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번째 줄:
{{불교}}
 
'''8전'''(八纏)은 다음의 8가지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이 8가지 [[번뇌]]들은 여러 [[번뇌]]들 중에서 특히 사람의 [[신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을 얽어매어 [[법 (불교)|사물]](事物) 혹은 [[이와 사|사리]](事理)에 대해 자유롭지 못하게 함으로써 [[삼성 (3성불교)#선·불선·무기|선]](善)을 닦는 것을 장애하기 때문에 '[[전 (불교)|전]](纏)'이라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BA%8F&rowno=5 纏(전)]".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ps=<br>"纏(전): 【범】 paryavasthāna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사람의 몸과 마음을 얽어 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므로 전이라 함. 3전ㆍ8전ㆍ10전 등의 구별이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812&DTITLE=%C4%F1 纏]".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ps=<br>"纏: 梵語 paryavasthāna。指心之纏縛,能妨礙修善。為煩惱(尤指隨煩惱)之異名。無慚、無愧、嫉、慳、悔、睡眠、掉舉、惛沈等八隨煩惱,稱為八纏。八纏加忿、覆,則為十纏。又經部稱煩惱之種子(潛勢位)為隨眠;對此,謂煩惱之現行(顯勢位)為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卷五十、品類足論卷一、雜集論卷七、瑜伽師地論卷八十九〕"}}{{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85%AB%E7%BA%8F&rowno=1 八纏(팔전)]". 2012년 12월 26일에 확인|ps=<br>"八纏(팔전): 전은 얽어맨다는 뜻. 중생을 얽어매는 번뇌의 다른 이름. 무참(無慚)ㆍ무괴(無愧)ㆍ질(嫉)ㆍ간(慳)ㆍ회(悔)ㆍ면(眠)ㆍ도거(掉擧)ㆍ혼침(昏沈)의 여덟 가지 근본 번뇌."}}{{sfn|가전연자 지음, 승가제바·축불념 한역|T.1543|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3_p0771c19 T26n1543_p0771c19 - T26n1543_p0771c26]. 개(蓋)·전(纏)·결(結)|ps=<br>"以何等故世間第一法。不當言欲界繫。答曰。不以欲界道得斷蓋纏。亦不能除欲界結。乃以色界道得斷蓋纏。亦能除欲界結。若以欲界道得斷蓋纏。亦能除欲界結。如是世間第一法當言欲界繫。但不以欲界道得斷蓋纏。亦不能除欲界結。乃以色界道得斷蓋纏。亦能除欲界結。以是故世間第一法不當言欲界繫。"}}{{sfn|가전연자 지음, 승가제바·축불념 한역, 권오민 번역|K.943, T.1543|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04&startNum=7 7-8 / 461]. 개(蓋)·전(纏)·결(結)|ps=<br>"어째서 세간제일법을 욕계에 매인 것이라고 말해서는 안 되는가?
[답] 욕계의 도로써는 개(蓋)<sup style="color: blue">7)</sup>나 전(纏)<sup style="color: blue">8)</sup>을 끊을 수 없으며 또한 욕계의 결(結)<sup style="color: blue">9)</sup>을 제거할 수도 없다. 그러나 색계의 도로써는 개와 전을 끊을 수 있으며, 욕계의 결도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욕계의 도로써 개와 전을 끊을 수 있고, 또한 욕계의 결을 제거할 수도 있다면 이와 같은 세간제일법은 욕계에 매인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욕계의 도로써는 개와 전을 끊을 수 없고 욕계의 결을 제거할 수도 없으며, 바로 색계의 도로써 개와 전을 끊을 수 있고 욕계의 결을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세간제일법은 욕계에 매인 것이라고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br><sup style="color: blue">7)</sup> 범어로는 nīvaraṇa. 마음을 덮어 청정심을 가로막는 것으로, 통상 탐냄(rāga)ㆍ성냄(pratigha)ㆍ게으름(styāna-middha)ㆍ들뜸(auddhatya)ㆍ의심(vicikitsā)의 다섯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