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번째 줄:
{{불교}}
 
'''6사신'''(六思身, {{llang|sa|[[:en:ṣaṭ cetanā-kāyāḥ|<span style="color: black">ṣaṭ cetanā-kāyāḥ</span>]]}})은 [[심조작]](心造作) 즉 [[마음 (불교)|마음]]으로 하여금 [[의업]](意業)을 짓고 만들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體]로 하고, [[마음 (불교)|마음]]으로 하여금 [[선 (3성)|선]]{{.cw}}[[불선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에 대해 작용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작용]][業]으로 하는 [[마음작용]]인 [[사 (마음작용)|사]](思: 의지, 의사)를 그것의 [[발동근거]]인 [[6근]](六根)에 따라 6종으로 나눈 것이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4a24 T31n1605_p0664a24 - T31n1605_p0664a25]. 사(思)|ps=<br>"何等為思。謂於心造作意業為體。於善不善無記品中役心為業。"}}{{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8 8 / 159]. 사(思)|ps=<br>"어떠한 것이 사(思)심소법입니까?
<br>마음을 조작하는 의업(意業)이 그 바탕이다. 선품ㆍ불선품ㆍ무기품 가운데에서 그 마음을 부리는 것으로 업(業)을 이루게 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2|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2_p0848c13 T31n1612_p0848c13 - T31n1612_p0848c14]. 사(思)|ps=<br>"云何為思。謂於功德過失及俱相違。令心造作意業為性。"}}{{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618, T.1612|loc=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1&startNum=3 3 / 12]. 사(思)|ps=<br>"어떤 것이 사(思)인가. 공덕과 과실과 두 가지가 아닌 것에 대해 마음을 조작하게 하는 의업(意業)을 자성으로 삼는 것이다."}}{{sfn|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T.1613|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3_p0851c13 T31n1613_p0851c13 - T31n1613_p0851c16]. 사(思)|ps=<br>"云何思。謂於功德過失。及以俱非。令心造作意業為性。此性若有。識攀緣用。即現在前。猶如磁石引鐵令動。能推善不善無記心為業。"}}{{sfn|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K.619, T.1613|loc=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2&startNum=5 5 / 24]. 사(思)|ps=<br>"무엇을 사유[思]라고 하는가?
<br>공덕과 과실 및 둘 다 아닌 것에 대하여 마음으로 하여금 작의의 업을 짓게 하는 것을 성질로 한다. 이 성질이 만약 있다면 식이 용을 반연하여 지금 바로 앞에 드러나게 한다. 마치 자석이 쇠를 끌어서 움직이게 하는 것과 같다. 능히 선{{.cw}}불선{{.cw}}무기심으로 옮기게 하는 것이 행동양식이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4a13 T31n1605_p0664a13 - T31n1605_p0664a23]. 행온(行蘊)|ps=<br>"云何建立行蘊。謂六思身。眼觸所生思。耳觸所生思。鼻觸所生思。舌觸所生思。身觸所生思。意觸所生思。由此思故思作諸善。思作雜染。思作分位差別。又即此思除受及想與餘心所法心不相應行。總名行蘊。何等名為餘心所法。謂作意觸欲勝解念三摩地慧信慚愧無貪無瞋無癡勤安不放逸捨不害貪瞋慢無明疑薩迦耶見邊執見見取戒禁取邪見忿恨覆惱嫉慳誑諂憍害無慚無愧惛沈掉舉不信懈怠放逸忘念不正知散亂睡眠惡作尋伺。"}}{{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2,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7 7-8 / 159]. 행온(行蘊)|ps=<br>"어떻게 행온을 건립하게 됩니까?
331번째 줄:
** [[수번뇌]]
*** [[8전]]{{.cw}}[[10전]]{{.cw}}[[6번뇌구]]
* [[유부무기]]와 [[불선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불선]]
** [[유부무기]]
*** [[욕계의 번뇌]]의 일부{{.cw}}[[색계의 번뇌]]{{.cw}}[[무색계의 번뇌]]
*** [[4근본번뇌]] ([[말나식]]의 [[4번뇌]]: [[아치 (불교)|아치]]{{.cw}}[[아견]]{{.cw}}[[아만]]{{.cw}}[[아애]])
** [[불선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불선]]{{.cw}}[[악 (3성)|악]]
*** [[욕계의 번뇌]]의 대다수
*** [[불선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