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ㄷ):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736번째 줄:
 此外,一剎那之間之生滅,稱剎那生滅或剎那無常。現在之一剎那稱現在,前剎那稱過去,後剎那稱未來,此為剎那三世。〔大毘婆沙論卷一三六、雜阿毘曇心論卷二、順正理論卷三十二、華嚴經探玄記卷十八〕(參閱「時」4121) p3731"}}
 
예를 들어,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대지법]]에 속한 [[수 (불교)|수]](受){{.cw}}[[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cw}}[[촉 (불교)|촉]](觸){{.cw}}[[불교 용어 목록/온#욕|욕]](欲){{.cw}}[[혜 (마음작용)반야|혜]](慧){{.cw}}[[불교 용어 목록/ㅇ#염|염]](念){{.cw}}[[작의|작의]](作意){{.cw}}[[불교 용어 목록/수#승해|승해]](勝解){{.cw}}[[불교 용어 목록/삼#삼마지|삼마지]](三摩地)의 10가지 [[마음작용]]은 언제나 [[불교 용어 목록/ㄷ#동시|동시]]에 즉 [[같은 찰나]]에 발생한다. 이에 비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변행심소]]에 속한 [[작의|작의]](作意){{.cw}}[[촉 (불교)|촉]](觸){{.cw}}[[수 (불교)|수]](受){{.cw}}[[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의 5가지 [[마음작용]]만이 언제나 [[불교 용어 목록/ㄷ#동시|동시]]에 즉 [[같은 찰나]]에 발생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859&DTITLE=%A4j%A6a%AAk 大地法]". 2013년 5월 19일에 확인|ps=<br>"大地法:
 梵語 mahā-bhūmika。遍大地法之略稱。指與一切心相應俱起之十種心理作用。即:(一)受(梵 vedanā),領納之義;有苦受、樂受、非苦非樂受等三種。(二)想(梵 sajjñā),想像之義;對境而取差別之相。(三)思(梵 cetanā),造作之義;令心有所造作。(四)觸(梵 sparśa),由根、境、識三者和合而生,能有觸對。(五)欲(梵 chanda),緣外境而有所希求。(六)慧(梵 prajñā),對法能有所分別、簡擇。(七)念(梵 smrti),對所緣之事銘記不忘。(八)作意(梵 manaskāra),警覺之義;能令心警覺。(九)勝解(梵 adhimoksa),即殊勝之解;對境而產生印可審定之作用。(十)三摩地(梵 samādhi),又作等持、正定,即使心專注一境。此十法遍善、不善、無記等三性之心品而與之相應,故稱大法;此大法之依地為心王所有,故稱大地法。<br>
 說一切有部主張此十法遍一切心,而俱起於剎那之間,且此十法皆有別體;經量部則主張,十法之中唯有受、想、思三法有其體,餘者則無;唯識家將十法分成五遍行、五別境兩種,即:(一)作意、觸、受、想、思等五法,遍與一切之心、心所相應,故稱遍行。(二)欲、慧、念、勝解、三摩地等五法緣各別之境而生,故稱別境。〔顯揚聖教論卷一、順正理論卷十、俱舍論卷四、成唯識論卷三、大毘婆沙論卷十六、卷四十二〕 p778"}}{{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581&DTITLE=%A4%AD%B9M%A6%E6 遍行]". 2013년 5월 19일에 확인|ps=<br>"遍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