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심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3번째 줄:
따라서, '선심소를 오직 선한 마음과 상응하여 일어날 수 있는 마음작용들의 그룹으로 정의하는 것'은 선심소의 개념이 좀 더 쉽게 와닿을 수 있게 하기 위한 방편적인 개략적인 표현 정도로 봐야 한다.</ref> 보다 정확히 말하면, 그 성질이 [[자성선]](自性善) 또는 [[상응선]](相應善)이면서 [[4일체]](四一切)의 기준에서 보았을 때 같은 성격을 가진 [[마음작용]](심소법)들의 그룹을 말한다. [[불교]]에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란, [[부파불교]]에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보아서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樂報]를 받을만한 것을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라고 하며, [[대승불교]]에서는 현재{{.cw}}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순익(順益)하는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A0&rowno=1319 善(선)]".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 순익(順益)에서 순(順)은 '편안하게 하다, 안락하게 하다, 도리(道理)에 따르게 하다'의 뜻이며,<ref>"[http://hanja.naver.com/small/hanja?q=%E9%A0%86 順]",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ref> 익(益)은 {{nowrap|'이롭게 하다,}} 돕다, 넉넉하게 하다, 향상되게 {{nowrap|하다'의}} 뜻이다.<ref>"[http://hanja.naver.com/small/hanja?q=%E7%9B%8A 益]",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ref>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不善) 또는 [[악 (3성)|악]](惡)은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5&rowno=39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 {{lang|sa|[[:en:sraddhā|<span style="color: black">sraddhā</span>]]}}){{.cw}}[[정진 (마음작용)|정진]](精進, {{lang|sa|[[:en:vīrya|<span style="color: black">vīrya</span>]]}}){{.cw}}[[참 (마음작용)|참]](慚, {{lang|sa|[[:en:hrī|<span style="color: black">hrī</span>]]}}){{.cw}}[[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 {{lang|sa|[[:en:apatrāpya|<span style="color: black">apatrāpy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탐|무탐]](無貪, {{lang|sa|[[:en:alobha|<span style="color: black">alobh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 {{lang|sa|[[:en:adveṣa|<span style="color: black">adveṣa</span>]]}}, {{lang|sa|[[:en:apratigha|<span style="color: black">apratigh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치|무치]](無癡, {{lang|sa|[[:en:amoha|<span style="color: black">amoha</span>]]}}){{.cw}}[[불교 용어 목록/경#경안|경안]](輕安, {{lang|sa|[[:en:praśrabdhi|<span style="color: black">praśrabdhi</span>]]}}){{.cw}}[[불방일|불방일]](不放逸, {{lang|sa|[[:en:apramāda|<span style="color: black">apramāda</span>]]}}){{.cw}}[[행사 (마음작용)|행사]](行捨, {{lang|sa|[[:en:upekṣa|<span style="color: black">upekṣa</span>]]}}){{.cw}}[[불교 용어 목록/불#불해|불해]](不害, {{lang|sa|[[:en:ahiṃsā|<span style="color: black">ahiṃsā</span>]]}})의 11가지 [[마음작용]]이 선심소를 구성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9b17 T31n1585_p0029b17 - T31n1585_p0029b22]. 선심소(善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83 283-284 / 583]. 선심소(善心所)}}{{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b27 T31n1614_p0855b27 - T31n1614_p0855b29]. 선심소(善心所)|ps=<br>"三善十一者。一信二精進。三慚四愧。五無貪六無嗔七無癡。八輕安九不放逸十行捨十一不害。"}}{{sfn|황욱|1999|pp=53-59}}<ref group="주해">무언가를 정의하는 방법에는 그 대상의 본질적인 성질을 드러내어 정의하는 방법도 있고, 그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요소들을 나열함으로써 정의하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보통 전자만으로는 너무 개념적이어서 실제로 그 대상에 대해 잘 알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선(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자의 방법으로 선을 정의하는 다음의 정의도 마찬가지이다:
"불교에서 선(善)이란, [[부파불교]]에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보아서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樂報]를 받을만한 것을 선(善)이라고 하며, 대승불교에서는 현재{{.cw}}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순익(順益)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후자의 방법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요소들을 일관하는 원리 또는 그 요소들이 의미하는 바를 찾기가 어려울 수 있다. 당연히, 전자의 방법과 후자의 방법이 결합될 때 그 대상은 가장 잘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여하튼 간에, 여기에 나열된 11가지 선한 마음작용들은 곧 대승불교, 특히 유식유가행파에서 "선(善)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ref>
42번째 줄:
 
===신 (믿음)===
{{본문|믿음 (마음작용불교)|불교 용어 목록/불#불신}}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은 [[믿음]]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을 뜻한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9b22 T31n1585_p0029b22 - T31n1585_p0029b28]. 신(信)심소|ps=<br>"云何為信。於實德能深忍樂欲心淨為性。對治不信樂善為業。然信差別略有三種。一信實有。謂於諸法實事理中深信忍故。二信有德。謂於三寶真淨德中深信樂故。三信有能。謂於一切世出世善深信有力能得能成起希望故。由斯對治彼不信心。愛樂證修世出世善。"}}{{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84 284 / 583]. 신(信)심소|ps=<br>"무엇을 ‘신(信)심소’<sup style="color: blue">3)</sup>라고 하는가? 참으로 존재함[實]과 덕(德) 및 능력[能]을 깊이 인정하고 좋아하며 원하여 심왕을 청정하게 함을 체성으로 삼고, 불신(不信)을 다스리고 선(善)을 좋아함을 업으로 삼는다.
그런데 신(信)심소를 구별하면 대략 세 종류가 있다. 첫째는 참으로 존재함을 믿는 것이니, 일체법의 참다운 현상[事]과 본질[理]에 대해서 깊이 믿어 인정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덕이 있음을 믿는 것이니, 삼보의 진실되고 청정한 덕을 깊이 믿고 좋아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능력이 있음을 믿는 것이니, 모든 세간과 출세간의 선에 대하여 힘이 있어서 능히 얻고 능히 성취한다<sup style="color: blue">4)</sup>고 깊이 믿어서 희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것을 믿지 못하는 마음을 다스리고, 세간과 출세간의 선을 닦고 증득함을 즐기고 좋아한다.
<br><sup style="color: blue">3)</sup> 신(信, śraddhā)심소는 ‘믿음’의 능력이다. 제법의 참다운 도리와 삼보의 덕과 선근의 뛰어난 능력을 믿고 기꺼이 원한다. 염오의 심왕{{.cw}}심소를 다스려서 청정하게 한다. 마치 탁수(濁水)에 맥반석을 넣으면 정화되듯이 이 믿음심소는 염오심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
54번째 줄:
 
* {{llang|sa|[[:en:Faith in Buddhism|<span style="color: black">śraddhā</span>]]}}, {{llang|pi|[[:en:saddhā|<span style="color: black">saddhā</span>]]}}, {{llang|en|[[:en:faith|<span style="color: black">faith</span>]]}}
*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의 [[자상|본질]][自相, 性]은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정화시켜 청정(淸淨: 맑고 깨끗함)하게 하는 것임{{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9b28 T31n1585_p0029b28 - T31n1585_p0029c01]. 신(信)의 본질|ps=<br>"忍謂勝解。此即信因。樂欲謂欲即是信果。礭陳此信自相是何。豈不適言。心淨為性。"}}{{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84 284 / 583]. 신(信)의 본질|ps=<br>"[문] 인정하는 것은 승해(勝解)이니, 이것은 믿음의 원인이다. 좋아하여 원한다는 것은 욕구[欲]이니, 곧 믿음의 결과이다. 이 신심소를 확실히 말하면 자상이 어떠한가?<sup style="color: blue">5)</sup>
[답] 어찌 적절하게 말하지 않았던가? 심왕을 청정하게 함을 체성으로 한다.<br><sup style="color: blue">5)</sup> 외인(外人)의 질문이다. 신(信)심소의 인과는 분명히 하고, 아직 그것의 자상을 말하지 않았는데, 그 자상은 어떠한가라고 묻는다."}}
* [[불교 용어 목록/수#승해|깊이 인정하고]][深忍, 勝解] [[삼수 (불교)|깊이 좋아하고]][深樂, 樂受] [[욕 (마음작용)|깊이 원함]][深欲, 欲]
472번째 줄:
** [[번뇌성]](煩惱性)의 [[만 (불교)|만]](慢: 거만, 자만, 뽐냄, 얕봄, 업신여김, 경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5%A2&rowno=5 慢(만)].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ps=<br>"慢(만): 심소(心所)의 이름. 구사(俱舍)에서는 8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유식(唯識)에서는 6번뇌(煩惱)의 하나. 자기의 용모ㆍ재력ㆍ지위 등을 믿고 다른 이에 대해서 높은 채 뽐내는 번뇌. 7만ㆍ8만 등이 있음."}}{{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412&DTITLE=%BAC 慢]".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ps=<br>"慢: 梵語 māna,巴利語同。心所(心之作用)之名。俱舍宗以之為四十六心所中的八不定地法之一,唯識宗則以之為五十一心所中的六根本煩惱之一。即比較自己與他人之高低、勝劣、好惡等,而生起輕蔑他人之自恃之心,稱為慢;亦即輕蔑、自負之意。"}}{{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8599&categoryId=2886 만(慢)]".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ps=<br>"만(慢): 산스크리트어 māna 남을 업신여기고 자신을 높이는 마음 작용."}}을 뒤집어 정반대로 세운 것임
** [[불만 (마음작용)|불만]](不慢)의 [[본질적 성질]][體]에 대해서는 다음의 3가지 견해가 있음
***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의 [[마음작용]]의 특수한 경우[一分]라고 보는 견해가 있음
**** 그 근거로는, 믿게 된 대상[所信境]에 대해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불만 (마음작용)|불만]](不慢: 얕보지 않음)하기 때문이라고 함
*** [[행사 (마음작용)|행사]](行捨)의 [[마음작용]]의 특수한 경우[一分]라고 보는 견해가 있음
492번째 줄:
*** [[유예]](猶豫)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망설이고 머뭇거림'이며,<ref>"[http://zonmal.com/hanja_sen.asp?se=%EB%A2%E7%E3 猶豫]", 《존 한자사전》.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ref> 일반 사전적인 정의는 '망설여 일을 결행하지 아니함' 또는 '일을 결행하는 데 날짜나 시간을 미룸. 또는 그런 기간'임<ref>"[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9659700 유예(猶豫)]",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ref>
** [[불의 (마음작용)|불의]](不疑)의 [[본질적 성질]][體]에 대해서는 다음의 3가지 견해가 있음
***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의 [[마음작용]]의 특수한 경우[一分]라고 보는 견해가 있음
**** 그 근거로는, 믿게 된 대상[所信境]에 대해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유예(猶豫: 망설이고 머뭇거림, 망설여 결행하지 않음)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함
*** 참된 [[불교 용어 목록/수#승해|승해]][正勝解]의 [[마음작용]]의 특수한 경우[一分]라고 보는 견해가 있음
565번째 줄:
===자성선·상응선 분별===
 
11가지 선심소의 [[마음작용]] 중 [[참 (불교)|참]](慚){{.cw}}[[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cw}}[[무탐]](無貪){{.cw}}[[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cw}}[[무치]](無癡)는 본질적으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인 [[자성선]](自性善)에 해당하고, 나머지 6가지 [[마음작용]]들, 즉 [[믿음 (마음작용불교)|신]](信){{.cw}}[[정진 (마음작용)|정진]](精進){{.cw}}[[불교 용어 목록/경#경안|경안]](輕安){{.cw}}[[불방일|불방일]](不放逸){{.cw}}[[행사 (마음작용)|행사]](行捨){{.cw}}[[불교 용어 목록/불#불해|불해]](不害)는 본질적으로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이지만 5가지 [[자성선]](自性善)과 상응함으로써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 되는 [[상응선]](相應善)에 해당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624 624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58 58 / 1397]}}
 
한편, [[작의 (마음작용)|작의]](作意){{.cw}}[[촉 (마음작용)|촉]](觸){{.cw}}[[수 (불교)|수]](受){{.cw}}[[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의 [[변행심소]](遍行心所)와 [[욕 (마음작용)|욕]](欲){{.cw}}[[불교 용어 목록/수#승해|승해]](勝解){{.cw}}[[염 (마음작용)|염]](念){{.cw}}[[불교 용어 목록/삼#삼마지|삼마지]](三摩地, 定){{.cw}}[[혜 (마음작용)|혜]](慧)의 [[별경심소]](別境心所)와 [[수면 (마음작용)|수면]](睡眠, 眠){{.cw}}[[악작 (마음작용)|악작]](惡作, 悔){{.cw}}[[심 (마음작용)|심]](尋){{.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伺)의 [[부정심소]](不定心所)는 모두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cw}}[[악 (3성)|악]](惡){{.cw}}[[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의 [[3성 (불교)|3성]](三性)에 통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무기]](無記)의 성질을 가진다. 이들은 모두 [[상응선]](相應善)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선심소 그룹에 속하지 않고 각자의 그룹에 속한 것은 [[4일체]](四一切)의 기준에서 선심소 그룹의 [[마음작용]]들과는 그 성격이 구별되기 때문이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5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6c27 T31n1585_p0026c27 - T31n1585_p0027a08]. 4일체(四一切)|ps=<br>"雖諸心所名義無異而有六位種類差別。謂遍行有五。別境亦五。善有十一。煩惱有六。隨煩惱有二十。不定有四。如是六位合五十一。一切心中定可得故。緣別別境而得生故。唯善心中可得生故。性是根本煩惱攝故。唯是煩惱等流性故。於善染等皆不定故。然瑜伽論合六為五。煩惱隨煩惱俱是染故。復以四一切辯五差別。謂一切性及地時俱。五中遍行具四一切。別境唯有初二一切。善唯有一。謂一切地。染四皆無。不定唯一。謂一切性。由此五位種類差別。"}}{{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5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59 259 / 583]. 4일체(四一切)|ps=<br>"모든 심소는 명칭이나 개념[義]에 다른 것이 없지만, 여섯 가지 지위의 종류로 차별이 있다. 변행심소에 다섯 가지가 있고, 별경심소에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며, 선심소에 열한 가지가 있고, 번뇌심소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수번뇌심소에 스무 가지가 있고, 부정심소에 네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위를 합하면 쉰한 가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