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불상응행법 (아비달마순정리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1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2)</sup> 즉 어떤 이는 ‘득’ 등에 대해 온득(蘊得)ㆍ처득(處得)ㆍ계득(界得)을 별도로 분별하고 있지만, 이는 ‘득’과 본질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라 한 종류라고 생각해야 한다는 뜻."}}
 
그리고, [[중현]]은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법 (불교)|법]]으로 [[득 (불교)|득]](得){{.cw}}[[비득 (불상응행법)|비득]](非得){{.cw}}[[중동분|동분]](同分){{.cw}}[[무상천|무상과]](無想果){{.cw}}[[무상정 (불상응행법)|무상정]](無想定){{.cw}}[[멸진정|멸진정]](滅盡定){{.cw}}[[명근|명]](命){{.cw}}[[생 (불상응행법)|생]](生){{.cw}}[[주 (불상응행법)|주]](住){{.cw}}[[이 (4상)|이]](異){{.cw}}[[멸 (4상)|멸]](滅){{.cw}}[[명신|명신]](名身){{.cw}}[[구신|구신]](句身){{.cw}}[[문신 (불상응행법)|문신]](文身){{.cw}}[[화합성 (불상응행법)|화합성]](和合性)의 15가지를 들고 있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96c07 T29n1562_p0396c07 - T29n1562_p0396c19].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2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538 538-539 / 3087].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715&DTITLE=%A4%DF%A4%A3%AC%DB%C0%B3%A6%E6 心不相應行]". 2013년 1월 11일에 확인|ps=<br>"心不相應行: 梵語 citta-viprayukta-sajskāra,巴利語 citta-vippayutta-dhamma。乃俱舍家、唯識家等對於一切諸法所立五位分類中之第四位。又作心不相應行蘊、非色非心不相應行法、非色不相應行蘊、心不相應法、不相應行法、不相應行、不相應。指不屬於色、心二法,與心不相應之有為法之聚集。依小乘說一切有部之義,在色、心及心所之外,另有與心不相應之實法,其體係有為法,又為五蘊中之行蘊所攝,故稱心不相應行。經部、唯識等則主張不相應行乃於色心之分位所假立者,並非實法。<br>
 心不相應行之數,大小乘均有異說。小乘俱舍家舉出得、非得、同分、無想果、無想定、滅盡定、命根、生、住、異、滅、名身、句身、文身等十四種不相應行法。順正理論卷十二加上和合性,而立十五不相應行法之說。品類足論卷一則舉出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性、名身、句身、文身等十六法。此外,分別部及犢子部等,將隨眠亦計為不相應法。大乘唯識家中,瑜伽師地論卷三舉出得、無想定、滅盡定、無想異熟、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流轉、定異、相應、勢速、次第、時、方、數、和合及不和合等二十四種不相應行法,大乘阿毘達磨集論卷一除去不和合而立二十三不相應行法之說。大乘五蘊論則舉出得、無想等至、滅盡等至、無想所有、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等十四法。〔俱舍論卷四、卷十九、入阿毘達磨論卷上、顯揚聖教論卷二、卷十八、成唯識論卷一、卷二、大毘婆沙論卷二十二、卷四十五、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俱舍論光記卷四、成唯識論演祕卷二末〕(參閱「五位七十五法」089、「五位百法」)"}}
 
47번째 줄:
|《아비달마순정리론》, 제12권. 538쪽.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538 한글본]}}
 
위의 인용문에서 나타난 바대로, 먼저 [[중현]]은 [[심불상응행법]]에 속하는 [[법 (불교)|법]]들로 [[득 (불교)|득]](得){{.cw}}[[비득 (불상응행법)|비득]](非得){{.cw}}[[중동분|동분]](同分){{.cw}}[[무상천|무상과]](無想果){{.cw}}[[무상정 (불상응행법)|무상정]](無想定){{.cw}}[[멸진정|멸진정]](滅盡定){{.cw}}[[명근|명]](命){{.cw}}[[생 (불상응행법)|생]](生){{.cw}}[[주 (불상응행법)|주]](住){{.cw}}[[이 (4상)|이]](異){{.cw}}[[멸 (4상)|멸]](滅){{.cw}}[[명신|명신]](名身){{.cw}}[[구신|구신]](句身){{.cw}}[[문신 (불상응행법)|문신]](文身){{.cw}}[[화합성 (불상응행법)|화합성]](和合性)의 15가지를 들고 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모든 법들은, 무엇보다도, [[마음 (불교)|마음]](심)과 상응하지 않기[不與心相應] 때문에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라 명명한 것이다. 그리고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다는 것[不與心相應]이란, [[마음작용]](심소)들이 [[마음 (불교)|마음]]이 현재 인연하고 있는 동일한 [[소의]](所依: 즉 6근)와 [[소연 (불교)|소연]](所緣: 즉 6경)을 인연하여 [[마음 (불교)|마음]]과 동등한 관계로서 [[마음 (불교)|마음]]과 [[상응]]하여 일어나는 것임에 비해,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법 (불교)|법]]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143번째 줄:
 
===(5) 무상정(無想定)===
[[무상정 (불상응행법)|무상정]](無想定, {{llang|sa|[[:en:asaṃjñi-samāpatti|<span style="color: black">asaṃjñi-samāpatti</span>]]}})은 [[무상과]]와 마찬가지로 [[심 (불교)|심]]{{.cw}}[[심소]]를 소멸시키는 법이다. [[무상정]]과 [[무상과]]는 [[심 (불교)|심]]{{.cw}}[[심소]]를 소멸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무상정]]과 [[무상과]]는 각각 [[이숙인]]과 [[이숙과]]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401a02 T29n1562_p0401a02 - T29n1562_p0401b13]. 무상정(無想定)|ps=<br>"無想定。其相云何。頌曰。
  如是無想定  後靜慮求脫
  善唯順生受  非聖得一世<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