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24번째 줄:
8정도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4성제]] 중 마지막 [[도제]](道諦)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설명된 것이다. [[고집멸도]]의 4성제는 [[집제|집]]과 [[고제|고]]라는 연기하는 항목과 [[도제 (불교)|도]]와 [[멸제|멸]]이라는 [[연기 (불교)|연기]](緣起)하는 항목을 합하여 구성되어 있다.<ref name="글로벌-12인연">[[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12인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12인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여기에서 [[집제|집]]은 [[고제|고]]의 원인 또는 인연이 되며, [[도제 (불교)|도]]는 [[멸제|멸]]의 원인 또는 인연이 된다. [[고집멸도]]는 [[고제|고통]]의 원인이 [[집제|집착]] 또는 [[갈애]]이며 [[고제|고통]]을 [[멸제|소멸]]시키는 원인 또는 수단이 [[도제 (불교)|도]]라는 [[연기관계]]를 밝힌 것이다.<ref name="글로벌-8정도"/>
 
[[상좌부 불교]]에서는 [[8정도]]가 순차적인 단계가 아니라 [[완전한 깨달음]] 즉 [[열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나열한 것으로 서로가 서로를 돕는 관계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실천 수행이라는 측면에서는 [[8정도]]를 크게 [[계 (불교)|계]](戒){{.cw}}[[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定){{.cw}}[[혜 (불교)|혜]](慧)의 [[3학 (불교)|3학]](三學)으로 분류하여 보는데, [[정견]]{{.cw}}[[정사유]]가 [[혜 (마음작용)|혜]]에 속하며, [[정어]]{{.cw}}[[정업]]{{.cw}}[[정명]]이 [[계 (불교)|계]]에 속하며, [[정정진]]{{.cw}}[[정념]]{{.cw}}[[정정]]이 [[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에 속한 것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계 (불교)|계]]{{.cw}}[[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cw}}[[혜 (별경심소)|혜]]는 서로를 도와 [[깨달음]]을 [[증득]]하게 하는 것이지만, 크게 보아 [[계 (불교)|계]]에 의지하여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을 [[득 (불교)|득]]하고,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에 의지하여 [[혜 (불교)|혜]]를 [[득 (불교)|득]]한다고 본다.<ref name="8정도와 3학-Culavedalla Sutta">{{웹 인용|url=http://www.accesstoinsight.org/tipitaka/mn/mn.044.than.html |title=Culavedalla Sutta: The Shorter Set of Questions-and-Answers (MN 44)}}</ref><ref name="8정도와 3학-Noble Eightfold Path">{{웹 인용|url=http://www.accesstoinsight.org/lib/authors/bodhi/waytoend.html#ch2 |title=The Noble Eightfold Path: The Way to the End of Suffering |accessdate=2013-02-04|publisher=Access to Insight |last=Bhikkhu Bodhi}}<br />"The eight factors of the Noble Eightfold Path are not steps to be followed in sequence, one after another. They can be more aptly described as components rather than as steps, comparable to the intertwining strands of a single cable that requires the contributions of all the strands for maximum strength. With a certain degree of progress all eight factors can be present simultaneously, each supporting the others. However, until that point is reached, some sequence in the unfolding of the path is inevitable. Considered from the standpoint of practical training, the eight path factors divide into three groups: (i) the moral discipline group (silakkhandha), made up of right speech, right action, and right livelihood; (ii) the concentration group (samadhikkhandha), made up of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and (iii) the wisdom group (paññakkhandha), made up of right view and right intention. These three groups represent three stages of training: the training in the higher moral discipline, the training in the higher consciousness, and the training in the higher wisdom."</ref>{{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8%89%E5%AD%B8&rowno=1 三學(삼학)]". 2013년 2월 19일에 확인|ps=<br />"三學(삼학):
불교를 배워 도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1) 계학(戒學). 행위와 언어에서 나쁜 짓을 하지 않고, 몸을 보호하는 계율. (2) 정학(定學). 심의식(心意識)의 흔들림을 그치고, 고요하고 편안한 경지를 나타내는 법. (3) 혜학(慧學). 번뇌를 없애고, 진리를 철견(徹見)하려는 법. ⇒계정혜(戒定慧)"}}{{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0850 戒定慧(계정혜)]". 2013년 2월 19일에 확인|ps=<br />"戒定慧(계정혜):
계율ㆍ선정ㆍ지혜의 준말. 이를 총칭하여 3학(學). 계는 몸ㆍ입ㆍ뜻으로 범할 나쁜 짓을 방지하는 것. 정은 산란한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게 하는 것. 혜는 진리를 깨닫는 지혜. 이 셋은 서로 도와 증과(證果)를 얻는 것이므로, 계에 의하여 정을 얻고, 정에 의하여 지혜를 얻는다. 이를 경ㆍ율ㆍ논 3장에 배대하면, 경은 정학(定學), 율은 계학(戒學), 논은 혜학(慧學). ⇒삼학(三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