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4번째 줄: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정 (마음작용)|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불교)|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計){{.cw}}계탁{{.cw}}분별{{.cw}}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인 '''그릇된 헤아림'''의 뜻으로 사용된다.
 
즉,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은 [[미혹]]한 상태의 [[제6의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轉依: 識이 智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 (불교)인간도|사람]][人: 즉 5온의 가화합]과 [[법 (불교)|법]](法)에 대해 [[실아]](實我)가 존재하고 [[실법]](實法)이 존재한다라고 두루[遍] 헤아리는 것, 즉 자신과 주위의 모든 사물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9%81%8D%E8%A8%88&rowno=1 能遍計(능변계)]".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能遍計(능변계):
↔소변계(所遍計). 모든 법에 대하여 두루 계탁(計度)한다는 뜻. 계탁이란 자기의 미정(迷情)을 토대로 생멸 변화가 무상한 사람과 법에 대하여, 실아(實我)가 있고 실법(實法)이 있다는 허망한 생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계탁하는 것은 마음이거니와, 마음 가운데서도 두루 계탁하는 것은 제6식이다. 제7식도 허망하게 계탁은 하지만 두루하지는 않는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705&DTITLE=%B9M%ADp%A9%D2%B0%F5%A9%CA 遍計所執性]".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遍計所執性:
 梵語 parikalpita-svabhāva。乃唯識宗所立三性之一。又稱遍計所執相、分別性、分別相、妄計自性、妄分別性。略稱遍計所執、計所執、所執性。凡夫於妄情上,遍計依他起性之法,乃產生「實有我、實有法」之妄執性。由此一妄執性所現之相,僅能存於妄情中,而不存於實理之中,故稱「情有理無」之法、「體性都無」之法。此種分別計度之妄執性乃周遍於一切境者,故以「遍計」稱之。〔解深密經卷二、瑜伽師地論卷七十四、成唯識論卷八〕(參閱「三性」563) p5617"}} 달리 말하면, [[제6의식]]이 자신의 [[인식대상]]인 [[일체만법]]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의 [[2가지 집착]][二執]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900&DTITLE=%AF%E0%B9M%ADp 能遍計]". 2013년 3월 2일에 확인|ps=<br>"能遍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