style="color: black">sañña</span>]]}}, {{llang|en|[[:en:conception|<span style="color: black">conception</span>]]}}
# [[사 (대지법)|사]](思): [[의지]], [[의업 (불교)|의업]](意業), [[선 (3성)|선]]{{.cw}}[[불선 (3성)|불선]]{{.cw}}[[무기 (3성)|무기]]를 지음{{sfn|권오민|2003|pp=69-81. 수受·상想·사思}}{{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18 T29n1558_p0019a18 - T29n1558_p0019a19]. 사(思)|ps=<br>"思謂能令心有造作。"}}{{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사(思)|ps=<br>"사(思)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조작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사(cetanā)라고 하는 것은 마음으로 하여금 선·불선·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意業]의 의식작용이다. "}}{{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b02 T29n1562_p0384b02 - T29n1562_p0384b04]. 사(思)|ps=<br>"令心造作善不善無記成妙劣中性說名為思。由有思故。令心於境有動作用。猶如磁石勢力能令鐵有動用。"}}{{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0 440-441 / 3087]. 사(思)|ps=<br>"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하게 하여, 뛰어나거나 열등하거나 혹은 뛰어나지도 열등하지도 않은[中] 성질을 성취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사(思)’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17)</sup> 즉 이러한 ‘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이 대상에 대해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되는 것으로, 마치 자석의 세력이 능히 쇠붙이로 하여금 움직이는 작용을 갖게 하는 것과 같다.<br><sup style="color: blue">17)</sup> 사(cetanā)란 마음으로 하여금 선ㆍ불선ㆍ무기를 조작(造作)하게 하는 의사 혹은 의지의 의식작용으로, 유부에 의하면 이는 의업(意業)의 본질이다."}}<br>{{llang|sa|[[:en:cetanā|<span style="color: black">cetanā</span>]]}}, {{llang|pi|[[:en:cetanā|<span style="color: black">cetanā</span>]]}}, {{llang|en|[[:en:volition|<span style="color: black">volition</s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