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53번째 줄:
'''안촉생사'''(眼觸生思) 또는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는 '''안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안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안근|안근]]과 [[색경 (불교)|색경]]과 [[육식|안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안촉]](眼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안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시각]]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http://hanja.naver.com/search?query=%E6%84%8F%E5%BF%97 意志]",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4월 1일에 확인.<br>"意志(의지): ①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의 상태(狀態)나 작용(作用). 마음. 뜻. 지의(志意) ②이성(理性)을 가지고 사려(思慮)하고 선택(選擇)하고 결심(決心)하여 실행(實行)하는 능력(能力) ..."</ref><ref name="네이버한자-意思">"[http://hanja.naver.com/search?query=%E6%84%8F%E6%80%9D 意思]",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4월 1일에 확인.<br>"意思(의사): 마음 먹은 생각. 마음"</ref>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171번째 줄:
'''이촉생사'''(耳觸生思) 또는 '''이촉소생사'''(耳觸所生思)는 '''이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이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오근과 육근#이근|이근]]과 [[오경 (불교)#성경|성경]]과 [[육식|이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이촉]](耳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안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청각]]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ref name="네이버한자-意思"/>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186번째 줄:
'''비촉생사'''(鼻觸生思) 또는 '''비촉소생사'''(鼻觸所生思)는 '''비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비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오근과 육근#비근|비근]]과 [[향경 (6경)|향경]]과 [[육식|비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비촉]](鼻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비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후각]]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ref name="네이버한자-意思"/>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201번째 줄:
'''설촉생사'''(舌觸生思) 또는 '''설촉소생사'''(舌觸所生思)는 '''설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설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오근과 육근#설근|설근]]과 [[오경 (불교)#미경|미경]]과 [[육식|설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설촉]](舌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설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미각]]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ref name="네이버한자-意思"/>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216번째 줄:
'''신촉생사'''(身觸生思) 또는 '''신촉소생사'''(身觸所生思)는 '''신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신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오근과 육근#신근|신근]]과 [[촉경 (6경)|촉경]]과 [[육식|신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신촉]](身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신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촉각]]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ref name="네이버한자-意思"/>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231번째 줄:
'''의촉생사'''(意觸生思) 또는 '''의촉소생사'''(意觸所生思)는 '''의촉으로 생기는 사''' 또는 '''의촉에서 생겨난 사'''로 번역된다.
 
[[의근|의근]]과 [[법계 (불교)|법경]]과 [[육식|의식]]의 [[촉 (마음작용불교)|화합]]인 [[의촉]](意觸)을 [[발동근거]]로 하여 [[의촉]]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생겨나는]] [[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 즉 [[마음 (불교)|마음]]과 [[의근]](意根: 과거 경험의 총체)과 [[정신적 사물]][法]과의 [[촉 (불교)|접촉]]에 [[불교 용어 목록/소#소의|근거]]하여 [[일어나는]]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마음) 또는 의사(意思: 마음먹은 생각, 마음)를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87800/%E5%85%AD%E6%80%9D%E8%BA%AB 六思身]". 2013년 4월 1일에 확인}}<ref name="네이버한자-意志"/><ref name="네이버한자-意思"/>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1a19 T26n1542_p0701a19 - T26n1542_p0701a25].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眼觸所生思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思。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思等思增上等思。已思思類心作意業。是名眼觸所生思。耳鼻舌身意觸所生思亦爾。"}}{{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1 51 / 448]. 안촉소생사(眼觸所生思)|ps=<br>"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眼觸所生思]는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으로 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반연되기 때문에 마음의 사(思)가 있는데,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해서 모든 마음의 조작[造作:思]이요, 평등한 사[等思]요, 더욱 뛰어나게 평등한 사[增上等思]이며, 이미 지나간 사[已思]요 종류이며 마음으로 짓는 뜻의 업[心作意業]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사』이라 한다.
266번째 줄:
-->
* [[3사화합]](三事和合)
* [[촉 (마음작용불교)|촉]](觸)
** [[6촉]](六觸) 또는 [[6촉신]](六觸身)
** [[유대촉]](有對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