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이해된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마음]] 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
 
한편 비정신분석학적 학문들에서 사용되는 무의식 개념은 이와 크게 다르다. 비정신분석학적 학문들에서학문들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서 사용한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것 같은 별개의 영역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따위의 이론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인지과학 등에서의 무의식은 그러한 이론보다는 경험적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루어야 할 대상으로 본다. 예컨대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 사고를 통해서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의식적 자각 바깥에서 자동적, 비의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것을 무의식적 작용이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무의식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기도 한다. 무의식 개념, 특히 정신분석학적프로이트적 무의식 개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비판자로는 [[에리히 프롬]], [[데이비드 스태너드]], [[리처드 웹스터]], [[에단 와터스]], [[리처드 오프셰]], [[에릭 토머스 웨버]], [[존 설]] 등이 있다.<ref name="Baldwin">{{cite book |author=Thomas Baldwin |editor=Ted Honderich |title=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location=Oxford |year=1995 |page=792 |isbn=0-19-866132-0 |oclc= |doi= |accessdate=}}</ref><ref name="Stannard">See "The Problem of Logic", Chapter 3 of ''Shrinking History: On Freud and the Failure of Psychohistory'', published by Oxford University Press, 1980</ref><ref name="Stannard">See "The Problem of Logic", Chapter 3 of ''Shrinking History: On Freud and the Failure of Psychohistory'', published by Oxford University Press, 1980</ref>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