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7번째 줄:
[[파일:Allied Soldiers Like London and London Likes Them- Overseas Troops in England, 1940 D1730.jpg|thumb|1940년 런던에 있는 체코슬로바키아군]]
 
사실상 위원회를 [[망명 정부]]로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한 장애물은 프랑스였다. [[에두아르 달라디에]]의 프랑스 정부는 위원회에 대한 야망과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야망 사이에서 반대 감정이 엇갈리고 있었다. 그는 [[아돌프 히틀러]]가 전쟁으로 나가는 것을 목격하고 있었지만, [[네빌 체임벌린]]의 요구에 궁극적으로 굴복할 수 밖에 없었다. 전쟁이 찾아온 이후 그와 그의 정부는 [[소비에트 연방]]이나 나치 중 어떤 국가의 위협이 더 클지에 대해 망설이고 있었다. 이와 비슷하게, 그는 위원회를 비정부 기관으로써 인정하는 것은 허용했지만 그의 정부는 베네시에게 어떠한 언급도 없었고, 전후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많은 가능성만 보고 있었다. 베네시에게 망명 정부라는 지위를 줄 때, 프랑스 정부의 많은 의구심들 중 하나는 독립한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공화국 (1939년-1945년)|슬로바키아]]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사실이었다. 1939년 겨울 프랑스 정부는 슬로바키아의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상황 변화로 인해 베네시가 모든 체코슬로바키아인들과 반드시 대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느꼈다. 이에 따라 프랑스 정부는 베네시의 위원회가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으로 돌아가려는 염원에 대해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자 했다.<ref name=End/> 그러나 베네시가 잘 훈련된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는 핵심인물이 됨에 따라, 프랑스는 사실상 위원회와 조약을 체결한 첫 국가가 되었다. 1939년 10월 2일, 위원회와 프랑스 정부는 체코슬로바키아 군대의 재설립을 프랑스 영토 내에서 해도 된다는 협상을 이끌었다.<ref name=End/> 이렇게 설립된 체코슬로바키아 군대는 [[프랑스 공방전]]에의 마지막 전투들에서 프랑스와 연합해 독일에 맞서 싸운다.
 
베네시 위원회를 가장 직접적으로 도와주었던 것은 연합군이 프랑스 공방전에서 패배한 것이었다. 프랑스의 패망으로 새로 임명된 총리인 [[윈스턴 처칠]]의 관점이 프랑스 제3공화국에 대한 걱정으로 점철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전 총리보다 체코슬로바키아 문제에 대해 좀 더 명확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고, 프랑스 공방전이 끝난 후 그는 베네시를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재빠르게 승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여전히 이 승인에 대해 불확실함을 떨쳐낼 수 없었는데, 베네시가 대통령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만 했을뿐 실질적으로 베네시를 이전에 존재했던 정부와 연계시키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영국 정부에게 더 큰 확실성을 보장받기 위해 1941년 4월 영국 정부를 압박했고, 같은 해 4월 18일 그들은 영국 정부에게 "그들과의 협정이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이라는 이름 하에 1948년 9월 이전의 정부로 결론지어지도록" 요구했다. 영국 외무장관 앤서니 에덴은 1941년 7월 18일 이와 비슷한 내용을 발표했다.<ref name=Talmon>Talmon, Stefan. ''Recognition of Governments in International Law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governments in exi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19.</ref> [[미국]]과 소련 또한 1941년 말 영국과 같은 행동을 취했고, 이는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이 양국에 선전포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추축국]] 정부들은 이에 대항해 비공식적으로도, 또 공식적으로도 [[브라티슬라바]]에 있는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을 1941년 중후반에 인정하였다.<ref name=End/> 남아있는 법적 문제는 베네시 정부가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을 실질적으로 계승한 국가이냐 아니면 베네시의 독립된 법적 지지 기반이었냐는 것이었다. 이것은 1942년 봄, 보헤미아의 체코슬로바키아 연합 작전 사령부가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의 총독이었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치명상을 입힌 것으로 깨끗하게 지워졌다. 안트로포이드 작전이라 불리는 이 임무의 성공은 영국과 [[자유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뮌헨 협정을 부인하고 베네시 정권이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의 계승 정권임을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