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9번째 줄:
 梵語 cintanā。即思考推度。思考真實之道理,稱為正思惟,係八正道之一;反之,則稱邪思惟(不正思惟),乃八邪之一。據長阿含卷八眾集經(大一‧四九下):「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瞋恚,一者怨憎,二者不思惟。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邪見,一者從他聞,二者邪思惟。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正見,一者從他聞,二者正思惟。」又大智度論卷十九載,菩薩於諸法空無所住,如是正見,觀正思惟相,知一切思惟皆是邪思惟,乃至思惟涅槃、思惟佛皆亦如是。而斷一切思惟分別,是名正思惟。又思惟有種種分別,長阿含卷八眾集經舉出少思惟、廣思惟、無量思惟、無所有思惟四種。顯揚聖教論卷二列舉正思惟有離欲思惟、無恚思惟、無害思惟三種。瑜伽師地論卷十一則舉出不正思惟有我思惟、有情思惟、世間思惟三種。此外,轉識論中,將思惟喻如騎者,作意喻如馬之直行,而明思惟與作意之別。〔雜阿含經卷二十八、六十華嚴經卷十一、觀無量壽經、大品般若經卷二十六平等品〕"}}
 
[[사사유]](邪思惟)는 그릇된 생각, 바르지 않은 사유, 바르지 않은 생각, 또는 불교의 참된 도리에 어긋나는 생각을 말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악욕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온#욕|악욕]][欲, 惡欲: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한 욕구, 원함, 희망, 특히 [[탐욕 (마음작용)|탐욕]]]{{.cw}}[[에 (마음작용)|에]](恚, 瞋: 성냄){{.cw}}[[해 (마음작용)|해]](害: 해치려 함) 등의 [[번뇌성]]의 [[마음작용]]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466&DTITLE=%AB%E4%B1%A9 思惟]". 2012년 11월 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82%AC%EC%9C%A0&rowno=1 邪思惟(사사유)]". 2012년 11월 7일에 확인|ps=<br />"邪思惟(사사유): ↔ 정사유(正思惟). 불교의 진정한 도리에 어긋나는 사고(思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67&DTITLE=%A4K%A8%B8%A6%E6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사지(邪志) 또는 사사유(邪思惟)|ps=<br />"(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恚、害等之思惟。"}}
 
아래에 인용된 《[[잡아합경]]》 제13권 제334경〈유인유연유박법경(有因有緣有縛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무명 (불교)|무명]](無明)과 [[사사유]](邪思惟) 즉 [[부정사유]](不正思惟)의 관계를 보여주는 설법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