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 개요 ==
[[파일:Mao Zedong portrait.jpg|thumb|left|158px|right|마오쩌둥.]]
[[중국 공산당]]은 [[1945년]] [[9월]]의 제7차 전당대회에서 당규에 "중국 공산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념과 중국 공산혁명의 실천을 통일한 사상, '모택동사상'을 당의 모든 지침으로 한다."라고의 문구를 추가했다. 여기서 말하는 '모택동사상'이란 이념으로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카를 마르크스와 레닌이 확립한 공산주의]]를 지침으로 하면서, 그것을 중국의 실정에 적용시킨 농민 중심의 혁명방식을 말한다.{{출처}}
 
아시아 일대의 공산당계에서는 모택동주의가 제일 영향력 있는 공산주의로 평가되고 있다. [[스탈린]] 사후 [[1960년대]] 소련이 [[흐루쇼프]]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 탈스탈린화 되면서 [[소련]]의 전통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대립한 사상이기도하다. 당시 중국의 산업화는 유럽에 비해 훨씬 늦었었다. 당시 중국은 1차 산업에 의존하여, 공장과 같은 2차 산업의 생산라인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원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따르면,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주체는 산업 노동자가 되어야하는데, 산업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은 중국에서는 산업 노동자 또한 없었다. 이 상황에서 모택동은 [[농민]]들로 인한 혁명을 주로하고 그에 관한 사상을 정립 화시키기 위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중국의 사정에 맞춰서 재 개조하게 된다.{{출처}}
 
[[마오쩌둥]]이 젊은 시절부터 밀접하게 지낸 [[농촌]]사회의 관찰로부터 도출된 [[중국]] 발전을 위한 모든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 내용은 대공무사(개인의 이익보다 공공의 복지를 우선한다), 대중노선(농촌대중의 의견에 정치적 지침을 요구하여, 그것을 이해시켜 모두 행동한다), 실사구시(현실로부터 배우고, 이론을 세운다)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사회]]와 협조할 수 있는 [[개인주의]], 성인의 협력, 농촌으로부터 봉기하고 [[도시]]를 둘러싸 전술이론, [[세계]] 각국이 각자의 특성에 맞는 공산혁명을 실시하는 것으로, 제3차 세계대전을 막을 수 있다고 하는 〈중간지대론〉 등도 '모택동사상'에 포함할 수 있다.{{출처}}
 
모택동의 농촌 중시에는 당시 [[농업]]중심의 [[중국]]사회에 대한 현실적인 상황의 선택이 들어있다. 당시의 [[중국]]은 급속한 [[산업]] 발전이 전제인 본래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있을 수 없는 전(前)[[자본주의]]적 상황이 강하고([[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 사회→[[사회주의]]→[[공산주의]]순의 역사발전단계를 주장하므로, 자본주의 사회가 없는 상황에서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주나라]] 시대에 주창된 [[평등주의]]인 대동사상에 가까운 부분이 있다. 또 [[폭력]]에 긍정적이고 지식계급에 대한 증오가 드러나고 있어 이것을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비난의 근거를 주고있다.
 
모택동의 농촌 중시에는 당시 [[농업]]중심의 [[중국]]사회에 대한 현실적인 상황의 선택이 들어있다. 당시의 [[중국]]은 급속한 [[산업]] 발전이 전제인 본래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있을 수 없는 전(前)[[자본주의]]적 상황이 강하고([[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 사회→[[사회주의]]→[[공산주의]]순의 역사발전단계를 주장하므로, 자본주의 사회가 없는 상황에서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주나라]] 시대에 주창된 [[평등주의]]인 대동사상에 가까운 부분이 있다. 또 [[폭력]]에 긍정적이고 지식계급에 대한 증오가 드러나고 있어 이것을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비난의 근거를 주고있다.{{출처}}
 
=== 이론 체계 ===
모택동주의의 하부 사상들은 반제국, 반인종적 [[민족주의]], [[대중주의]](포퓰리즘), [[신민주주의]]를 기초로 하였으며, 모택동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주요 차이점은 혁명의 주체가 산업 노동자이냐, 농민이냐 이며 모택동주의에서는 혁명의 주체가 농민이 되어야한다고 명시되어있는 것과,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모든 것을 설명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달리, 모택동주의는 변증법적 유물론만으로 공산주의 체제에 도달했을 때 나타나는 모순을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사회 부조리,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그것이 관념적인 것이고 유물론에 반하는 이질적인 것이더라도 무관하게 본다. 또한 보편적 이론인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달리 모택동주의는 실천적 이론이다. 즉, 모택동주의는 실천 과정에 따라 그 이론이 추가, 수정 또는 궁극적 목표가 달리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절대불변의 사상인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매우 큰 차이를 보이게 한 결정적인 원인이었고, [[1960년대]]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 간의 모택동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논쟁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이유로 모택동주의는 비실천적인 지식인 계급의 "사회 모순 방조"에 대해서 매우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 지식의 정도 측면에서도 차별받지 아니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노동자, 농민들의 노동 지식을 인문학적 지식과도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출처}}
 
모택동주의는 어디까지나 중국의 사정에 따라 계승된 공산주의 사상이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 일각에서는 오히려 고도로 산업화 된 자본주의 체제를 공산화시킬 때는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있어서 모택동주의보다는 개조되지 않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선호하기도 하였다. 이 사상의 하부 조직중 하나인 [[신민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언급된 [[인민민주주의]]와도 같은 뜻인데, 이는 중국인 특유 문화에 맞춰진 민주주의라고 이름을 달리하였다. '신-민주주의'라고 불린 까닭은 당시 [[중화민국]]의 [[삼민주의]]와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모택동주의자들은 신민주주의는 [[삼민주의]]를 개조한 중국의 개조된 민주주의이며, [[삼민주의]]는 구(舊)민주주의라고 부른다.{{출처}}
 
현재 모택동주의는 [[인도 공산당]], [[네팔 공산당]]의 주요 이념이기도 하고<ref>http://www.voanews.com/korean/news/NEPAL_11_19_11-134172103.html</ref>, 주로 농업지상주의적 공산주의자들이 옹호하는 사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중국 공산당]] 내에서는 덩샤오핑 이론에 맞서는 중국 공산당 내 보수파(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의 보수파는 주로, 모택동주의에 근거한 [[좌익]]을 의미함.)의 주요 이념이기도 하다. 때문에 중국 내에서의 [[보수주의]]는 전 세계적 보수주의의 의미와 달리 모택동주의를 의미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