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17,841
번
[[파일:bash screenshot.png|thumb|300px|[[배시]] 세션의 스크린샷 - [[젠투 리눅스]]에서.]]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 Command line interface) 또는 '''명령어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즉,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주어진다
== 역사 ==
[[전신 인자기]](TTY) 머신을 통해 인간이 원격으로 정보를 교환하였고 일반적으로 한 번에 텍스트 한 줄을 보냈는데,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이렇게 인간이 수행한 다이얼로그의 한 형태에서 발전하였다. 즉각적인 상호 작용과 피드백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천공 카드]]에 비해 진보한 방식으로 여겨졌다. 초기 컴퓨터 시스템들은 종종 인간 운영자와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신 인자기를 사용하였다.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래머, (특히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의) 시스템 관리자, 공학 및 과학 분야 종사자, 일부 고급 개인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시각 장애를 가진 일부 사용자들도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초기 마이크로컴퓨터 자체는 [[CP/M]], [[MS-DOS]], [[애플소프트 베이직]]과 같은 명령 줄 인터페이스 기반이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특히 [[애플 매킨토시]]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도입 이후)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되었다. 명령 줄은 현재도 사용되지만 [[시스템 관리자]]와 기타 시스템 관리, [[컴퓨터 프로그래밍]], [[배치 처리]]를 맡은 고급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 개요 ==
가장 간단한 형태의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명령 프롬프트]]를 표시해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을 기다리며, 사용자의 명령어 입력이 완료(보통 엔터키를 누름)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출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