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41번째 줄:
1. '''[[삼수 (불교)|3수]]'''(三受, {{llang|sa|[[:en:tisro vedanā|<span style="color: black">tisro vedanā</span>]]}}, {{llang|pi|[[:en:tisso vedanā|<span style="color: black">tisso vedanā</span>]]}})는 [[삼수 (불교)|고수]](苦受, 괴로운 느낌){{.cw}}[[낙수]](樂受, 즐거운 느낌){{.cw}}[[사수]](捨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를 말한다. 사수를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30&DTITLE=%A4T%A8%FC 三受]". 2012년 9월 28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88%98&rowno=2 三受(삼수)]". 2012년 9월 28일에 확인}} [[불교 경전]]을 비롯하여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과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교학에 따르면, [[불교 용어 목록/구#근|근]](根)과 [[경 (6경)|경]](境)을 [[연 (불교)|연]](緣)하여 [[심의식|식]](識)이 생길 때, 이 셋의 화합으로부터 [[촉 (불교)|촉]](觸)이 생겨나는데 [[심의식|식]](識)은 그 [[촉 (불교)|촉]](觸)과 동시에 해당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경]](境)에 대해 고수{{.cw}}낙수{{.cw}}사수의 3가지 [[수 (불교)|수]](受, [[느낌]]) 가운데 어느 하나를 느낀다.{{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K.650, T.99|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3&startNum=474 474 / 2145]}}{{sfn|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T.99|p=[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2n0099_p0087c25 T02n0099_p0087c25 - T02n0099_p0087c29]}}{{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8 28 / 139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T.1558|pp=[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4a02 T29n1558_p0004a02 - T29n1558_p0004a04]}}
 
2. '''[[삼수 (불교)|3수]]'''(三受)는 '''평등수'''(平等受: 평등한 느낌){{.cw}}'''불평등수'''(不平等受: 평등하지 않은 느낌){{.cw}}'''비평등비불평등수'''(非平等非不平等受: 평등하지도 평등하지 않지도 않은 느낌)를 말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불교 용어 목록/오#오수|낙수]](樂受){{.cw}}[[불교 용어 목록/오#오수|고수]](苦受){{.cw}}[[희수불교 (5수)용어 목록/오#오수|희수]](喜受){{.cw}}[[불교 용어 목록/오#오수|우수]](憂受){{.cw}}[[불교 용어 목록/오#오수|사수]](捨受)의 [[5수]](五受) 가운데 [[불교 용어 목록/오#오수|낙수]]와 [[희수불교 (5수)용어 목록/오#오수|희수]]는 [[평등수]]에 해당하고, [[불교 용어 목록/오#오수|고수]]와 [[불교 용어 목록/오#오수|우수]]는 [[불평등수]]에 해당하고, [[불교 용어 목록/오#오수|사수]]는 [[비평등비불평등수]]에 해당한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0c11 T26n1542_p0700c11 - T26n1542_p0700c19]. 5수근(五受根)|ps=<br>"樂根云何。謂順樂受。觸所觸時。所起身樂心樂平等受。受所攝。是名樂根。苦根云何。謂順苦受。觸所觸時。所起身苦不平等受。受所攝。是名苦根。喜根云何。謂順喜受。觸所觸時。所起心喜平等受。受所攝。是名喜根。憂根云何。謂順憂受。觸所觸時。所起心憂不平等受。受所攝。是名憂根。捨根云何。謂順捨受。觸所觸時。所起身捨心捨。非平等非不平等受。受所攝。是名捨根。"}}{{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3&startNum=48 48-49 / 463]. 5수근(五受根)|ps=<br>"낙근(樂根)은 무엇인가? 즐거움을 따라 느낌을 받아 접촉[順樂受觸]하는 것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즐거움이요 마음의 즐거움이며 함께 느끼는 것[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낙근’이라 한다.
<br>고근(苦根)은 무엇인가? 괴로움에 순응하여 느끼는 접촉[順苦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괴로움이며, 평등하지 않은 느낌[不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고근’이라 한다.
<br>희근(喜根)은 무엇인가? 기쁨에 순응하여 느끼는 접촉[順喜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마음의 기쁨이며 평등한 느낌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희근’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