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루와 무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17번째 줄:
 
=== 유루혜와 무루혜 ===
{{본문|혜 (불교)반야|인 (불교)|지 (불교)|견 (불교)}}
 
한편, 《[[구사론]]》에서 [[세친]]은 '''지혜'''(智慧), 즉 '''혜'''(慧, {{llang|sa|[[:en:prajñā|<span style="color: black">prajñā</span>]]}}, {{llang|pi|[[:en:paññā|<span style="color: black">paññā</span>]]}})는 크게 [[유루혜]](有漏慧)와 [[무루혜]](無漏慧)로 나뉘는데 '성(聖)'이라는 낱말은 오직 [[무루혜]]에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뜻에서, 불교에서는 '''무루혜'''를 '''성혜'''(聖慧: 성스러운[聖] 지혜[慧], 성인의[聖] 지혜[慧]), '''무루성혜'''(無漏聖慧: 번뇌를 끊어내는[無漏] 성스러운[聖] 지혜[慧], 성인이 가진[聖] '번뇌를 끊어내는[無漏] 지혜[慧]'), '''성지'''(聖智: 성스러운[聖] '번뇌를 끊어내는 지혜[智]'), '''무루지'''(無漏智: 번뇌를 끊어내는 지혜) 또는 간단히 '''무루'''(無漏: 번뇌를 끊어냄)라고 부르기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0%EB%A3%A8%EC%A7%80&rowno=1 有漏智(유루지)]".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ps=<br />"有漏智(유루지):
336번째 줄:
(참고: [[반야]](般若))
 
[[대지법]](大地法)에 속한 것으로 정의하는가 [[별경심소]](別境心所)에 속한 것으로 정의하는가에 상관없이, 판단작용으로서의 [[혜 (불교)반야|혜]](慧)는 유루와 무루에 모두 통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420&DTITLE=%BCz 慧]". 2012년 9월 11일에 확인}} 예를 들어, [[5견]](五見)과 같은 [[견 (불교)|잘못된 견해]][染汚見]는 유루에 통한 것이지만, 여전히 하나의 판단작용이다. 그렇기는 하나, 깨달음으로 나아가게 한다는 취지를 강조하는 면에서 [[혜 (불교)반야|혜]](慧)를 정의하는 경우, [[혜 (불교)반야|혜]](慧)는 곧 '''택법'''(擇法, {{lang|sa|[[:en:dharma-pravicaya|<span style="color: black">dharma-pravicaya</span>]]}}, {{lang|pi|[[:en:dhamma-vicaya|<span style="color: black">dhamma-vicaya</span>]]}})을 말한다. 즉 모든 [[법 (불교)|법]](法)을 살펴서 참된 것[眞]과 거짓된 것[僞],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한 것]][善]과 [[불선|악한 것]][不善]을 판별하여, 참된 것과 선한 것을 취하고 거짓된 것과 악한 것을 버리는 것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 3 / 139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667&DTITLE=%BE%DC%AAk%C4%B1%A4%E4 擇法覺支]". 2012년 9월 12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9%A0%EA%B0%81%EB%B6%84&rowno=1 七覺分(칠각분)]".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구사론]]》에 따르면, [[인 (불교)|인]](忍, {{lang|sa|[[:en:kshanti|<span style="color: black">kṣānti</span>]]}})과 [[지 (불교)|지]](智, {{lang|sa|[[:en:jnana|<span style="color: black">jñāna</span>]]}})와 [[견 (불교)|견]](見, {{lang|sa|[[:en:drsti|<span style="color: black">dṛṣṭi</span>]]}})은 모두 [[혜 (불교)반야|혜]](慧, [[:en:prajñā|<span style="color: black">prajñā</span>]], [[:en:paññā|<span style="color: black">paññā</span>]])의 일종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 3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71 1171-1172 / 1397]}}
 
예를 들어, 이들 중 [[견 (불교)|견]](見, {{lang|sa|[[:en:drsti|<span style="color: black">dṛṣṭi</span>]]}})의 경우, 《[[구사론]]》에서는 크게 [[5견]](五見: 5가지 잘못된 견해){{.cw}}[[세간정견]](世間正見: [[세간]]의 정견){{.cw}}[[유학정견]](有學正見: [[유학 (불교)|유학]]의 [[출세간]]의 정견){{.cw}}[[무학정견]](無學正見: [[무학 (사향사과)|무학]]의 [[출세간]]의 정견)의 네 가지로 나누고 있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5 85-86 / 1397]}}{{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882&DTITLE=%A8%A3 見]". 2012년 9월 13일에 확인}}
351번째 줄:
[[세속]]을 대상으로 해서 작용하는 [[지혜]]를 '''유루지'''(有漏智)라고 하고 이에 대해 [[부처]]의 [[보리 (불교)|깨달음]]을 대상으로 해서 작용하는 [[성자]]의 [[반야|지혜]]([[반야]])를 '''무루지'''(無漏智)라고 한다.<ref name="글로벌-무루"/> 유루지는 [[번뇌]]가 끊어지게 할 수 없고, 반면, 무루지는 [[번뇌]]가 끊어지게 할 수 있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0%EB%A3%A8%EC%A7%80&rowno=1 有漏智(유루지)]". 2012년 9월 13일에 확인}} (예: 《[[금강반야바라밀경|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經)》)
 
《[[구사론]]》에 따르면, [[인 (불교)|인]](忍, {{lang|sa|[[:en:kshanti|<span style="color: black">kṣānti</span>]]}})과 [[지 (불교)|지]](智, {{lang|sa|[[:en:jnana|<span style="color: black">jñāna</span>]]}})와 [[견 (불교)|견]](見, {{lang|sa|[[:en:drsti|<span style="color: black">dṛṣṭi</span>]]}})은 모두 [[혜 (불교)반야|혜]](慧, [[:en:prajñā|<span style="color: black">prajñā</span>]], [[:en:paññā|<span style="color: black">paññā</span>]])의 일종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3 3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71 1171-1172 / 1397]}} 따라서 유루지는 [[유루혜]]에 속하고, 무루지는 [[무루혜]]에 속한다.
 
=== 유루선과 무루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