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대한민국의 생물학자; 예쁘게 바꿈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출생= [[1969년]]
|국적= {{국기|대한민국}}
|본관=연안
|분야= [[생화학, 분자생물학]]
|소속= 기초과학연구원(IBS)/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학력= 옥스퍼드 대학교
|주요 업적=스플라이싱과 RNA 분해의 분자적 연결 고리 규명</br> microRNA 생성경로에 대한 이론 제시</br> Drosha, DGCR8 등 microRNA 생성 인자 동정</br>배아줄기세포에서의 microRNA 조절 규명
|수상=[[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13)]]</br> [[호암상 (2009)]]</br>[[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2008)]]</br>[[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2007)]]</br>[[톰슨사이언티픽사 논문인용상 (2007)]]
}}
 
'''김빛내리'''([[1969년]] [[6월 18일]]~)는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이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이다. 본관은 [[연안 김씨|연안]].
 
== 경력 ==
 
== 학력 ==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 1988 - 1992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학사
* 1992 - 1994 [[서울대학교]] 미생물학 석사
* 1994 - 1998 생화학 박사, [[옥스퍼드 대학교]] 생화학 박사
 
== 경력 ==
* 1988 - 1992 미생물학 학사, [[서울 대학교]]
 
* 1992 - 1994 미생물학 석사, [[서울 대학교]]
 
* 1994 - 1998 생화학 박사, [[옥스퍼드 대학교]]
 
* 1999 - 2001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하워드휴즈메디컬연구소 연구원
 
* 2001 - 2004 서울대학교 생명과학인력양성사업단 연구 조교수
 
* 2004 - 2008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 2006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
 
* 2007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
 
* 2008 - 2013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부교수
 
* 2009 호암 의학상
 
* 2010 - Cell지 편집위원
 
* 2010 - 서울대학교 중견석좌교수
 
* 2010 - 2012 국가과학자
 
* 2011 - EMBO Journal 편집위원
 
* 2012 - Genes and Developments 편집위원
 
* 2012 -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
 
* 2013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2013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 회원
 
* 2014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2014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NAS) 회원
 
* 2014 - Molecular Cell 편집위원
 
* 2015 - Science 편집위원
 
== 생애 ==
 
김빛내리 박사는 microRNA의 생성 경로를 밝힌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microRNA의 생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어 microRNA의 생성인자인 드로셔 (Drosha), DGCR8, RNA 전사효소 II, PACT 등을 동정하였다. 김 박사의 연구는 microRNA를 통한 유전자 및 세포 조절을 이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고, RNA간섭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들어져 줄기세포 유지를 도와주는 microRNA를 발견하였으며, 줄기세포에서 microRNA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microRNA를 발견하여 암생물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br>
 
줄 206 ⟶ 186:
[[분류:1969년 태어남]]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연안 김씨]]
[[분류: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문]]
[[분류:옥스퍼드 대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