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81번째 줄:
'''16심'''(十六心) 즉 '''열여섯 마음'''은 [[견도]]{{.cw}}[[삼도|수도]]{{.cw}}[[무학도]]의 [[3도]] 가운데 [[견도]](見道)의 총 기간에 해당하는 '''16찰나'''(十六刹那)를 말한다. [[찰나]](刹那)를 [[심 (불교)|심]](心: [[마음 (불교)|마음]])이라고 한 것은 [[마음 (불교)|마음]]은 [[유위법]]이므로 [[찰나]]마다 [[생멸]]{{.cw}}[[상속 (불교)|상속]]하는데, [[연기 (불교)|원인과 결과의 법칙]] 즉 [[유전연기]]와 [[환멸연기]]의 [[연기법]]에 따라 [[마음 (불교)|마음]]은 각 [[찰나]]에서 [[지혜 (불교)|지혜]][慧]라는 [[마음작용]]([[심소법]])과 [[상응]]하기도 하고 [[번뇌]](煩惱)라는 [[마음작용]]([[심소법]])과 [[상응]]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견도]]는 인내[忍]하는 [[예비적 수행]]의 끝에 마침내 [[범부]]의 [[마음 (불교)|마음]]이 16찰나에 걸쳐 16가지 [[지혜 (불교)|지혜]][慧], 즉 [[8인]](八忍){{.cw}}[[8지]](八智)와 [[상응]]함으로써 모든 [[견혹]](見惑) 즉 모든 [[이지적인 번뇌]]들, 달리 말하면, [[분별기|후천적으로 습득한 그릇된 앎에 의해 일어나는]][分別起] 모든 [[견 (불교)|견해]]성[見]의 [[번뇌]][惑]들을 제거하여 [[범부]]의 상태를 벗어나 [[성인 (불교)|성인]]의 [[지위 (불교)|지위]]에 오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16심'''이라고 한다.
 
참고로, 불교에서 [[지혜 (불교)|지혜]][慧] 즉 [[혜 (마음작용)|혜]](慧)는 [[인 (불교)|인]](忍){{.cw}}[[지 (불교)|지]](智){{.cw}}[[각 (불교)|각]](覺){{.cw}}[[위파사나|관]](觀){{.cw}}[[견 (불교)|견]](見: 여기서는 [[정견]]을 말함)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가운데 '''인'''(忍, {{llang|sa|[[:en:ksānti|<span style="color: black">ksānti</span>]]}}, {{llang|en|[[:en:perseverance|<span style="color: black">perseverance</span>]]}})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크샨티'''(ksānti)와 한자어 [[인 (불교)|인]](忍) 모두의 문자 그대로의 뜻이 '''인내'''(忍耐: 참고 견딤) 또는 '''인욕'''(忍辱: 욕됨을 참음, 자신의 [[저열한]] 상태를 참음, 자신의 [[유루]]의 상태를 참음)인데, [[인내 (불교)십육심|인내]]에 의해 [[나타나는]] [[지혜 (불교)|지혜]]라는 의미에서, 즉, [[무루]]의 [[지혜 (불교)|지혜]]가 없거나 적은 상태에서(견도의 경우에는, 오직 [[유루]]의 [[지혜 (불교)|지혜]]만이 있는 상태에서) 인내하면서 닦아온 [[수행]]의 결과로서 마침내 [[나타나는]] 또는 [[계합]]하게 되는 (견도의 경우에는, 최초의) [[무루]]의 [[지혜 (불교)|지혜]]라는 의미에서 [[인 (불교)|인]](忍)이라고 한다.{{sfn|권오민|2003|pp=240-247. 인(忍)|ps=<br>"'인(ksānti)'이란 4제의 진리성에 대한 인가의 뜻으로, 이는 난법에 비해 그 강도가 강할뿐더러, 세제일법 역시 뛰어난 인가이지만 그것이 고제에 국한되는 것임에 반해 이것은 4제 전체에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4제의 진리성을 관찰하는 법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에 이르게 되면 더 이상 악취에 떨어지는 일이 없다.
<br>어째서 '인忍'인가? 진리에 대한 인가는 필시 고통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에 '인'이다. 진실을 인가하는 일은 세세생생 쌓아온 '자기'와 '자기의 세계'가 파기되는 것이기에 필연적으로 고통이 따른다. 예컨대 암에 걸린 환자가 자신이 암에 걸렸으며, 그리하여 조만간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상실하게 된다는 사실은 인정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거기에는 말할 수 없는 고통이 따른다. 그러나 일단 인정하고부터는 전과 다른 새로운 세계가 열리게 된다. 그것은 우리가 일상에서 모색의 결과로서 내리는 판단 혹은 결단과는 그 유類가 다르다. 그래서 '인'으로, 이는 6바라밀다의 인욕과 같은 말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188&DTITLE=%A7%D4%B4%BC 忍智]". 2013년 4월 29일에 확인|ps=<br>"忍智:
 心能安住,堪忍侮辱惱害,稱為忍;於事理決斷了知,稱為智。此二者,小乘有部謂忍為無間道之觀智,屬因;智為解脫道之觀智,是果。成實、大乘則主張忍與智相通。以義分之,則始觀為忍,終成名智。〔俱舍論卷二十三、大乘義章卷九〕(參閱「忍」2889、「智」5009) p2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