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1.238.76.46(토론)의 16423772판 편집을 되돌림
Chobkwo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8번째 줄:
노자의 말이라고 하여 오늘날 《[[도덕경|노자]]》(老子道德經이라고도 한다) 상·하 2권 81장이 남겨져 있다. 거기서 기술되고 있는 사상은 확실히 [[도 (철학)|도]](道)의 본질, 현상계의 생활하는 [[철학]]이다. 예컨대 도를 논하여 이렇게 말한다.
 
'도(道)'는 만물을 생장시키지만 만물을 자신의 소유로는 하지 않는다. 도는 만물을 형성시키지만 그 공(功)을 내세우지 않는다. 도는 만물의만물을 장(長)이지만성장시키지만 만물을 주재하지 않는다'(10장). 이런 사고는 만물의 형성·변화는 원래 스스로 그러한 것이며 또한 거기에는 예정된 목적조차 없다는 생각에서 유래되었다.
 
노자의 말에 나타난 사상은 [[유심론]]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펑유란은 도에 대해서는 사고방식은 일종의 [[유물론]]으로서 [[무신론]]에 연결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 이해는 뛰어난 것이다. 또 '도(道)는 자연(自然) 순리를 따른다(法)한다'(55장)고 하는데 이것은 사람이 자기 의지를 가지고 자연계를 지배하는 일은 불가능함을 설명한 것이다. 이 이론은 [[유교|유가]](儒家)의 천인감응(天人感應)적 생각을 부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노자가 보인 인생관은 "유약한 자는 생(生)의 도(徒)이다" (76장). "유약은 강강(剛强)에 승한다."(36장) "상선(上善)은 물과 같다. 물은 흘러서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는다. 그러면서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 때문에 도에 가깝다"(8장), "천하의 유약하기는 물보다 더한 것이 없다"(78장) 등의 구절에서 보듯이 어디까지나 나를 내세우지 않고 세상의 흐름을 따라 세상과 함께 사는 일을 권하는 것이다. 그러한 사상을 겸하부쟁(謙下不爭) 이라고 하는 말로써 환언(換言)하고 있다.
 
노자는 또 "도(道)는 일(一)을 생하고 일은 이(二)를 생하고 이는 삼(三)을 생하고 삼은 만물을 생한다."(42장)고 하는 식의 [[일원론]]적인 우주생성론을 생각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