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90번째 줄:
<br>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도 또한 그러하다."}}
 
: '''이식'''(耳識)은 [[오근과 육근#이근 (6근)|이근]][耳]과 [[오경 (불교)#성경|성경]][聲]을 [[연 (불교)|연]](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이근의 인식'''[耳識]을 말한다. 이 때 [[오근과 육근#이근 (6근)|이근]]이 [[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오경 (불교)#성경|성경]]이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이 된다. [[오근과 육근#이근 (6근)|이근]]에 의해 [[인식 (불교)|인식]][識]되는 [[오경 (불교)#성경|성경]]에 대한[於耳所識聲]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의 [[요별]][已了別]{{.cw}}[[현재 (불교)|현재]]의 [[요별]][正了別]{{.cw}}[[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의 [[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이식 (6식)|이식]](耳識)이라 이름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03 T26n1542_p0701a03 - T26n1542_p0701a05]. 안식(眼識)}}{{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0 50 / 448]. 안식(眼識)}}
 
: '''비식'''(鼻識)은 [[오근과 육근#비근|비근]][鼻]과 [[향경 (6경)|향경]][香]을 [[연 (불교)|연]](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생겨나는]] '''비근의 인식'''[鼻識]을 말한다. 이 때 [[오근과 육근#비근|비근]]이 [[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향경 (6경)|향경]]이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이 된다. [[오근과 육근#비근|비근]]에 의해 [[인식 (불교)|인식]][識]되는 [[향경 (6경)|향경]]에 대한[於鼻所識香] 모든 '''이정당요별'''(已正當了別) 즉 [[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과거]]의 [[요별]][已了別]{{.cw}}[[현재 (불교)|현재]]의 [[요별]][正了別]{{.cw}}[[시간 (불교)#3세: 과거·현재·미래|미래]]의 [[요별]][當了別]을 통칭하여 [[육식|비식]](鼻識)이라 이름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03 T26n1542_p0701a03 - T26n1542_p0701a05]. 안식(眼識)}}{{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0 50 / 448]. 안식(眼識)}}
163번째 줄:
<br>두 손으로 물건(物件)을 바치는 모양의 글자와 貝(패☞물건이나 돈)의 합자(合字). 물건(物件)을 供給(공급)하여 모자라지 않도록 하다→갖추다→갖추어짐의 뜻임"</ref> 이와 같이 어원적으로 볼 때, [[구 (불교)|구]](具)는 물건 또는 사물, 즉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경]](境)을 뜻한다.
 
[[5온]]의 문맥에서 [[불교 용어 목록/시#신구|신구]](身具)라고 할 때는, [[불교 용어 목록/시#신구|신구]]는 [[내외]]의 [[색온]][內外色蘊] 즉 [[안근|안근]]{{.cw}}[[이근오근과 (6근)육근#이근|이근]]{{.cw}}[[오근과 육근#비근|비근]]{{.cw}}[[오근과 육근#설근|설근]]{{.cw}}[[오근과 육근#신근|신근]]의 [[오근과 육근|5근]](五根)과 [[색경 (불교)|색경]]{{.cw}}[[오경 (불교)#성경|성경]]{{.cw}}[[향경 (6경)|향경]]{{.cw}}[[오경 (불교)#미경|미경]]{{.cw}}[[촉경 (6경)|촉경]]의 [[오경 (불교)|5경]](五境)을 말한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5a23 T31n1606_p0695a23 - T31n1606_p0695b01]. 5온(五蘊)과 신구(身具)}}{{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5 5 / 388]. 5온(五蘊)과 신구(身具)}}
 
[[12처]]와 [[18계]]의 문맥에서 [[불교 용어 목록/시#신구|신구]](身具)라고 할 때는, [[불교 용어 목록/시#신구|신구]]는 [[6내처]]와 [[6외처]] 즉 [[안근|안근]]{{.cw}}[[이근오근과 (6근)육근#이근|이근]]{{.cw}}[[오근과 육근#비근|비근]]{{.cw}}[[오근과 육근#설근|설근]]{{.cw}}[[오근과 육근#신근|신근]]{{.cw}}[[의근|의근]]의 [[6근]](六根)과 [[색경 (불교)|색경]]{{.cw}}[[오경 (불교)#성경|성경]]{{.cw}}[[향경 (6경)|향경]]{{.cw}}[[오경 (불교)#미경|미경]]{{.cw}}[[촉경 (6경)|촉경]]{{.cw}}[[법계 (불교)|법경]]의 [[6경]](六境)을 말한다.{{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5b02 T31n1606_p0695b02 - T31n1606_p0695b07]. 18계(十八界)와 신구(身具)}}{{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5 5 / 388]. 18계(十八界)와 신구(身具)}}{{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5b08 T31n1606_p0695b08 - T31n1606_p0695b12]. 12처(十二處)와 신구(身具)}}{{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5 5-6 / 388]. 12처(十二處)와 신구(身具)}}
 
==신무감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