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아프리카의 포유류
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표범은 한반도에서도 살았다는 기록이 있고, 한반도에서는 [[호랑이]]보다 많은 수가 서식한 것으로 보이는 동물이다. [[일제강점기]]때, [[일본]]이 유해조수 퇴치의 일환으로 표범을 죽이거나 포획하여 수가 줄어들었고, [[1973년]] 7월 [[대한민국]]의 [[창경궁]](지금의 [[서울대공원]](창경원))에서 [[대한민국]]의 마지막 표범이 죽었다. [[2000년]]대에 이르러 [[강원도]]에서 표범의 발자국 흔적이 발견되면서 한반도에서도 생존한다고 보고되었고, 그 뒤에도 목격담이나 구체적인 증거가 발견되면서 생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거의 절멸단계에 들어섰으며,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지리산, 경상남도 쪽에 소수의 개체들만 잔존하였던것으로잔존하였던 보여진다것으로 보인다. 1960년대초부터 1970년을 마지막으로 지리산을 중심으로 1960년대 초순까지 합천군과 진주시 지역 산속에 표범이 서식하였으며 포획된 기록들이 있다.
 
[[1960년]] 합천군 삼가면과 진주시 미천면 사이 방아재 고개에서 토종 표범 한마리가 잡혔다.
58번째 줄:
이후 [[1970년]] 사실상 마지막 잔존 개체가 잡혔다. 1970년 3월6일 경향신문에 표범관련 기사가 실렸다. 경남 함안 여항산 야산에 다큰 18살로 추정되는 길이 160cm의 커다란 수컷 표범이 잡혔다. 다른 기사처럼 이 기사에도 이 표범의 시가가 70만원이라고 친절하게 적어 놓았다. 이 표범이 잡힌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공식적인 발견돠지 않고 있다.
 
[[1962년]] 합천 오도산에서 포획된 어린 수컷은 서울대공원 동물원(당시 창경원)으로 옮겨와 1973년 죽음을 맞은 이후[9]로 공식적으로 남한에서의 표범은 멸종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남한 전역에서 대형 맹수의 목격담이 이어지고 발자국 등 여러 흔적이 발견되면서 최소 10마리 이상의 표범이 생존할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북한의 경우 확인할 수는 없지만 개마고원과 백두산 일대에 20마리 이상이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보인다. 1999년 정도에 백두산 일원에서 존재가 영상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2010년에는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에서 표범으로 보이는 고양이과 동물이 고라니 사체를 나무위에 올려놓고 사라졌다는 목격담과 2013년 강원도 원주의 강변에서 표범 발자국이 발견되었다고 보도되었지만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89번째 줄:
== 각주 ==
{{각주}}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