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0번째 줄:
[[마음 (불교)|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6식, 즉 6가지의 [[심의식|식]](識)으로 구분한 것은 [[심 (불교)|심]](집기){{.cw}}[[의 (불교)|의]](사량){{.cw}}[[심의식|식]](요별)의 3가지 능력들 중에서 특히 [[심의식|식]] 즉 [[요별]]의 능력을 들어서 구분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심의식]] 중에서 굳이 3번째의 [[심의식|식]]을 들어서 [[마음 (불교)|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6가지로 구분한 것은 [[요별]](식, 인식, 식별, 분별, 앎, 지식)이 아무런 근거 또는 바탕 없이 그냥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앞의 2가지의 작용 즉 [[집기]](심)와 [[사량]](의)을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6식의 각각의 명칭을 [[안식 (6식)|안식]](眼識){{.cw}}[[이식 (6식)|이식]](耳識){{.cw}}[[육식|비식]](鼻識){{.cw}}[[육식|설식]](舌識){{.cw}}[[신식 (6식)|신식]](身識){{.cw}}[[의식 (6식)|의식]](意識)으로 명명한 것은 [[심의식|식]] 즉 [[요별]]이 일어날 때 그 의지처[根] 또는 인식기관[根]이 되는 [[안근 (6근)|안근]](眼根){{.cw}}[[이근 (6근)|이근]](耳根){{.cw}}[[오근과 육근#비근|비근]](鼻根){{.cw}}[[오근과 육근#설근|설근]](舌根){{.cw}}[[신근오근과 (6근)육근#신근|신근]](身根){{.cw}}[[의근 (6근)|의근]](意根)의 [[6근]]을 따라 명명한 것이다.{{sfn|권오민|2003|pp=67-69}}
 
달리 말하면, [[심의식|식]] 즉 [[요별]]이 일어날 때의 그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대상]]인 [[색경 (불교)|색경]](色境){{.cw}}[[오경 (불교)#성경|성경]](聲境){{.cw}}[[향경 (6경)|향경]](香境){{.cw}}[[오경 (불교)#미경|미경]](味境){{.cw}}[[촉경 (6경)|촉경]](觸境){{.cw}}[[법계 (불교)|법경]](法境)의 [[육경|6경]]에 따라 구분하여 색식(色識){{.cw}}성식(聲識){{.cw}}향식(香識){{.cw}}미식(味識){{.cw}}촉식(觸識){{.cw}}법식(法識)으로 명명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점은 현대에서 [[지각]] 또는 [[의식]]을 구분할 때 [[시각]]{{.cw}}[[청각]]{{.cw}}[[후각]]{{.cw}}[[미각]]{{.cw}}[[촉각]]{{.cw}}[[의식]](생각) 등으로 주로 [[인식대상]]을 기준으로 명명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40번째 줄:
* [[육식|비식]](鼻識): [[오근과 육근#비근|비근]](鼻根)을 [[소의]](所依: 발동근거)로 하여 [[향경 (6경)|향경]](香境)을 [[요별]](了別)하는 작용, 즉 [[앎]], 즉 [[지식]]
* [[육식|설식]](舌識): [[오근과 육근#설근|설근]](舌根)을 [[소의]](所依: 발동근거)로 하여 [[오경 (불교)#미경|미경]](味境)을 [[요별]](了別)하는 작용, 즉 [[앎]], 즉 [[지식]]
* [[신식 (6식)|신식]](身識): [[신근오근과 (6근)육근#신근|신근]](身根)을 [[소의]](所依: 발동근거)로 하여 [[촉경 (6경)|촉경]](觸境)을 [[요별]](了別)하는 작용, 즉 [[앎]], 즉 [[지식]]
* [[의식 (6식)|의식]](意識): [[의근 (6근)|의근]](意根)을 [[소의]](所依: 발동근거)로 하여 [[법계 (불교)|법경]](法境)을 [[요별]](了別)하는 작용, 즉 [[앎]], 즉 [[지식]]
 
58번째 줄:
'''설식'''(舌識)은 [[오근과 육근#설근|설근]][舌]과 [[오경 (불교)#미경|미경]][味]을 [[연 (불교)|연]](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설근의 인식'''[舌識]을 말한다. 이 때 [[오근과 육근#설근|설근]]이 [[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오경 (불교)#미경|미경]]이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이 된다. [[오근과 육근#설근|설근]]에 의해 [[인식 (불교)|인식]][識]되는 [[오경 (불교)#미경|미경]]에 대한[於舌所識味]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의 [[요별]][已了別]{{.cw}}[[현재 (불교)|현재]]의 [[요별]][正了別]{{.cw}}[[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의 [[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육식|설식]](舌識)이라 이름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03 T26n1542_p0701a03 - T26n1542_p0701a05]. 안식(眼識)}}{{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0 50 / 448]. 안식(眼識)}}
 
'''신식'''(身識)은 [[오근과 육근#신근 (6근)|신근]][身]과 [[촉경 (6경)|촉경]][觸]을 [[연 (불교)|연]](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신근의 인식'''[身識]을 말한다. 이 때 [[오근과 육근#신근 (6근)|신근]]이 [[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촉경 (6경)|촉경]]이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이 된다. [[오근과 육근#신근 (6근)|신근]]에 의해 [[인식 (불교)|인식]][識]되는 [[촉경 (6경)|촉경]]에 대한[於身所識觸]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의 [[요별]][已了別]{{.cw}}[[현재 (불교)|현재]]의 [[요별]][正了別]{{.cw}}[[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의 [[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신식 (6식)|신식]](身識)이라 이름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03 T26n1542_p0701a03 - T26n1542_p0701a05]. 안식(眼識)}}{{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0 50 / 448]. 안식(眼識)}}
 
'''의식'''(意識)은 [[의근 (6근)|의근]][意]과 [[법계 (불교)|법경]][法]을 [[연 (불교)|연]](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의근의 인식'''[意識]을 말한다. 이 때 [[의근 (6근)|의근]]이 [[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법계 (불교)|법경]]이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이 된다. [[의근 (6근)|의근]]에 의해 [[인식 (불교)|인식]][識]되는 [[법계 (불교)|법경]]에 대한[於意所識法]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의 [[요별]][已了別]{{.cw}}[[현재 (불교)|현재]]의 [[요별]][正了別]{{.cw}}[[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의 [[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의식 (6식)|의식]](意識)이라 이름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03 T26n1542_p0701a03 - T26n1542_p0701a05]. 안식(眼識)}}{{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0 50 / 448]. 안식(眼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