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460번째 줄:
<br>解釋:
viṣaya, ālambana, artha, gocara; rāstra, deśa; adhiṣṭhāna, arthākāra, arthya, ārambaṇa, gati, jñeya, jñeya-vastu, dṛśya, dhātu, nimitta, patha, pratipad, prameya, bhoga, rajas, rūpādi, vastu, vihāra, vedita, sattva.
<br>頁數: P 697-700"}} 예를 들어, [[6경]](六境), 즉 [[색경 (불교)|색]](色){{.cw}}[[오경 (불교)#성경|성]](聲){{.cw}}[[향경 (6경)|향]](香){{.cw}}[[오경 (불교)#미경|미]](味){{.cw}}[[촉경 (6경)|촉]](觸){{.cw}}[[법계 (불교)|법]](法)의 각각은 [[6식]](六識)의 각각, 즉 [[육식|안식]](眼識){{.cw}}[[육식|이식]](耳識){{.cw}}[[육식|비식]](鼻識){{.cw}}[[육식|설식]](舌識){{.cw}}[[육식|신식]](身識){{.cw}}[[육식|의식]](意識)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하는 대상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9%80%E7%B7%A3&rowno=5 所緣(소연)]".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667&DTITLE=%A9%D2%BDt 所緣]".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 또한 인식대상이란 곧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심의식#식: 요별|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므로 '''인식범위'''(認識範圍)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인식대상]] 또는 [[인식범위]]를 '''소연'''(所緣) 또는 '''소연경'''(所緣境)이라고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9%80%E7%B7%A3&rowno=5 所緣(소연)]".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122 122 / 583]|ps=<br>"‘작의(作意)심소’는 능히 심왕을 경각(警覺)시키는 것을 체성으로 하고, 인식대상[所緣境] 쪽으로 심왕을 이끄는 것을 업으로 한다. "}}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연려]](緣慮: 인연이 갖추어져 마주하게 된 대상에 대해 생각함)되는 바 또는 사물'이다.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所緣)은 [[연려]](緣慮)하는 자 또는 주체로서의 [[마음 (불교)|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마음작용]](심소법)을 가리키는 '''능연'''(能緣)의 반대말이다. [[마음]]과 [[마음작용]] 중에서도 흔히 [[마음 (불교)|마음]] 즉 [[6식]] 또는 [[8식]]만을 가리켜 [[능연]]이라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A%A5%EC%97%B0&rowno=1 能緣(능연)]".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ps=<br>"能緣(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