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근과 육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84번째 줄:
 
=== 안근 ===
{{본문|안근 (6근)|오온#색온|오온#수온}}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안근 (6근)|안근]](眼根, {{llang|sa|[[:en:caksur-indriya|<span style="color: black">caksur-indriya</span>]]}}, {{llang|pi|[[:en:cakkhundriya|<span style="color: black">cakkhundriya</span>]]}})은 거친 [[육체]]적 살덩어리[肉團]로 이루어진 [[부진근]](扶塵根)으로서의 [[안근 (6근)|안근]]([[눈 (해부학)|눈]] 또는 [[안구]]), 즉 외적인 [[시각기관]]으로서의 [[안근 (6근)|안근]]과 광명이 차단됨이 없는 맑고 투명한 [[색 (불교)|색]](물질)인 [[정색]](淨色, rūpa prasāda)으로 만들어진 [[승의근]](勝義根)으로서의 [[안근 (6근)|안근]], 즉 내적인 [[시각기관]]으로서의 [[안근 (6근)|안근]]으로 나뉜다.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안식 (6식)|안식]](眼識) 즉 [[색경 (불교)#분류|색깔]]과 [[형태 (불교)|형태]]에 대한 지각의 [[소의]](所依: 성립근거, 의지처, 도구)라는 뜻에서 [[안근 (6근)|안근]]이라고 할 때는 반드시 후자의 [[승의근]]을 가리킨다. 그리고 [[부진근]]으로서의 [[안근]] 즉 [[육체]]의 [[눈 (인체)|눈]]은 '부(扶)'라는 말 뜻 그대로 [[승의근]]으로서의 [[안근 (6근)|안근]]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07&DTITLE=%A4%AD%AE%DA 五根]".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ps=<br />"五根: 梵語 pañcendriyāni。五種根之義。(一)指眼、耳等五識所依之五種色根。又作五色根。即:眼根(梵 caksurindriya)、耳根(梵 śrotrendriya)、鼻根(梵 ghrānendriya)、舌根(梵 jihvendriya)、身根(梵 kāyendriya)五根。亦即司視覺、聽覺、嗅覺、味覺、觸覺之五官及其機能。以此五者加上意根(心),則稱為六根。五根除能攝取外界之對象外,並能引起心內五識之認識作用,因具有此等殊勝之作用,故稱為「根」。又五根係由物質而成立者,故又稱五色根。數論派有五知根之說,其中身根又作皮根。<br />
 就五根之體而論,薩婆多部(說一切有部)將五根分為扶塵根與勝義根二種。扶塵根,又作扶根。係由眼球、耳穴、鼻樑等血肉(肉團)所形成之根,本身無超勝對象之力,但可由勝義根從旁協助起識,即一般所謂之五官。勝義根則在肉體之內部,非肉眼所能見,但具有發識取境之作用。又勝義根與扶塵根雖共為「極微」所成,然勝義根以殊勝之四大種所造之淨色為體,為「不可見有對」之實有法,由是薩婆多部主張五根係指勝義根,亦即現今吾人所謂之神經。然大眾部等則以色、香、味、觸四塵為五根之體,以肉團為性,別無淨色,不能取境,此即是以扶塵根為五根之說。又依唯識大乘之說,護法等諸師別立現行之淨色為五根;難陀等諸師則認為五根唯是種子,而非現行之淨色。<br />
 另就五根之次第而論,據大毘婆沙論卷七十三、俱舍論卷一、卷二等舉出兩說:(一)五根之中,前四根皆取所造之色,故先舉之;身根或取能造,或取所造,或二者俱取,即由於所取之境不定,故後舉之。又前四根中,眼根、耳根能取遠境,故先舉之;鼻根、舌根取近境,故後舉之。又取遠境中,眼根之作用較耳根為遠且速,故先舉眼根而後舉耳根。又取近境中,鼻根之作用較舌根為速且明,故先舉鼻根而後舉舌根。總此,而立五根之次第先後。(二)五根所依處(即扶塵根)之上下差別的次第如下:眼根之所依居於最上,耳、鼻、舌、身四根之所依則依次居於下方。<br />
195번째 줄: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마치 거울이 대상을 비추는 것처럼 [[안근 (6근)|안근]](眼根, 즉 승의근으로서의 안근)이 [[색경 (불교)|색경]](色境)을 비추어 받아들이는데[取境], 이와 같이 [[안근 (6근)|안근]]이 [[색경 (불교)|색경]]을 연(緣)하여 [[안식 (6식)|안식]](眼識)이 생겨난다[發識].{{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7 87 / 1397]}}{{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loc=〈306. 인경(人經)〉,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474 474-477 / 2145]}}{{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T.99|loc=〈三○六〉,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087c18 p0087c18 - p0088a20]}} 이 때의 [[안근 (6근)|안근]]과 [[색경 (불교)|색경]]과 [[안식 (6식)|안식]]의 화합을 [[안촉]](眼觸)이라고 한다.{{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471 471 / 2145]}}{{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T.99|loc=〈三○四〉,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087a04 p0087a04]}}
 
반면, [[부파불교]]의 [[경량부]]와 [[대중부]]에서는 이와 같은 [[승의근]]과 [[부진근]]의 구분을 인정하지 않았고, [[육체]]의 눈이 곧 [[안근 (6근)|안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안근 (6근)|안근]]에는 취경(取境)의 능력, 즉 [[색경]]을 비추어 받아들이는 능력이 없으며 이러한 능력은 [[안식 (6식)|안식]]에 속한 것이라고 보았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07&DTITLE=%A4%AD%AE%DA 五根]".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설일체유부]]처럼 [[승의근]]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승의근]]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논사에 따라 의견 차이가 있는데, [[호법]](護法) 등의 논사들은 [[아뢰야식]]에 존재하는 [[종자 (불교)|종자]]와는 별도의 [[현행]]하는 [[정색]](淨色)이 존재하며 이것이 [[안근 (6근)|안근]] 등의 [[5근과 6근|5근]] 즉 [[승의근]]이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난타 (인도)|난타]](難陀) 등의 논사들은 [[안근 (6근)|안근]] 등의 [[5근과 6근|5근]] 즉 [[승의근]]은 오직 [[아뢰야식]]에 존재하는 [[종자 (불교)|종자]]일 뿐으로 이것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현행]]하는 [[정색]]이 아니라고 하였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407&DTITLE=%A4%AD%AE%DA 五根]".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
 
=== 이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