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음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41번째 줄:
<br>初禪三天:一、梵眾天。梵,淨也,以無染欲故。眾,猶民也。謂此天是初禪天主之民眾也。二、梵輔天,輔,佐也。謂此天是初禪天主之輔佐臣僚也。三、大梵天,謂此天是初禪天之主也。名尸棄,劫初先生,劫盡後滅,主領三千大千世界也。(梵語尸棄,華言火。三千者,大千、中千、小千也。言三千大千者,總別雙舉也。)二禪三天:一、少光天,謂此天光明少故。二、無量光天,謂此天光明增勝無限量故。三、光音天,謂此天以光明為語音故。三禪三天:一、少淨天,謂此天意識樂受清淨故。二、無量淨天,謂此天淨勝於前不可量故。三、遍淨天,謂此天樂受最勝,淨周遍故。四禪九天:一、無雲天,以前諸天空居,依雲而住。此天在雲之上,居無雲之首,故號無雲。二、福生天,謂此天修勝福力而生其中,從因得名故。三、廣果天,謂此天果報廣大,無能勝故。四、無想天,謂此天一期果報,心想不行故。(一期者,謂從生至死也。)五、無煩天,謂此天離欲界苦,及色界樂,苦樂兩滅,無煩惱故。六、無熱天,謂此天研究心境,無依無處,清涼自在,無熱惱故。七、善見天,謂此天妙見十方世界圓澄無塵垢故。八、善現天,謂此天空無障礙,精見現前故。九、色究竟天,謂此天於諸塵幾微之處,研窮究竟故。"}}
 
'''광음천'''(光音天, {{llang|sa|[[:en:Abhāsvara-deva|<span style="color: black">Abhāsvara-deva</span>]]}})은 [[색계]] [[제2선천]]의 3번째 하늘의 [[유정 (불교)중생|유정]]들이 의사 소통을 할 때 [[음성]]을 사용하지 않고 입에서 나오는 [[빛]]을 사용하여 [[언어]] 소통을 하기 때문에 광음천이라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4%91%EC%9D%8C%EC%B2%9C&rowno=1 光音天(광음천)]". 2013년 6월 8일에 확인|ps=<br>"光音天(광음천):
【범】 Abhāsvara-deva 아파회제바(阿波會提婆)ㆍ아파회(阿波譮)ㆍ아회긍수(阿會亙修)ㆍ아파긍수(阿波亙羞)ㆍ아파최라차(阿波嗺羅遮)라 음역. 극광정(極光淨)ㆍ승변광(勝遍光)이라 번역. 색계(色界) 제2선천(禪天) 중의 제3천. 무량광천(無量光天)의 위, 소정천(少淨天) 아래에 있음. 이 하늘의 중생은 음성이 없고, 말할 때에는 입으로 광명을 내어 말의 작용을 하므로 광음천이라 함."}}{{sfn|고려대장경연구소|loc="[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612 광음천 光音天]". 2013년 6월 8일에 확인|ps=<br>"광음천 光音天:
<br>* ⓟ
213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2)</sup> 33천(혹은 忉利天, Trayastriṃśa)은 수미산 정상에 있으며, 중앙에 제석천을 중심으로 사방에 각기 8천이 있어 33천이다.
<br><sup style="color: blue">3)</sup> 이상의 6욕천과 8대지옥·4대주 등의 유정과 기세간(器世間)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론 권제11(p.510 이하)을 참조할 것."}}
## [[8대지옥]](八大地獄) - [[지옥취]](地獄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의 처소
### (1) [[등활지옥]](等活地獄)
### (2) [[흑승지옥]](黑繩地獄)
222번째 줄:
### (7) [[대열지옥]](大熱地獄)
### (8) [[무간지옥]](無間地獄)
## [[아귀취]](餓鬼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아귀]](餓鬼)의 처소
### (9) [[아귀처]](餓鬼處)
## [[방생취]](傍生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방생]](傍生) 즉 [[축생]](畜生)의 처소
### (10) [[방생처]](傍生處)
## [[4대주]](四大洲) - [[인취]](人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인간 (불교)|인간]][人]의 처소
### (11) [[남섬부주]](南贍部洲)
### (12) [[동승신주]](東勝身洲)
### (13) [[서우화주]](西牛貨洲)
### (14) [[북구로주]](北俱盧洲)
## [[6욕천]](六欲天) - [[천취]](天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천 (불교)|천]][天]의 처소
### (15) [[4대왕중천]](四大王衆天)
### (16) [[33천]](三十三天)
238번째 줄:
### (19) [[낙변화천]](樂變化天)
### (20)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색계]](色界) - 총 17가지의 처소 - [[천취]](天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천 (불교)|천]][天]의 처소{{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41a13 T29n1558_p0041a13 - T29n1558_p0041a25]. 색계(色界) - 총 17가지의 처소|ps=<br>"此欲界上處有十七。謂三靜慮處各有三。第四靜慮處獨有八。器及有情總名色界。第一靜慮處有三者。一梵眾天。二梵輔天。三大梵天。第二靜慮處有三者。一少光天。二無量光天。三極光淨天。第三靜慮處有三者。一少淨天。二無量淨天。三遍淨天。第四靜慮處有八者。一無雲天。二福生天。三廣果天。四無煩天。五無熱天。六善現天。七善見天。八色究竟天。迦濕彌羅國諸大論師皆言。色界處但有十六。彼謂。即於梵輔天處有高臺閣。名大梵天。一主所居非有別地。如尊處座四眾圍繞。"}}{{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8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65 365 / 1397]. 색계(色界) - 총 17가지의 처소|ps=<br>"이러한 욕계 위에는 17처가 있다. 즉 아래 세 정려처에는 각기 세 곳이 있으며, 제4정려처에만 유독 여덟 곳이 있는데, 그러한 기세간과 그곳에 머무는 유정을 총칭하여 색계라고 이름한다.
<br>제1정려에 세 곳이 있다고 함은, 첫 번째가 범중천(梵衆天)이며, 두 번째가 범보천(梵輔天)이며, 세 번째가 대범천(大梵天)이다.
<br>제2정려에 세 곳이 있다고 함은, 첫 번째가 소광천(少光天)이며, 두 번째가 무량광천(無量光天)이며, 세 번째가 극광정천(極光淨天)이다.
266번째 줄:
### (16) [[선견천]](善見天)
### (17) [[색구경천]](色究竟天)
#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 [[천취]](天趣)의 [[유정 (불교)중생|유정]] 즉 [[천 (불교)|천]][天]의 처소
## 처소[處]가 없음: 엄밀히 말하면 [[무색계]]에는 처소가 없다. 다만 [[이숙생]]의 차별에 따라 4가지가 있을 뿐이다. 즉, [[무색계]]의 4가지 처소는 상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숙생]]으로 말미암아 [[뛰어나고]] [[열등함]]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41a25 T29n1558_p0041a25 - T29n1558_p0041b20].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8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66 366-368 / 1397]. 무색계(無色界) - 4가지 처소}}
### (1) [[공무변처]](空無邊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