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Yeok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 정의 ==
미연이란 ‘아직 그렇지 않다’({{lang|ja|まだそうではない}})란 의미가 있고, 부정의 ‘ず’나 의지 · 추측을 나타내는 ‘む’에 결합할 때 변화되는 어형을 의식한 명칭이다<ref>{{서적 인용|저자=[[하가야이치]]|제목=中等敎科明治文典|번역제목=중등교과 메이지 문전|출판날짜=1904}}에서 “제1활용형인 ‘死な’는 ‘死なば’로 사용하며, 아직 성립하지 않은 것을 임시라는 형태되면 미연형이라고 한다”({{lang|ja|第一活用形の『死な』は『死なば』と用ゐられて,未だ成立たぬことを假にいふ形なれば未然形といふ}})(2 · 2)라고 있듯이, ‘미연’의 뜻은 원래 ‘ば’라는 형식 앞 미연형에 대해서만 인정됐다. ‘る · らる’ ‘す · さす’ 앞 미연형이나, ‘せざらまし’ 중의 미연형 ‘せ’는, ‘미연’이라고 칭하지 않았다.</ref>. [[에도시대]]의 [[국학 (일본)|국학]]에서는 '''장연언'''라고도 한다. 이것은 ‘그렇게 하려고 한다’({{lang|ja|そうしようとする}}) ‘그렇게 될 것이다’({{lang|ja|そうなるだろう}})라는 뜻이다.
 
‘ず’나 ‘む’를 붙이면 4단동사의 어말은 ア단음에 변화한다. 예를들어, ‘書く’는 ‘書かず’ ‘書かむ’가 된다. 여기에 기초를 두어 ‘ず’ ‘む’가 붙을 때의 4단 동사가 아닌 다른 동사 활용이나 [[형용사#일본어의 형용사|형용사]] · [[형용동사]] · [[조동사 (국문법일본어 문법)|조동사]]의 어형을 총칭한 것이 미연형이다. 미연형이 정해지고 나서, 반대로 어미와 결합할 때 あ단으로 변화하는 활용의 분류에도 사용되게 되어, 미연형에 접속하는 동사 · 조동사로 ‘る · らる’나 ‘す · さす’ ‘まし’…가 있는 것처럼 쓰이게 되었다.
 
또한 현대 일본어의 문법도 이것에 맞추어 만들어져 있지만, 의지의 ‘む’가 ‘う’가 된 것이나 (추측의 ‘む’는 형용동사의 ‘だろう’와 합류하여 연체형으로 활용된다.) 부정의 ‘ず’가 ‘ない’가 된 것으로 활용형이 달라져서, 4단동사는 ‘書こう’와 같이 ア단음+う→[[オ단]] [[장음]]으로 변화하기에, [[4단활용|사단동사]]는 オ단음도 포함하게 되어 현대어에서 [[5단활용|오단동사]]로 일컬어지게 되었고,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는 ‘{{lang|ja|おいしかろう}}’{{해석|맛있을 것이다}} ‘{{lang|ja|靜かだろう}}’{{해석|조용할 것이다}}와 같이 ‘かろ’ ‘だろ’가 되었다. 또 형용사 · 형용동사에 ‘ない’가 붙으면 ‘{{lang|ja|おいしくない}}’{{해석|맛있지 않다}} ‘{{lang|ja|靜かではない}}’{{해석|조용하지 않다}}와 같이 되게 되지만, ‘ない’를 보조형용사로 연용형의 ‘く’나 ‘で’가 되기에, 형용사 · 형용동사에서 부정형은 미연형에서 제외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