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음 (음운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Gildong7 (토론 | 기여)
자의적 해석에 기반한 이유 대신 학술적 문헌을 제시해 주세요. 토론 참고 바랍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토론:치음_(음운학)
31번째 줄:
현대 [[음성학]]에 있어서 치두음은 [[치음|치]]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치두음은 혀끝이 윗 이머리(이끝)에 닫고<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186&cid=41826&categoryId=41826</ref>, 치음도 윗앞니에 혀끝을 대어 조음되는 음<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0069&cid=46674&categoryId=46674</ref>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정치음은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훈민정음의 치음은 치두음과 정치음의 중간이다.<ref>http://kang.cbnu.ac.kr/?mid=hunmin&document_srl=4080&listStyle=viewer&page=2</ref>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치두음과 정치음의 발음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colspan="2"|[[오음]]
줄 42 ⟶ 41:
!rowspan="4"|치음
!rowspan="2"|치두음
|<br />{{IPA|[t​͡θt​s]}}
|<br />{{IPA|[t​͡θ&#688;t​sʰ]}}
|<br />{{IPA|[d͡ðdz]}}
|
|-
|<br />{{IPA|[θs]}}
|
|<br />{{IPA|[ðz]}}
|
|-
!rowspan=2 style="background:#efefef;"|정치음
|<br />{{IPA|[&#680;]}}
|穿<br />{{IPA|[&#680;&#688;tɕʰ]}}
|<br />{{IPA|[&#677;]}}
|
|-
|<br />{{IPA|[&#597;ɕ]}}
|
|<br />{{IPA|[&#657;ʑ]}}
|
|}
 
*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유성음]] 가운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차탁(次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영성모(零聲母, 성모(두자음) 없이 운모([[모음]] 및 음절 말음)만 있는 경우를 이름)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