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서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ky9146 (토론 | 기여)
링크
Lky9146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점검이 필요한 외부 링크
1번째 줄:
OTT는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영화·교육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ref name='한경닷컴 표제어 "OTT"'>{{웹 인용|제목=Ott|url=http://dic.hankyung.com/apps/economy.list?word=ott|웹사이트=한경닷컴}}</ref> OTT는 over the top의 준말로 over-the-X는 기존의 범위를 넘어서라는 뜻을 가진다. top은 TV [[셋톱박스]] 같은 단말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직역하면 셋톱박스를 통해서, 넘어서의 의미를 가진다.<ref name="방송통신위원회 블로그 OTT 서비스 알아보기">{{웹 인용|제목=미디어의 새로운 방향, OTT 서비스 알아보기|url=http://blog.daum.net/kcc1335/6279|웹사이트=방송통신위원회 블로그|날짜=2016-05-04|확인날짜=2016-06-02|인용문=“OTT는 영문 'Over The Top'의 줄임말이다. Over-the-X는 기존 영역의 경계를 넘나드는 서비스나 상품을 의미한다. 직역하자면 '셋톱박스를 넘어서(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뜻한다.”}}</ref> 이처럼 OTT서비스는 초기에 단말기를 통해 영화·TV프로그램 등 프리미엄 콘텐츠를 VOD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했다. 이후 인터넷 기술변화에 따라 콘텐츠 유통이 모바일까지 포함하면서 OTT의 의미가 확대됐다.<ref name="business watch 낮익지만 잘 모르는 OTT">{{뉴스 인용|제목=낮익지만 잘 모르는 OTT|url=http://www.bizwatch.co.kr/pages/view.php?uid=16974|날짜=2015-08-11|확인날짜=2016-06-02|뉴스=business watch}}</ref>
 
== 등장배경 ==
OTT 서비스의 등장은 공급과 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수요적인 측면은 시청자의 다양한 컨텐츠 욕구이다. 정해진 컨텐츠, 정해진 방송사, 정해진 채널이 시청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할 수 없었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 온라인 동영상 이용의 거부감 저하가 수요적 측면에서 OTT 서비스를 발전시킨 계기이다. 공급적 측면은 규제적인 측면과 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다. 규제적 측면에서 OTT 서비스는 압축된 동영상이나 음악 등을 전송하는 것이 때문에 방송이 아닌 데이터 서비스에 속해 서로운 플랫폼으로서의 규제가 덜 심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초고속인터넷 발달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을 들 수 있다.<ref>{{저널 인용|성1=서|이름1=기만|제목=OTT 서비스의 이해와 전망|저널=방송공학회지|날짜=2011-03|권=16권|호=1호|쪽=92-93p|확인날짜=2016-06-02}}</ref>
 
== 현황 ==
=== 해외 현황 ===
미국은 전 세계에서 OTT 시장이 가장 큰 국가이다. Netflix, Hulu가 대표적인 O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pple, Amazon 등 ICT 분야의 기업들도 OTT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고, 중국도 OT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국내현황 ===
우리나라의 OTT 서비스는 지상파연합의 ‘pooq', CJ 헬로비전의 ,티빙(tving), 현대HCN의 에브리온TV, 아프리카TV, 이동통신사의 OTT가 있다.<ref name="방송통신위원회 블로그 OTT 서비스 알아보기">{{웹 인용|제목=미디어의 새로운 방향, OTT 서비스 알아보기|url=http://blog.daum.net/kcc1335/6279|웹사이트=방송통신위원회 블로그|날짜=2016-05-04|확인날짜=2016-06-02|인용문=우리나라의 OTT 서비스는 지상파연합의 ‘pooq', CJ 헬로비전의 ,티빙(tving), 현대HCN의 에브리온TV, 아프리카TV, 이동통신사의 OTT가 있습니다.}}</ref> 최근에는 sk 브로드밴드에서 b tv와 hoppin을 합친 옥수수라는 OTT 플랫폼을 출시했다.
 
== 서비스의 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