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원 (1831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12-11}}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다. [[대한제국 고종|고종]]과 [[흥친왕]]의 사촌 형이며, [[대한제국 순종|순종]]의 당숙이다. [[1853년]](철종 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삼사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고종|고종]] 즉위 후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 [[예조]]와 [[형조]]의 판서 등을 역임했다. [[1874년]] [[흥선대원군]] 실각 후에도 계속 관직에 있었고, [[1884년]] [[갑신정변]] 당시에는 한때 [[영의정]]에 임명되기도 했다.
 
그는 생전에는 일반 문신이었지만 사후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면서 왕족으로 편입되었다. 그는 [[조선 숙종|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후손으로 [[조선 장조|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의 양아들로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었다. 문신으로 일생을 마쳤으나 [[1898년]] 고조부 [[조선 장조|장조]]가 사도세자에서 왕으로 추봉되면서 왕족에 편입되어 사후 완림군으로 추봉되었다.
6번째 줄:
==생애==
=== 생애 초반 ===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재원(載元), 자는 순팔(舜八)이다. [[조선 장조|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의 손자이며, [[고종황제]]의 종형이다. 아버지는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이며, 생부는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이다. 본래는 [[조선 인조|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후손이었으나후손이었으며 호적상으로는 능창대군의 후손이 된다. 그러나 할아버지 [[남연군]] 이구가 순조 때, 아들 없이 사망한 [[은신군]]의 양자가 되면서 왕족이 되었다.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셋째 서자로 친왕손이었으나, [[조선 숙종|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양자 [[낙천군]]이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그의 양자가 되면서 다시 연령군의 후손도 된다. 부인은 정경부인 청송심씨와 정경부인 김씨(貞敬夫人 金氏)이다.
 
[[음서 제도|음서]]로 관직에 올랐다. [[1848년]](헌종 15) [[5월]] 영릉참봉(英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1개월만에 사퇴하였다. [[1850년]] [[12월]] 선릉참봉(宣陵參奉)에 임명되었다.
[[1853년]](철종 4) [[2월]] [[조선 철종|철종]]이 친히 춘당대(春塘臺)에서 주관한 응제 때, 부(賦)에서 1등하였으므로 특별히 직부전시<ref>초시, 복시에 응시하지 않고 바로 대과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지는 것</ref>의 명을 받았다. 또한 철종은 그가 [[은신군]]가문의 사람이라는 것을 보고 겹경사라 하여 [[은신군]] 사판에 승지를 보내 치제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