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36번째 줄:
[[설일체유부]]에서는 [[정색]]으로 만들어진 이러한 정묘한 내적인 감각기관을 '''승의근'''(勝義根)이라 하고, 육신의 거친 외적인 감각기관을 승의근을 돕는다는 뜻의 '''부진근'''(扶塵根)이라 한다. [[설일체유부]]에서 [[안근]](眼根) 등의 [[5근]]이라고 할 때는 기본적으로 [[승의근]]을 말한다.{{sfn|권오민|2003|pp=61-67}}
 
[[설일체유부]]에서, [[마음 (불교)|마음]]은 [[육식|안식]]{{.cw}}[[이식 (불교)|이식]]{{.cw}}[[비식]]{{.cw}}[[육식|설식]]{{.cw}}[[신식]]{{.cw}}[[의식 (불교)육식|의식]]의 [[6식]]([[:zh:六識|<span style="color: black">六識</span>]])을 말한다.{{sfn|권오민|2003|p=6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77 77-78 / 1397]}} 그런데, [[6식]]을 [[마음 (불교)|마음]]이라고 할 때, 본래부터 6가지의 서로 다른 [[마음 (불교)|마음]]이 있다는 뜻이 아니다. [[마음 (불교)|마음]]은 본래 1가지로 단일한 것이지만 [[시각]]과 [[청각]]이 서로 다르듯이 그 [[인식]]의 종류에는 차별이 있는데 그 차별에 따라 [[6식]]으로 나누는 것이 편리하기에 그렇게 분류하는 것일 뿐이다.{{sfn|권오민|2003|p=67}}
 
그리고 [[6식]]에서 [[의식 (불교)육식|의식]]을 제외한 나머지를 [[전5식]] 또는 [[5식]]이라 한다. [[5식]]은 색{{.cw}}성{{.cw}}향{{.cw}}미{{.cw}}촉에 대한 [[인식]]을 말하며, 이 다섯 가지 [[인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도구)로 하여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부진근]]이 아니라 [[승의근]]을 성립 근거로 하여 [[육식|안식]]{{.cw}}[[이식 (불교)|이식]]{{.cw}}[[비식]]{{.cw}}[[육식|설식]]{{.cw}}[[신식]]의 인식이 이루진다고 본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4 14 / 1397]}}{{sfn|권오민|2003|pp=61-67}}
 
예를 들어, [[승의근]](勝義根)인 [[안근]]이 [[부진근]](扶塵根)인 육신의 [[눈]]의 도움[扶]를 받아 외계대상인 [[색경]](色境)을 취하면 이러한 취함을 바탕으로 [[안식]](眼識)이 생겨난다. 즉, [[안식]]이 외계대상을 직접 취하여 [[안식]]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안근]]의 취함을 바탕으로 하여 [[안식]]이 생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5근]]을 [[5식]]의 소의(所依), 즉 성립 근거라고 말하는데, [[설일체유부]]는 [[5근]]이 단순한 인식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식]]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인식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249번째 줄:
즉, [[마음 (불교)|마음]]이 [[신업]](신체적인 행위)이나 [[어업]](언어적인 행위)을 일으키면, 다음에 그 [[업]](행위)의 과보를 받을 원인인 특수한 색(물질적 실체)이 '''동시에''' 생겨나는데, 이 특수한 색(물질적 실체)은 들을 수도, 감촉할 수도 없는 무형무상(無形無象)의 색(물질적 실체)으로, 다른 이에게 표시할 수 없는 색(물질적 실체)이라는 의미에서 [[무표색]] 또는 [[무표업]]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AC%B4%ED%91%9C%EC%83%89&rowno=1 無表色(무표색)]". 2012년 9월 19일에 확인}} 그리고 [[신표업]](身表業, 또는 신표색)에 대한 무표업(무표색)을 [[신무표업]](身無表業, 또는 신무표색)이라고 부르고, [[어표업]](語表業, 또는 어표색)에 대한 무표업(무표색)을 [[어무표업]](語無表業, 또는 어무표색)이라 부른다. 이와 같이 [[무표색]]은 불교의 [[업설]](業設)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설일체유부]]의 경우, 색법(물질)은 [[무표색]]을 매개로 하여 [[업설]]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된다.{{sfn|권오민|2003|pp=61-67}}
 
[[설일체유부]]에 따르면, [[무표색]]은 [[4대종]](四大種)으로 이루어진 것이긴 하지만 [[극미]](極微)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공간적 점유성을 지니지 않으며 [[색경 (불교)|색경]](色境)의 본질적 성질인 [[색깔]][顯色]{{.cw}}[[모양]]{{.cw}}[[크기]][形色]를 가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오경 (불교)#성경|성경]](聲境)의 본질적 성질인 [[소리]]도, [[향경]](香境)의 본질적 성질인 [[향기]]도, [[미경]](味境)의 본질적 성질인 [[맛]]도, [[촉경]](觸境)의 일부인 [[소조촉]](所造觸)의 본질적인 성질로서의 [[감촉]]도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무표색]]은 [[4대종]]을 원인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색법은 4대종과 4대종에 의해 만들어진 소조색"이라는 [[설일체유부]]의 [[#설일체유부의 색법|정의]]에 따라 색법에 포함시키고 있다. 하지만, [[무표색]]은 [[색경 (불교)|색경]]{{.cw}}[[오경 (불교)#성경|성경]]{{.cw}}[[향경]]{{.cw}}[[미경]] 및 [[촉경]]의 일부인 [[소조촉]]의 본질적인 성질을 그 어느 것도 가지지 않기 때문에 [[5근]](五根)의 대상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제6식]]인 [[의식 (불교)육식|의식]](意識)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법경]](法境) 즉 [[법처]](法處)에 포섭되는 색(물질)이라는 뜻의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으로 규정하고 있다.{{sfn|권오민|2003|pp=61-6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1 21 / 1397]}}
 
한편, [[설일체유부]]의 이러한 [[무표업]] 이론에 대해, [[경량부]]나 《[[구사론]]》의 저자인 [[세친]]은 모두 [[무표업]]의 실재성과 신체적 형태(즉 [[신업]])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았다.{{sfn|권오민|2003|pp=6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