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음 (음운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ildong7 (토론 | 기여)
정의 몇 줄에 기반한 자의적 해석을 지양해 주세요.
자의적 해석이 아닙니다
14번째 줄:
|ㅈ 卽<br />{{IPA|[ʦ]}}
|ㅊ 侵<br />{{IPA|[ʦʰ]}}
|ㅉ 慈<br />{{IPA|[ʦ<sup>*</sup>ʦ˭]}}
|&nbsp;
|-
|ㅅ 戌<br />{{IPA|[s]}}
|&nbsp;
|ㅆ 邪<br />{{IPA|[s<sup>*</sup>]}}
|&nbsp;
|}
29번째 줄:
[[중국 음운학]]에서 치음은 [[성모]](聲母, 두자음)를 분류한 오음(五音) 중의 하나이며,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나뉜다.
 
치두음은 음운학의 치음이 아니라 현대 음성학에서의 [[치음]]에 해당된다. 훈민정음 언해에서 '이 소리ᄂᆞᆫ 우리 나랏 소리예셔 열ᄫᅳ니 혓 그티 웃 닛머리예 다ᄔᆞ니라'(이 소리는 우리나라 소리에서 가벼우니 혀 끝이 윗니에 닿느니라)라고 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186&cid=41826&categoryId=41826]</ref> 그리고 현대 음성학의 [[치음]]도 치두음과 똑같이 윗앞니에 혀끝을 대어 조음되는 음<ref>[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696618&cid=41708&categoryId=41711]</ref>이기 때문에 치두음은 현대 음성학의 치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현대 [[음성학]]에 있어서 치두음은 [[치경음|치경]] [[마찰음]], [[파찰음]]에, 정치음은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현대 [[음성학]]에 있어서 치두음은 [[치경음|치경]] [[마찰음]], [[파찰음]]에, 정치음은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줄 41 ⟶ 43:
!rowspan="4"|치음
!rowspan="2"|치두음
|精 ᅎ<br />{{IPA|[ts]}}
|淸 ᅔ<br />{{IPA|[ts&#688;tθʰ]}}
|從 ᅏ<br />{{IPA|[dztθ˭]}}
|
|-
|心 ᄼ<br />{{IPA|[sθ]}}
|
|邪 ᄽ<br />{{IPA|[zθ˭]}}
|
|-
줄 64 ⟶ 66:
*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유성음]] 가운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차탁(次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영성모(零聲母, 두자음 없이 [[모음]]만)을 나타낸다.
* 오른쪽에 쓰인 자모는 훈민정음언해에 나온, 치두음과 정치음을 위한 것이다.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을 보라.
 
== 각주 ==
{{각주}}
 
[[분류: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