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431번째 줄: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
 
3.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 {{llang|sa|[[:en:prabhava|<span style="color: black">prabhava</span>]]}})은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인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 또는 관행{{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96%89%EC%83%81&rowno=2 十六行相(십륙행상)]". 2013년 1월 6일에 확인|ps=<br>"十六行相(십륙행상): 4제(諦)를 관찰하는 16종의 관법(觀法). (1) 고제(苦諦)의 4행상. 만유의 현상은 생멸 변화하는 것이며, 고(苦)ㆍ공(空)ㆍ무상(無常)ㆍ무아(無我)라 관함. (2) 집제(集諦)의 4행상. 온갖 번뇌와 업(業)은 고과(苦果)를 내는 인(因)이며, 고과를 모아(集) 나타나게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고과를 이루게 하는 연(緣)이라 관함. (3) 멸제(滅諦)의 4행상. 멸제는 물(物)ㆍ심(心)의 속박이 없는 진리며(滅), 번뇌의 시끄러움이 없으며(靜), 3계를 벗어나 온갖 근심이 없으며(妙), 온갖 재액(災厄)을 여의었다고(離) 관함. (4) 도제(道諦)의 4행상, 도제는 진리에 들어가는 길이며(道), 올바른 이치에 계합하며(如), 열반 적정한 경지에 가게 하며(行), 생사계를 뛰어나게 하는(出) 것이라고 관함."}}) 가운데 하나로, [[4성제]] 중 [[집제]]에 대한 4가지 [[현관 (불교)|관찰]][觀法 또는 觀行]인 [[인 (16행상)|인]](因){{.cw}}[[집 (16행상)|집]](集){{.cw}}[[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cw}}[[연 (불교)#연의 행상|연]](緣)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을 말한다. 이것은 '[[유루]](有漏)라는 [[원인 (불교)인연|원인]][因]에 대하여, 마치 씨앗 즉 [[종자 (불교)|종자]](種子)로부터 나무가 이어져 자라난 것처럼[能令續起], [[유루]]는 [[괴로움]]이라는 결과[苦果]가 계속 [[상속 (불교)|상속]]되면서 [[생 (4상)|일어나게]] 또는 자라나게 한다[能令續起, prabhava{{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prabhava prabhava]". 2013년 2월 7일에 확인|ps=<br>"3 (mwd) prabhava mfn. prominent , excelling , distinguished RV. ; m. production , source , origin , cause of existence (as father or mother , also `" the Creator "') , birthplace (often ifc. , with f. %{A} , springing or rising or derived from , belonging to) Up. Mn. MBh. &c. ; might , power (= %{pra-bhAva}) L. ; N. of a Sa1dhya Hariv. ; of Vishn2u A. ; of sev. men HParis3. ; N. of the first or 35th year in a 60 years "' cycle of Jupiter Var. ; %{-prabhu} and %{-svAmin} m. (with Jainas) N. of one of the 6 S3ruta-kevalins L.
<br>7 (cap) prabhava a. excelling; m. origin, source, home, a. --- sprung or descended from, being in or on."}}]고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러한 수행[行相]을 [[불교 용어 목록/삽#생|생]](生)이라고 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4a04 T26n1542_p0694a04 - T26n1542_p0694a06]. 집지(集智)|ps=<br>"集智云何。謂於有漏因思惟因集生緣。所起無漏智。"}}{{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10 10 / 448]. 집지(集智)|ps=<br>"집지(集智)란 무엇인가? ‘유루(有漏)의 원인에 대하여 괴로움의 결과를 내는 원인[因]이며 발생하여 나타나게[集] 하며 상속하여 나게[生] 하며 이루게 하는 연(緣)이다’라고 사유하여 일으킨 무루의 지혜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54&DTITLE=%A4Q%A4%BB%A6%E6%AC%DB 十六行相]". 2013년 2월 2일에 확인|ps=<br>"十六行相:
 梵語 sodaśākārāh。又作十六行、十六行觀、十六行相觀、十六聖行、十六諦、四諦十六行相。行相,相狀之意。觀四諦時,各有四種差別,於其時所產生之行相共有十六種。據俱舍論卷二十六所載,苦聖諦有四相(苦諦四相):(一)非常(梵 anitya),待緣而成故。(二)苦(梵 duhkha),逼迫性故。(三)空(梵 śūnya),違我所見故。(四)非我(梵 anātman),違我見故。集聖諦亦有四相(集諦四相):(一)因(梵 hetu),其理如種子。(二)集(梵 samudaya),同於顯現之理。(三)生(梵 prabhava),能令續起。(四)緣(梵 pratyaya),能令成辦;譬如泥團、輪、繩與水等眾緣,和合而成一瓶。滅聖諦亦有四相(滅諦四相):(一)滅(梵 nirodha),諸蘊盡故。(二)靜(梵 śānta),三火息故。(三)妙(梵 pranīta),眾患無故。(四)離(梵 nihsarana),脫眾災故。道聖諦亦有四相(道諦四相):(一)道(梵 mārga),通行義故。(二)如(梵 nyāya),契正理故。(三)行(梵 pratipad),正趣向故。(四)出(梵 nairyānika),能永超故。十六行相名雖十六,實事唯七。謂緣苦諦者,名實俱四;緣餘三諦者,名四實一。說十六行相之目的,為治常、樂、我所、我見等見,故修非常、苦、空、非我等行相;為治無因、一因、變因、知先因等見,故修因、集、生、緣等行相;為治解脫是無之見,故修滅行相;為治解脫是苦之見,故修靜行相;為治靜慮及等至之樂為妙之見,故修妙行相;為治解脫是數數退墮而非永恆之見,故修離行相;為治無道、邪道、餘道、退道之見,故修道、如、行、出等行相。〔坐禪三昧經卷下、正法念處經卷三十四、大毘婆沙論卷七十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