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본관 =
|학력 = [[중국]] 운남군관학교 졸업
|별명 = 호는 석천, 자(字)는 추해(秋海), 룡건(龍建), 용근(龍根)<br />다른 이름으로는 근수길(根秀吉), 영수사(嶺秀舍), 최용건(崔鏞健), 최룡건(崔龍建), 최석천(崔石泉), 최추해(崔秋海), 최용진(崔勇進), 김지강(金志剛) 등
|직업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사회주의자
|종교 = [[무종교]]<ref>공산주의</ref>
71번째 줄:
|그림크기 =
|설명 =
|별명 = 자는 추해, 호는 석천(石泉)<br/>''다른 이름'':<br/>근수길(根秀吉) <br/>최룡건(崔龍建)<br/>최석천(崔石泉)<br/> 최추해(崔秋海)<br/> 김지강(金志剛)<br/> 영수사(嶺秀舍)
|태어난 곳 = [[대한제국]] [[평안북도]] [[태천군|태천]]
|죽은 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특별시|평양]] [[묘향산]]
78번째 줄:
|최종 계급 = [[동북항일연군]] 군단장<br/> [[소련군]] [[대위]]<b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차수 (계급)|차수]]
|근무 = [[동북항일연군]]<br/> [[소련군]]<br/> [[조선인민군]]
|지휘 = [[한국전쟁동북항일연군]], [[조선인민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br/> [[한국 전쟁]]
|서훈 내역 =
103번째 줄:
[[1918년]] [[태천소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시|정주]]의 [[오산중학교]](五山中學校)에 입학하였다. 당시 교장으로 교사를 겸하던 [[조만식]] 외에도 설립자 [[이승훈]], [[페허]]지의 동인이며 상징파 시인인 [[김억]] 등이 교사였고, 같은 학년 동급생으로는 [[함석헌]]이 있었으며, 2년 선배로 [[대한민국]]의 반공주의 목사 [[한경직]]이 재학 중에 있었다. 오산중학교 당시 교사들 중 한 명이었던 [[조만식]]은 그를 각별히 아꼈다. 그러나 사상 노선이 달라짐으로써 뒷날 정적으로 돌변한다. 그해 [[중국]] [[상하이]]로 건너갔다. [[1919년]] [[3월 1일]] 그는 [[3.1 만세 운동]]에 가담하였다가 투옥, 그해 말 풀려났다.
 
[[1921년]] 봄, 오산중학교 3학년 재학 중 [[중국]]으로 건너갔다. 인맥으로 [[상하이 임시정부]]와 선이 닿았던 그는 몇 명의 청년들과 함께 [[1921년]] [[4월]] [[상하이]]에 도착했지만, [[상하이 임시정부]] 내부의 파벌 싸움에 실망하여 임정에서 탈퇴하고 예관 [[신규식]](睨觀 申奎植)을 찾아갔다. 그는 군관학교 입학을 희망하여, 면담 직후 [[신규식]]은 운남육군강무당에 그를그의 추천장을 써주고써주었고, 최용건의 [[오산중학교]] 3년 선배이자 [[장개석]]의 국민당 혁명군 소위로 복무 중인 [[김홍일]] 역시 추천장을 써주었다. [[1921년]] [[8월]] 다시 돌아와 개학, [[오산학교]]에 다녔다.
 
[[1921년]] [[8월]] 최용건은 [[오산학교]]에 [[미국인]] [[선교사]] [[교장]]부임 반대 데모를 주도했다. 최용건이 상하이로 갔을 무렵인 [[1921년]] [[4월]] [[조만식]]이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임용 거부로 오산학교 교장직을 사임하고, 그해 [[8월]] [[오산학교]]에 미국인 교장이 부임하기로 예정되었다. 그는 미국인 [[선교사]] 교장 취임 반대 운동을 주동했고, 이는 동맹휴학으로 발전했다. 그해 [[9월]] 오산학교에는 [[유영모]]가 교장으로 부임하고 사태는 종결되었다. [[김일성]]에게 진술한 바에 의하면 [[오산중학교]]를 다니던 중 미국인 교장이 오산학교에 부임해온다 하자, 선교사 반대 동맹휴학이 일어났고 최용건이 이 동맹휴학의 주모자였다 한다. [[김일성]]은 자신의 저서 [[세기의 회고록]]에 이를 인용하였다.
114번째 줄:
[[파일:Whampoa-gate2.jpg|thumb|180px|[[황푸군관학교]] 정문]]
 
[[1922년]] [[쓰촨성]]으로 가 그해 [[3월]] [[쿤밍]]의 [[운남군관학교]](雲南軍官學校) [[보병]]과에 17기로 입학하였다. 당시 최용건은 [[푸젠 성]](福建省)출신 영수사근수길()라는이라는 가명으로 입교하였다.<ref>수둔박영석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논총:수둔박영석교수화갑기념》 (수둔박영석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2) 940페이지</ref> 그밖에도 그는 영수사(嶺秀舍)라는 가명도 일시 사용하였다. 그는 좌익계 한국인 [[사회주의]]자 중 연장자에 속하였다.<ref name="항일빨치산1">[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6/11/30/200611300500032/200611300500032_3.html <nowiki>[</nowiki>비화발굴<nowiki>]</nowiki> 항일무장투쟁시기의 김일성 빨치산부대] 신동아 2000.03.01 통권 486 호</ref>
 
[[운남군관학교]] 재학 당시 그는 최추해(崔秋海)라는 가명을 썼다. 또한, 후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에서 활동하는 [[이범석 (1900년)|이범석]] 및 나중에 동북항일연군 제2로군의 총사령이 될 [[저우 바오중]]과 [[운남군관학교]] 동창이 되었다. 운남강무당 재학 중 최용건은 [[저우 언라이]], [[저오 바우중]] 등과 친하게 지냈다. [[1924년]] [[황포군관학교]](黃浦軍官學校)의 견습교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