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1번째 줄:
# [[작의 (대지법)|작의]](作意): 경각(警覺), 대상을 향함, 주의(注意), 유의(留意){{sfn|권오민|2003|pp=69-81. 작의作意|ps=<br>"'작의作意'는 주의·경각의 작용으로, 이것이 마음을 자극함으로써 대상으로의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21 T29n1558_p0019a21]. 작의(作意)|ps=<br>"作意謂能令心警覺。"}}{{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작의(作意)|ps=<br>"작의(作意)란 이를테면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작의(manasika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경각(警覺, 곧 留意)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b08 T29n1562_p0384b08 - T29n1562_p0384b09]. 작의(作意)|ps=<br>"引心心所。令於所緣有所警覺。說名作意。此即世間說為留意。"}}{{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1 441 / 3087]. 작의(作意)|ps=<br>"심ㆍ심소를 인기(引起)하여 소연에 대해 경각(警覺)하게 하는 것을 일컬어 작의(作意)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22)</sup> 이것을 세간에서는 ‘유의(留意)’라고도 말한다.<br><sup style="color: blue">22)</sup> 작의(manaskāra)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거나 경각(警覺)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br>{{llang|sa|[[:en:manasikāra|<span style="color: black">manasikāra</span>]]}}, {{llang|pi|[[:en:manasikāra|<span style="color: black">manasikāra</span>]]}}, {{llang|en|[[:en:attention|<span style="color: black">attention</span>]]}}
# [[승해 (대지법)|승해]](勝解): 인가(印可: 대상이 옳음을 소상하게 밝혀 인정함<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803500 인가(印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ref>), 인가(認可: 인정하여 허가함<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803800 인가(認可)]",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ref>), 결정{{sfn|권오민|2003|pp=69-81. 승해勝解|ps=<br>"'승해勝解'는 어떤 대상에 대해 그것을 인가하고 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21 T29n1558_p0019a21 - T29n1558_p0019a22]. 승해(勝解)|ps=<br>"勝解謂能於境印可。"}}{{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승해(勝解)|ps=<br>"승해(勝解)란 이를테면 능히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승해(adhimukti)란 대상에 대해 인가(印可)·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b09 T29n1562_p0384b09 - T29n1562_p0384b11]. 승해(勝解)|ps=<br>"於境印可。說名勝解。有餘師言。勝謂增勝。解謂解脫。此能令心。於境無礙自在而轉。如勝戒等。"}}{{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1 441 / 3087]. 승해(勝解)|ps=<br>"경계대상에 대해 인가(印可)하는 것을 일컬어 승해(勝解)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23)</sup> 이에 대해 유여사는 “‘승’이란 증성(增勝)을 말하며, ‘해’란 해탈을 말한다”고 하였다. 즉 이것은 능히 마음으로 하여금 경계대상에서 막힘없이 무애 자재하게 일어나게 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승계(勝戒, 뛰어난 계)’라고 하는 것과 같다.<br><sup style="color: blue">23)</sup> 승해(adhimukti)란 마음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인가(忍可=認可) 결정하게 하는 의식작용이다. "}}<br>{{llang|sa|[[:en:adhimokṣa|<span style="color: black">adhimokṣa</span>]]}}, {{llang|pi|[[:en:adhimokkha|<span style="color: black">adhimokkha</span>]]}}, {{llang|en|[[:en:decision|<span style="color: black">decision</span>]]}}
# [[삼마지불교 (대지법)용어 목록/삼#삼마지|삼마지]](三摩地): 삼매, 심일경성(心一境性), 전념(專念: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씀<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929900 전념(專念)]",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1일에 확인.</ref>), 집중{{sfn|권오민|2003|pp=69-81. 삼마지三摩地|ps=<br>"'삼마지三摩地(samadhi, 혹은 삼매)'란 마음을 어떤 한 대상에 전념 집중하게 하는 의식작용으로,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도 이 같은 삼마지에 의해 산란되지 않고 한결같게 된다는 것이다. "}}{{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9a22 T29n1558_p0019a22]. 삼마지(三摩地)|ps=<br>"三摩地謂心一境性。"}}{{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3 163 / 1397]. 삼마지(三摩地)|ps=<br>"삼마지(三摩地)란 이를테면 심일경성(心一境性)을 말한다.<sup style="color: blue">18)</sup><br><sup style="color: blue">18)</sup>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는 것이다.'"}}{{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1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384b11 T29n1562_p0384b11 - T29n1562_p0384b12]. 삼마지(三摩地)|ps=<br>"令心無亂。取所緣境。不流散因。名三摩地。"}}{{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10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441 441-442 / 3087]|ps=<br>"마음으로 하여금 산란됨이 없이 소연의 경계를 취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근거를 일컬어 삼마지(三摩地)라고 한다.<sup style="color: blue">24)</sup><br><sup style="color: blue">24)</sup> 삼마지(samādhi)란 마음을 평등(平等)하게 유지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하나의 대상에 전념하게 하는 의식작용[心一境性]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마치 뱀이 죽통(竹筒)에 들어가면 바로 펴지듯이 마음이 삼마지에 들면 산란되지 않고 바로 곧게 전이하게 되는 것이다.’"}}<br>{{llang|sa|[[:en:samādhi|<span style="color: black">samādhi</span>]]}}, {{llang|pi|[[:en:samādhi|<span style="color: black">samādhi</span>]]}}, {{llang|en|[[:en:concentration|<span style="color: black">concentration</span>]]}}
 
==용어==
40번째 줄:
대지법은 일체(一切)의 [[마음 (불교)|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두루 함께[大]' 일어나는 [[마음작용]](심소법)을 말한다. 여기서 '일체(一切)의 마음'은 [[선 (불교철학)|선]](善){{.cw}}[[불선]](不善){{.cw}}[[무기 (불교)|무기]](無記)의 [[삼성 (불교)|삼성]](三性)의 기준에서의 [[선 (불교철학)|선한]] 마음, [[불선|악한]](불선) 마음, [[무기 (불교)|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무기) 마음을 말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61 161-163 / 1397]}}{{sfn|권오민|2003|pp=69-81}}{{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C%80%EC%A7%80%EB%B2%95&rowno=1 大地法(대지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859&DTITLE=%A4j%A6a%AAk 大地法]". 2012년 9월 24일에 확인}} 따라서, 대지법은 [[마음 (불교)|마음]](6식, 즉 6종의 의식의 하나 혹은 다수)이 일어난 경우 그것이 [[선한 마음]]이건 [[악한 마음]]이건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마음]]이건 간에 상관없이 그 [[마음 (불교)|마음]]과 더불어 언제나 발견할 수 있는 [[마음작용]]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대지법이란 [[마음 (불교)|마음]](6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항상 가지고 있으며 언제나 발휘하는 본질적{{.cw}}생래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선 (불교철학)|선]](善)과 [[불선]](不善), 즉 [[무루]](無漏)와 [[유루]](有漏)의 관점에서 보면, 대지법 즉 이들 10가지 [[마음작용]]들은 다른 [[마음작용]]들과 함께 하여 결과적으로 [[선 (불교철학)|선]](예를 들어, [[무탐]]이나 [[불방일]])도 될 수도 있고 [[불선]](예를 들어, [[탐 (불교)|탐]]이나 [[방일]])도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선 (불교철학)|선]]([[무루]])도 [[불선]]([[유루]])도 아닌 [[무기 (불교)|무기]](無記)이다.<ref group="주해">불교의 법체계에 따르면 [[불선]](不善)(예를 들어, [[탐 (불교)|탐]])이 [[선 (불교철학)|선]](善)(예를 들어, [[무탐]])이 되는 경우는 없다. 다만, 불선을 떠나고 선을 일으키는 것은 언제나 가능하다. 이런 의미에서는 불선이 선이 된다는 '표현'도 인정된다. 예를 들어, 탐욕을 일으켜 크게 고생을 한 후에 무탐을 일으키게 되었다면 결과적으로 불선이 선이 된 것인데, 그렇다고 해서 예전의 탐욕 자체가 무탐으로 변한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불선이 선이 되었다'는 것은 다만 표현상의 문제, 즉 가설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그 사람이 불선의 마음작용인 탐욕을 떠나고 대신 선의 마음작용인 무탐을 일으킨 것이지 실제로 불선(탐욕)이 선(무탐)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다.<br><br>그리고 불선을 떠나고 선을 일으키는 것이나 그 반대로 선을 떠나고 불선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바로 [[무기 (불교)|무기]](無記)의 성질을 가진 대지법(大地法)이 있기 때문이다. 즉, 마음의 본질적{{.cw}}생래적 능력이면서도 [[무기 (불교)|무기]](無記)의 성질을 가진 [[수 (대지법)|수]](受){{.cw}}[[상 (대지법)|상]](想){{.cw}}[[불교 용어 목록/ㅅ#사(思)|사]](思){{.cw}}[[촉 (대지법)|촉]](觸){{.cw}}[[욕 (대지법)|욕]](欲){{.cw}}[[혜 (대지법)|혜]](慧){{.cw}}[[염 (대지법)|염]](念){{.cw}}[[작의 (대지법)|작의]](作意){{.cw}}[[승해 (대지법)|승해]](勝解){{.cw}}[[삼마지불교 (대지법)용어 목록/삼#삼마지|삼마지]](三摩地)의 10가지 마음작용을 "잘 사용함"으로써 불선을 떠나고 선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며, 10가지 마음작용을 "잘못 사용함"으로써 선을 떠나고 불선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잘 사용한다"는 것은 마음이 [[대선지법]](大善地法) 또는 [[선심소]](善心所)에 속한 [[선 (불교철학)|선]]의 마음작용들과 상응하는 것을 말하고 "잘못 사용한다"는 것은 마음이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또는 [[번뇌심소]](煩惱心所) 등에 속한 [[불선]]의 마음작용들과 상응하는 것을 말한다.
<br><br>그리고, [[무위법|무위]] [[무루법]]인 [[멸제]](열반, 진여, 법성)는 [[유위법|유위]] [[무루법]]인 [[도제]](8정도, 수행)에 의해 [[깨달음|증득]]되는 것이므로, 대지법을 "잘 사용하는 것", 즉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본질적{{.cw}}생래적 능력을 "잘 사용하는 것"은 불교의 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