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 트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과제 문서}}는 토론 문서에만 다는 겁니다.
보연 (토론 | 기여)
27번째 줄:
메릴랜드 주립대학교 심리학과 및 신경과학과 로버트 프로빈 교수는 자신이 가르치는 심리학과 학생들에게 실험을 했다. 재미있는 TV 프로그램을 혼자 볼 때와 여럿이서 함께 볼 때 웃음의 빈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 것이다. 그 결과 혼자 있을 때보다 여럿이 함께 프로그램을 볼 때 무려 30배나 더 많은 웃음이 터져 나왔다.
 
====== 웃음 더빙에트랙에 여성을 더 선호하는 이유 ======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웃음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이 교수는 이성이나 동성친구, 혹은 낯선 사람과 한 방에 들어가게 한 다음 영화의 재미있는 한 장면을 보여주었다. 영화 장면을 본 사람들은 모두 크게 웃었지만 누구와 함께 들어갔느냐에 따라 웃는 방식은 많이 달랐다. 여자들은 이성과 함께 영화를 볼 때 더 많이 웃었다. 반면 남자들은 동성과 함께 있을 때 가장 크게 웃었으며, 이성과 함께 있을 때 웃음소리가 더 작았다.
 
교수와 그녀의 동료들은 웃음소리가 사회적 신호이며 남자와 여자가 인간관계를 대하는 방식이 다르듯 웃음을 이용하는 방식 또한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남자들은 크게 웃거나 소리치는 모습이 그다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여자들 앞에서 자제하지만, 남자들 사이에선 커다란 웃음이 서로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남자 동료들과 있을 때는 크게 웃는다. 반면 여자들은 자신의 웃음이 낯선 사람이나 남성과 함께 있을 때 방안에 감도는 어색함이나 긴장감을 깨줄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남자와 함께 있을 때 특히 낯선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크게 웃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웃음 더빙에서는트랙을 만들 때(웃음 더빙을 할 때) 여성 참가자가 더 선호되는 것이다.
 
== 논쟁과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