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인터네셔널
잔글 116.33.255.213(토론)의 편집을 Ted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파일:Gene.png|250px|thumb|[[염색체]](오른쪽 위)는 [[DNA]]가 실타래처럼 감겨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유전자'''는 DNA의 이중 나선 한 구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보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엑손]] 구간과 정보가 담겨있는 [[인트론]]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전자'''(遺傳子)는 [[유전]]의 기본단위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유전자에는 생물의 [[세포]]를 구성하고 유지하고, 이것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는데 필요한 정보가 담겨있으며 [[생식]]을 통해 자손에게 유전된다.
you전ja
 
현대 [[유전학]]에서 유전자는 "[[게놈]] 서열의 특정한 위치에 있는 구간으로서 [[유전형질]]의 단위가 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게놈 서열 안에서 유전자는 [[DNA]] 서열의 일부분을 이루며 조절 구간, 전사 구간, 기타 기능이 부여된 구간 등으로 구성된다.<ref>Group of the Sequence Ontology consortium, coordinated by K. Eilbeck, cited in H. Pearson. (2006). Genetics: what is a gene? Nature, 441,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41/n7092/full/441398a.html 398-401].</ref> 일반적으로 유전자를 [[대립형질]]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대립형질은 유전자 서열에 의해 나타나는 [[유전형질]]의 한 종류이다.
 
유전자의 개념은 [[유전학]]의 발전과 함께 많은 변화를 겪었다.<ref>Noble, D. (Sep 2008). "[http://rsta.royalsocietypublishing.org/content/366/1878/3001.long Genes and causation]" (Free full text). Philosophical transactions. Series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6 (1878): 3001–3015. doi:10.1098/rsta.2008.0086. ISSN 1364-503X. PMID 18559318</ref> 유전학의 창시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유전적 특질이 통계적으로 예측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이를 단순히 특질이라고 불렀다.<ref>Weiling F (1991). "Historical study: Johann Gregor Mendel 1822–1884". Am. J. Med. Genet. 40 (1): 1–25; discussion 26. doi:10.1002/ajmg.1320400103. PMID 1887835</ref> 이후 멘델의 특질은 유전자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1950년대 DNA가 발견되면서 유전자의 물질적 토대가 해명되었다.
 
모든 생물은 유전자에 의한 다양한 유전형질을 갖고 태어난다. [[눈 색깔]], [[혈액형]]과 같은 것을 비롯하여 특정한 유전적 질환과 같은 것도 유전된다. 뿐만 아니라 [[생명활동]]에 관여하는 수 천 가지의 [[생화학]] 작용도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다. 극소수의 경우, 유전자가 세포주기의 간기때 유전정보가 잘못복제되어 돌연변이를 일으킴으로인해 기존의 형질과 다른 새로운 유전형질을 갖고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세포]] 내에서 유전자는 DNA 서열 가운데 정보를 갖는 부분을 뜻한다. DNA의 대부분은 정보가 없는 무작위 서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비부호화 DNA]] 서열이라 한다. 인간의 게놈 가운데 99%가 [[비부호화 DNA]] 서열에 해당한다.<ref>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 245쪽</ref> 한편, 생쥐의 비부호화 DNA 가운데 80%가 인간의 것과 [[상동성]]을 보인다. 이는 [[진화]]의 과정에서 두 종이 [[공통조상]]으로부터 [[종분화|분화]]되었음을 시사한다.<ref>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 223쪽</ref> 이에 반해 유전자는 "부호화된 DNA 서열"이라고 할 수 있다. 유전자에 의해 진행되는 [[전사 (생물학)]]등의 과정을 통해 유전형질이 발현되는 것을 [[유전자 발현]]이라 한다.<ref>Riccardo S, Tortoriello G, Giordano E, Turano M, Furia M (2007). "[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1821038 The coding/non-coding overlapping architecture of the gene encoding the Drosophila pseudouridine synthase]". BMC Mol. Biol. 8: 15. doi:10.1186/1471-2199-8-15. PMID 17328797</ref>
 
유전자의 발현은 [[개체 (생물)|개체]]의 [[발생]]과 [[성장]]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개체와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이렇게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개체에 발현된 특징을 [[발현형질]]이라한다. 발현형질은 유전되지 않는다.<ref>Nowak, Martin (October 2006), Evolutionary Dynamics: Exploring the Equations of Life, Belknap Press, ISBN 0-674-02338-2</ref>
 
== 역사 ==
{{참조|유전학의 역사}}
1850년대 [[그레고어 멘델]]은 그의 유명한 완두콩 시험을 통해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견하였다. 완두콩 시험은 7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는 하나의 유전형질이 세대를 거듭하여도 변하지 않는 개체를 순종으로, 이 순종들의 교배를 통해 형질변화가 일어나는 개체를 잡종으로 불렀다. 잡종의 1세대에는 두 부모 개체의 [[대립형질]] 가운데 한 가지만이 발현되었는데 이를 우성, 1세대에 발현되지 않는 특성은 열성이라 하였다. 멘델은 잡종 교배 시험을 통해 1세대에 열성이 발현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라진 것이 아니며 2세대, 3세대를 거치면서 다시 발현한다는 것과 발현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분명한 법칙에 의한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법칙의 발견으로서 멘델은 현대 유전학의 아버지로 불린다.<ref>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 89-425-1186-4 , 8.4. 멘델의 법칙</ref>
 
초창기 멘델의 발견은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나 1889년 [[휘호 더프리스]]가 《세포간 범생설》(''Intracellular Pangenesis'')<ref>Vries, H. de (1889), [http://www.esp.org/books/devries/pangenesis/facsimile/ Intracellular Pangenesis]</ref> 을 출간하면서 멘델의 이론을 소개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더프리스는 멘델이 제시한 유전학 개념의 용어를 정리하여 [[유전형질]], [[발현형질]]과 같은 용어를 고안하였다. 유전자({{llang|da|Gene}})라는 용어는 [[덴마크]]의 유전학자 [[빌헬름 요한센]]이 최초로 사용하였다.<ref>Johannsen, W. (1911), [http://www.jstor.org/pss/2455747 The Genotype Conception of Heredity]. American Naturalist 45 (531): 129-159.</ref>
 
1900년대에 이르러 멘델의 법칙은 다시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토머스 헌트 모건]]은 유전자가 [[염색체]]에 위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모건은 특정한 유전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염색체의 특정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내었다. 1928년 모건은 [[초파리]]를 이용하여 최초로 [[유전자 지도]]를 제작하였다.<ref>글 이스라엘 로젠필드, 에드워드 지프, 그림 보린 반 룬, 이일권 역, 무엇이 세계를 움직이는가 DNA편, 이두 아이콘 총서, 1997, ISBN 89-502-0030-9, 21-23쪽</ref>
 
1928년 [[영국]]의 의사 [[프레더릭 그리피스]]는 [[페렴쌍구균]]을 연구하다가 우연히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된다. [[그리피스 실험]]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 이 시험을 통해 그리피스는 유전형질이 세균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는 매끈한 [[균주]]를 형성하는 S형과 거친 균주를 형성하는 R형 두 종류의 폐렴쌍구균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S형을 [[생쥐]]에 주사하면 쥐는 하루 만에 죽지만 R형은 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피스는 [[폐렴]] [[백신]]을 만들기 위해 S형 균을 열처리하여 죽인다음 생쥐에 주사하였다. 죽은 S형 균은 병을 유발하지 않아 생쥐는 생존하였다. 그다음 그는 죽은 S형 균과 살아있는 R형 균을 혼합하여 주사하였는데 생쥐는 폐렴으로 죽었다. 죽은 생쥐의 혈액을 관찰한 결과 모든 균이 S형으로 변해있었다. 죽은 S형 균의 무엇인가가 R형 균을 S형 균으로 바꾼 것이다. 그리피스는 이 현상을 형질변환이라 불렀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 89-7085-516-5, 200-201쪽</ref>
 
1941년 [[조지 웰스 비들]]과 [[에드워드 로리 테이툼]]은 [[돌연변이]]가 [[대사회로]]의 이상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이를 보다 연구하여 하나의 유전자는 하나의 [[효소]]를 지정하여 생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ref>Mark B. Gerstein et al., "What is a gene, post-ENCODE? History and updated definition," Genome Research 17(6) (2007): 669-681</ref>
 
1944년 [[오즈월드 에이버리]], [[콜린 먼로 매클라우드]], [[매클라인 매카시]]는 DNA에 유전자 정보가 있음을 밝혀냈다. 그리피스가 관찰한 형질변환은 바로 이 DNA의 이동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ref>Steinman RM, Moberg CL (February 1994). "[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2191359 A triple tribute to the experiment that transformed biology]". J. Exp. Med. 179 (2): 379–84. doi:10.1084/jem.179.2.379. PMID 8294854</ref> 1953년 [[제임스 D.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구조를 밝혀내었다. 이로써 하나의 효소를 지정하는 하나의 유전자는 사실상 DNA의 염기서열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즉, DNA의 염기서열이 [[RNA]]에 의해 전사되고 [[리보솜]]에 전달되면 그로부터 지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결합이 이루어져 [[효소]]와 같은 [[단백질]]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ref>제임스 D. 왓슨, 이한음 옮김, DNA 생명의비밀, 까치, 2003, ISBN 89-7291-357-X</ref>
 
1972년 [[월터 피어스]]의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MS2를 이용하여 최초로 [[유전자 서열]]을 판독하였다.<ref>Min Jou W, Haegeman G, Ysebaert M, Fiers W (1972).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coding for the bacteriophage MS2 coat protein". Nature 237 (5350): 82–8. doi:10.1038/237082a0. PMID 4555447</ref>
 
유전자 전체의 서열을 [[게놈]]이라 한다. 2007년 8월 [[햅맵 프로젝트]]는 [[인간]]의 게놈 지도를 판독하였다.<ref>International HapMap Consortium. (2007) [http://hapmap.ncbi.nlm.nih.gov/downloads/presentations/nature_hapmap3.pdf A second generation human haplotype map of over 3.1 million] SNPs. Nature 449(7164):851-861</ref> 개체차를 반영한 인간의 게놈 판독 결과는 2008년 [[네이처]]에 발표되었다.<ref>"[http://www.genome.gov/27026113 2008 Release: Researchers Produce First Sequence Map of Large-Scale Structural Variation in the Human Genome]". genome.gov. Retrieved 2009-05-31.</ref>
{{위키공용|Category:Genes}}
 
== 같이 읽기 ==
{{col-begin}}
{{col-3}}
 
=== 유전학 ===
* [[유전]]
* [[유전학]]
* [[유전형질]]
* [[대립형질]]
* [[유전자 부동]]
* [[유전자 이동]]
* [[수평적 유전자 이동]]
* [[멘델의 유전법칙]]
* [[집단유전학]]
{{col-3}}
 
=== 진화 이론 ===
* [[진화]]
* [[슈도진]]
* [[중립 진화 이론]]
{{col-3}}
=== 인물 ===
* [[그레고어 멘델]]
* [[휘호 더프리스]]
* [[오스왈드 에이버리]]
* [[제임스 D. 왓슨]]
* [[프랜시스 크릭]]
{{col-end}}
 
==각주==
{{각주|3}}
 
== 바깥 고리 ==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biology/270 네이버 캐스트 - 유전자 재조합]
 
{{Authority control}}
 
[[분류:유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