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안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가족관계: 지나치게 장황한 가족관계를 정리하고 위아래로 2대 까지만 남김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원천부원군 변안렬'''(原川府院君 邉安烈, 변안열, [[1334년]] [[4월]] ~ [[1390년]] [[1월 16일]])은 중국 [[원나라]] [[선양 시|심양]](瀋陽)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시 (문학)|시인]](詩人)이다.
 
본관은 [[원주 변씨|원주]](原州)이고 자(字)는 충가(忠可)이며 호(號)는 대은(大隱)이다. [[고려 공민왕]]이 원나라 심양에 있을 때 [[고려 공민왕|공민왕]]을 따라 고려로 귀화하였다. 조부는 고려 판삼사사(高麗 判三司事)로 추증된 변량(邉諒)이다. [[1351년]] 진사시에 장원 급제했다. <ref name="변안렬">《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변안렬(邉安烈), 한국학중앙연구원(1998년판)</ref>
安烈), 한국학중앙연구원(1998년판)</ref>
 
장군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 장군 [[최영 (고려)|최영]](崔瑩) 등과 함께 참전하여 [[왜구]]를 물리쳤으며 당파 싸움에 휘말리지 않은 [[고려]] 말기의 무신(武臣)이었다. [[김저]](金佇)의 분명치 않은 자백에 의한 누명으로 억울하게 순절하였다. [[조선 태조]]([[조선 태조|이성계]])는 충신 대은 변안렬을 [[조선]] 개국 이등공신에 책록을 추증하는 교지를 내리었다.<ref>[참고문헌:『고려사(高麗史)』,『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야은집(冶隱集)』,『대은실기(大隱實紀)』(신석호, 한일문화인쇄사, 1977),『고려사(高麗史)의 연구(硏究)』(변태섭, 삼영사, 1982)]</ref>
 
== 생애 ==
1334년 4월생,4월에 태어났다. 1361년(공민왕 1010년([[1361년]]) [[안우]](安祐)를 따라 홍건적을 패주시켜,패주시키는 2등공신으로데 공을 세워 2등 공신 판소부감사(判小府監事)에 올랐으며 이듬해에는 개성(開城)을 수복하고 1등공신이 되었다. 예의판서(禮儀判書)가 되어 추성보조일등공신推誠輔祚一等功臣)의 호를 받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었다. 최영(崔瑩)과1374년 최영과 더불어 제주를[[제주]]를 정벌한 뒤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문하평리(門下評理)를 역임하였다.
우왕(禑王) 때 추충양절선위익찬공신(推忠亮節宣威翊贊功臣)의 호를 받은 뒤 양광전라도도지휘사 겸 조전원수(楊廣全羅道都指揮使兼助戰元帥)로서 [[나세]](羅世) · 조사민(趙思敏) 등과 함께 왜구를 크게 물리치고 돌아와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승진하였다.
 
[[단양군|단양]](丹陽)과 [[안동시|안동]](安東)의 왜구를 몰아낸 뒤 원천부원군(原川府院君)에 봉해지고 판삼사사(判三司事), 뒤에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되었다.
 
=== 황산대첩 ===
1376년(우왕 22년([[1376년]])에는 추충양절선위익찬보조공신(推忠亮節宣威翊贊輔祚功臣)로서 도순찰사(都巡察使)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 유실(柳實)류실 등과 함께 운봉(雲峰), 황산(荒山), 부령(扶寧) 등지에서 왜적을 대파하고 개선한 뒤, 정방제조(政房提調)가 되어 그 세력이 [[임견미]](林堅味)·[[이인임]](李仁任) 등과 겨룰 만큼 커졌다. [[단양군|단양]](丹陽)과우왕은 [[안동시|안동]](安東)의황산 왜구를전투에서 몰아낸크게 전공을 원천부원군(原川府院君)에세운 봉해지고변안렬과 판삼사사(判三司事)이성계에게 금 50냥씩, 뒤에왕복명 이하 여러 영삼사사(領三司事)가장수들에게는 은 50냥씩을 주었으나, 모두 다 사퇴하면서 말하기를 "장수가 적을 격멸하는 것은 그 직책인데 우리가 어찌 그것을 받겠는가?"라고 되었다하였다.
 
드디어 대승리를 거두었는데 냇물이 발갛게 되어 6, 7일이나 그 색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마시지 못하고 그릇에 담아서 맑아지기를 오랫동안 기다려서야 마실 수 있었다. 노획한 마필이 1,600여 필이고, 기타 무기는 헤아릴 수 없었다. 지인 김국을 파견하여 승전을 보고했더니, 신우는 기뻐서 밀직사 인원보를 보내어 궁중에서 술을 주어서 위로하고, 김국에게 낭장 벼슬과 말 1필을 주었다. 처음에 적의 병력이 아군의 10배나 많았지만 70여명이 겨우 살아 지리산으로 도망쳤다.<ref>변안렬전에 수록된 황산대첩에는 변안렬의 전공보다는 이성계의 전공이 확대돼 있다. 전공의 평가는 동일하게 받았고 황산대첩에서 변안렬은 도체찰사(정1품)이고, 이성계는 도순찰사(정2품)인데 지휘체계가 모호하다. 또한 변안렬전에 묘사된 이성계의 전공은 독자적인 전공위주로 나오는데, 지휘관이 결심하는 합동작전의 내용이 없지만 황산대첩은 왜구의 말 1,600여 필을 노획할 수 있을 정도의 전면전적인 대규모 전투였음을 알 수 있다. 황산대첩후 변안렬은 이성계와 최고의 포상을 받았다. </ref> <ref><고려사, 변안렬전></ref> <ref>저서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한국역사문화원></ref>
{{참고|황산대첩|설명=황산대첩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1376년(우왕 2)에는 추충양절선위익찬보조공신(推忠亮節宣威翊贊輔祚功臣)로서 도순찰사(都巡察使) [[조선 태조|이성계]](李成桂), 유실(柳實) 등과 함께 운봉(雲峰), 황산(荒山), 부령(扶寧) 등지에서 왜적을 대파하고 개선한 뒤, 정방제조(政房提調)가 되어 그 세력이 [[임견미]](林堅味)·[[이인임]](李仁任) 등과 겨룰 만큼 커졌다. [[단양군|단양]](丹陽)과 [[안동시|안동]](安東)의 왜구를 몰아낸 뒤 원천부원군(原川府院君)에 봉해지고 판삼사사(判三司事), 뒤에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되었다.
 
=== 전제개혁과 관계 ===
줄 22 ⟶ 28:
위화도 회군이후 사전개혁은 중요한 정치 현안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변안렬이 이색의 의견을 좇아 사전개혁에 반대한 것은 이성계와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이었다.변안렬은 자신의 정치적 활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성계와 연합했고,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였다. 변안렬은 위화도 회군 이후 다시 도당에 참여하면서 권력자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이성계 일파의 정치적 구상에는 뜻을 함께 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이색과 정치적 입장을 함께 하면서 창왕을 옹립하고 사전개혁에 반대하였다. 그 결과 변안렬은 이성계와 갈등을 빚으면서 다시 정치적 위기를 맞게 되었다.<ref>'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한국역사문화연구원, 2013)</ref>
 
=== [[우왕 복위 사건]]과 관계 ===
1389년(창왕 1) 대호군 김저(金佇) 등이 이성계의 세력을 저지하고 우왕의 복위를 모의했던 일이 발각되었다. "11월, 김저(金佇)가 몰래 우왕을 황려부(黃驪府)에서 알현(謁見)하니, 우왕이 울면서 말하기를,“내가 평소부터 곽충보(郭忠輔)와 사이가 좋으니, 그대가 가서 계획을 세워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한다면, 나의 뜻은 성취될 수 있다.”하였다. 김저가 와서 충보에게 알리니, 충보는 거짓으로 응락하고는 달려와서 태조에게 알렸다.
 
김저가 이림(李琳)·우현보(禹玄寶)·이색(李穡) 등과 함께 연루되었다고 거짓 자백하여 한양(漢陽)에 유배되었다가 뒤에 순절하였다.
 
=== 최후 ===
김저와 정득후(鄭得厚)를 체포하려 하니, 득후가 김저와 같이 모의하고 밤에 태조의 저택(邸宅)으로 잠입하다가 문객(門客)에게 잡히게 되자,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김저를 순군옥(巡軍獄)에 가두니 공사(供辭)가 변안렬(邉安烈) 등에게 관련되었다. 대간(臺諫)이 청하므로, 태조(이성계)가 극력 구원하였으나 창왕은 듣지 아니하였다.(《태백산사고본》 1책 1권 26장 A면)" <ref>실록에 "창왕은 듣지 아니하였다." 라고 기록 되었으나 실제 변안렬의 순절 시기는 공양왕의 재임 기간중 이었다.</ref>
줄 58 ⟶ 66:
 
태조 2년 계유(1393,홍무 26) 7월22일(을축) 태조는 개국 공신을 책록토록 교지를 내리었다. "죽은 검교 시중(檢校侍中) 변안렬(邉安烈)은 이등 공신 경보(慶補)의 예(例)가 될 만하며, 포상(褒賞)하는 은전(恩典)을 유사(有司)는 거행하라."(《조선왕조실록》 1집 46면)
 
== 황산대첩 ==
고려의 왜구토벌사에서 최대의 전과로 꼽히는 지리산의 황산대첩은 변안렬전에 수록되어 있다. 우왕은 황산전투에서 크게 전공을 세운 변안렬과 이성계에게 금 50량씩, 왕복명이하 여러 장수들에게는 은 50량씩을 주었으나, 모두 다 사퇴하면서 말하기를 "장수가 적을 격멸하는 것은 그 직책인데 우리가 어찌 그것을 받겠는가?"라고 하였다.
 
드디어 대승리를 거두었는데 냇물이 발갛게 되어 6, 7일이나 그 색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마시지 못하고 그릇에 담아서 맑아지기를 오랫동안 기다려서야 마실 수 있었다. 노획한 마필이 1,600여 필이고, 기타 무기는 헤아릴 수 없었다. 지인 김국을 파견하여 승전을 보고했더니, 신우는 기뻐서 밀직사 인원보를 보내어 궁중에서 술을 주어서 위로하고, 김국에게 낭장 벼슬과 말 1필을 주었다. 처음에 적의 병력이 아군의 10배나 많았지만 70여명이 겨우 살아 지리산으로 도망쳤다.<ref>변안렬전에 수록된 황산대첩에는 변안렬의 전공보다는 이성계의 전공이 확대돼 있다. 전공의 평가는 동일하게 받았고 황산대첩에서 변안렬은 도체찰사(정1품)이고, 이성계는 도순찰사(정2품)인데 지휘체계가 모호하다. 또한 변안렬전에 묘사된 이성계의 전공은 독자적인 전공위주로 나오는데, 지휘관이 결심하는 합동작전의 내용이 없지만 황산대첩은 왜구의 말 1,600여 필을 노획할 수 있을 정도의 전면전적인 대규모 전투였음을 알 수 있다. 황산대첩후 변안렬은 이성계와 최고의 포상을 받았다. </ref> <ref><고려사, 변안렬전></ref> <ref>저서 '대은 변안렬의 생애와 업적'<한국역사문화원></ref>
{{참고|황산대첩|설명=황산대첩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 고려사 ==
태조 때 정도전이 편찬한 《고려사》 고려사에, 태조가 신우(辛禑) · 신창(辛昌) 및 변안렬(邉安烈)을 죽였다고 기록하여 개국 조선의 갈등을 야기 시켰는데 이는 정도전이 이방원의 심복에게 죽임을 당하는 원인중원인 중 하나였다, 세종은 6년 갑진(1424,영락 22)12월1일 12월 1일 태조 때 정도전이 《고려사》를 편찬할 적에, 태조가 신우(辛禑)·신창(辛昌) 및 변안렬(邉安烈)을 죽였다고 기록한 고려 시대의 사초(史草)를 납입(納入)하여, 귀양을 보냈다.
 
== [[목은 이색]]과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