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천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메이지 천황'''({{ja-y|明治天皇|めいじてんのう}}, [[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일본 천황|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다. [[휘]]는 '''무쓰히토'''({{ja-y2|睦仁|むつひと}})이며 유소년기의 궁호(宮號)는 사치노미야({{ja-y2|祐宮|さちのみや}})이다. 쇄국령을 실시하는 [[에도 막부]]([[도쿠가와 막부]])와 [[에조 공화국]]을 2년간([[1868년]]~[[1869년]])의 [[보신 전쟁]]에서의 승리,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주장이 정부한테 거부당했다며 정부한테서 반란으로 겨냥하고 항거하는 [[사쓰마 번]]을 [[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의 승리로 타파, [[1879년]] [[류큐국]]을 병합하고 일본의 천황에 대한 모든 황권을
[[1889년]](메이지 22년) [[이토 히로부미]] 등에게 명하여 일본 최초의 근대적 헌법인 ‘[[일본 제국 헌법|대일본제국 헌법]]’을 제정하였다. 그의 개혁 정책을 연호를 따 [[메이지 유신]]이라 부르며 일본의 근대화를 확립하고 부국강병을 달성한 군주로 평가된다. [[1868년]] [[9월]] 연호를 메이지(明治)로 고치고 일세일원제(一世一元制, 일본의 연호는 천황이 새로 즉위할 때만 바뀔 수 있다는 원칙)를 택하였다. 이에 따라, 그의 재위 기간을 [[메이지 시대]]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그를 높이 평가하여 '''메이지 대제'''(明治 大帝), '''메이지 성제'''(明治 聖帝), '''무쓰히토 대제'''(睦仁 大帝, Mutsuhito the Great) 등으로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그의 탄생일인 11월 3일을 [[문화의 날]]로 제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