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7번째 줄:
 
=== “신속(新屬)의 첫 번째” ===
[[File파일:Mary Wollstonecraft Original Stories from Real Life copy 1 object 1 - Look what a fine morning it is.jpg|thumb|alt=Engraving showing a female teacher holding her arms up in the shape of a cross. There is one female child on each side of her, both gazing up at her.|《[[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 1791년판의 권두삽화. [[윌리엄 블레이크]]의 판화이다.]]
블러드가 죽은 뒤 울스턴크래프트의 다른 친구들이 그녀에게 [[아일랜드]]의 [[앵글로아일랜드인]] 집안인 킹스버러 가의 가정교사 자리를 주선해 주었다. 킹스버러 부인과는 사이가 좋지 못했지만,<ref>See, for example, Todd, 106–7; Tomalin, 66; 79–80; Sunstein, 127–28.</ref> 아이들에게는 훌륭한 선생님이었다. 그 댁 딸인 [[마거릿 킹]]은 훗날 울스턴크래프트가 “자신의 정신을 모든 미신으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회고했다.<ref>Todd, 116.</ref> 이 시기 울스턴크래프트의 경험은 몇 년 뒤 그녀의 유일한 동화인 《[[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1788년).<ref>Tomalin, 64–88; Wardle, 60ff; Sunstein, 160–61.</ref>
 
[[File파일:MaryWollstonecraft.jpg|thumb|left|1790년–91년의 울스턴크래프트. [[존 오피]] 그림.]]
지위는 있지만 가난한 여성에게 허락된 직업선택의 폭이 좁음(울스턴크래프트는 이러한 장애를 《[[딸들의 교육에 관한 성찰]]》 중 〈적절한 교육을 받았으나 재산은 없는 여성들의 불행한 처지〉에서 유창하게 논하고 있다)에 불만을 품은 울스턴크래프트는 가정교사 일을 한 지 1년만에 저술가가 되기로 했다. 1787년 여동생 이브리나에게 쓴 편지에서 그녀는 자신이 “신속(新屬)의 첫 번째(the first of a new genus)”가 되고자 한다고 썼다.<ref>Wollstonecraft, ''The Collected Letters'', 139; see also Sunstein, 154.</ref> 울스턴크래프트는 런던으로 이사가서 진보 성향의 출판업자 [[조지프 존슨]]의 도움으로 서처와 일자리를 구했다.<ref>Todd, 123; Tomalin, 91–92; Wardle, 80–82; Sunstein, 151–55.</ref> 그녀는 불어와 독어를 배우고 번역 일을 했다.<ref>Todd, 134–35.</ref> 울스턴크래프트가 옮긴 책들 중 유명한 것으로는 [[자크 네케르]]의 《종교적 의견의 중요성에 관하여》, [[크리스티안 고트힐프 잘츠만]]의 《아동을 위한 도덕성 제요》가 있다. 또한 존슨의 정기간행물 《[[분석평론]]》 지에 평론도 투고했는데, 주로 소설 평론이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지적 우주는 이 시기에 크게 팽창했다. 이는 평론을 위해 읽은 책들 뿐 아니라 런던에서 새로 사귀게 된 사람들 탓이기도 했다. 그녀는 존슨의 식사자리에 참여하며 급진적 작가 [[토머스 페인]], 철학자 [[윌리엄 고드윈]] 등과 만나 교류했다. 울스턴크래프트와 고드윈의 첫 만남은 다소 좋지 못했다. 페인의 소식을 들으러 온 고드윈에게 울스턴크래프트가 그와 거의 모든 주제에서 의견이 불일치하자 그날 밤 내내 공격을 퍼부었다고 한다. 그러나 존슨의 경우 친구 이상의 존재로서 편지에 그를 아버지나 오라비 같은 사람이라고 쓰곤 했다.<ref>Tomalin, 89–109; Wardle, 92–94; 128; Sunstein, 171–75.</ref>
 
45번째 줄:
== 대표 저작 ==
=== 교육학 ===
{{Main본문|딸들의 교육에 관한 성찰|실생활 속의 새로운 이야기들}}
[[파일:WollstonecraftEducation.png|thumb|right|alt=Page reads ""THOUGHTS ON THE EDUCATION OF DAUGHTERS. THE NURSERY. As I conceive it to be the duty of every rational creature to attend to its offspring, I am sorry to observe, that reason and duty together have not so powerful an influence over human"|《[[딸들의 교육에 관한 성찰]]》 초판(1787년) 첫쪽 속표지]]
 
52번째 줄:
=== 권리 옹호 ===
==== 인간의 권리 옹호 ====
{{Main본문|인간의 권리 옹호}}
 
[[에드문드 버크]]가 [[입헌군주제]], 귀족제, [[잉글랜드 성공회]]를 옹호하고 또 울스턴크래프트의 친구 [[리처드 프라이스]] 목사([[유니테리언]])를 공격하는 내용의 책 《[[프랑스 혁명의 성찰]]》(1790년)을 출간했다. 이에 대한 반박서로 울스턴크래프트는 《인간의 권리 옹호》(1790년)를 써 귀족제를 공격하고 [[공화제]]를 옹호했다. 울스턴크래프트의 대응은 소위 [[혁명 논쟁]]이라는 서간 전쟁의 시작이 되었고, [[토머스 페인]]의 《[[인간의 권리]]》(1792년)가 나오면서 혁신주의자 및 급진주의자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졌다.
58번째 줄:
울스턴크래프트는 군주제와 특권세습제 뿐 아니라 그것을 옹호하기 위해 버크가 사용한 언어도 공격했다. 《성찰》의 한 유명한 구절에서 버크는 이렇게 말했다. “그녀<nowiki>[</nowiki>[[마리 앙투아네트]]<nowiki>]</nowiki>를 위협하며 욕보인 그 시선 하나만의 죄값을 치르게 하기 위해서도 1만 자루의 검이 칼집에서 흘러나와야 하리라 생각하였다. 그러나 기사의 시대는 지나가 버린 것이다.”<ref>Qtd. in Butler, 44.</ref> 버크의 공격자 대부분은 버크가 프랑스 왕비의 죽음에 연극적인 애사를 바치는 것을 개탄하고 진정 동정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민중들이어야 한다는 논조를 주로 택하였다. 한편 울스턴크래프트는 버크의 성별편향된 언어를 공격했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버크가 《[[숭고와 미에 관한 우리의 생각 속으로의 철학적 탐구]]》(1756년)에서 다루었던 주제인 [[숭고]]와 미(美)를 울스턴크래프트는 자기 식으로 재정의하면서 그의 주장과 수사를 모두 공격했다. 버크는 미를 약함과 여성성과 결부시킨 반면 숭고는 강함과 남성성과 결부시켰다. 울스턴크래프트는 그 정의를 그대로 버크에게 돌려서, 그의 연극적인 미사여구는 버크의 독자들(즉 시민들)을 보이는 것에 휘둘리는 나약한 여자들로 만든다고 비꼬았다.<ref>Wollstonecraft, ''Vindications'', 45; Johnson, 26; Sapiro, 121–22; Kelly, 90; 97–98.</ref> 이는 울스턴크래프트의 최초의 여성주의적 논설임과 동시에, 울스턴크래프트학자 [[클라우디아 L. 존슨]]의 주장에 따르면 그 힘은 다른 말들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지에 남아있다,<ref>Johnson, 27; see also, Todd, 165.</ref> 울스턴크래프트는 불평등 사회를 옹호하는 버크의 태도가 여성의 수동성에 기반하고 있다고 고발한 것이다.
 
공화주의를 옹호하면서 울스턴크래프트는 악덕에 물든 귀족적 예절을 대신할 수 있는 존재로 중산층의 기풍을 언급했다.<ref>Sapiro, 83; Kelly, 94–95; Todd, 164.</ref>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은 울스턴크래프트는 진보의 가치를 믿었으며 전통과 관습에 천착하는 버크를 조롱했다. 그녀는 합리를 이야기하며 버크의 세상은 [[노예제]]를 지속시킬 것이며, 그 이유는 너무나 간단하게도 그것이 고래의 전통이기 때문이라고 했다.<ref>Wollstonecraft, ''Vindications'', 44.</ref>
 
《인간의 권리 옹호》는 울스턴크래프트 최초의 정치적 저술이며, 또한 그녀 최초의 여성주의 저술이다. 존슨은 울스턴크래프트가 《인간의 권리 옹호》의 후반부를 쓰면서 자신의 나머지 경력 동안 매달릴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한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ref>Johnson, 29.</ref> 또한 이 작품으로 울스턴크래프트는 이름난 작가로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