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조선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 개요 ==
=== 언어 규범 ===
중국조선말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조선)의 언어에 규범의 토대를 두어 온 경위로, 중국조선말의 언어 규범은 모두 북조선의 규범([[조선말규범집]] 등)과 거의 동일하며, [[1992년]] 한중수교 이후에는 [[대한민국]]으로부터 진출한 기업이나 한국어 교육 기관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남한식 한국어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 지역 차이 ===
현실적으로 [[조선족]] 사이에서 사용되는 조선어는 균질적인 것이 아니라 아주 다양하다.
*동북(함경도) 방언 : [[지린 성|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헤이룽장 성|흑룡강성]] [[무단장|목단강]] 시 등. 연변의 두만강 연안 동부 지역은 육진 방언이다.
*서북(평안도) 방언 : [[랴오닝 성|료녕성]] 중부,동부;[[지린 성|길림성]] 남부.
*[[동남 방언|동남(경상도) 방언]] : [[
중부 방언과 서남(전라도) 방언은 큰 사용 지역이 없고 동북 각성에 산재하고 있다. 중부 방언 지역으로서 [[길림성]] 유하현 강가점향 경기둔(吉林省 柳河県 姜家店郷 京畿屯)을 들며, 서남 방언 지역으로서 [[길림성]] 교하현 천북향 영진촌(吉林省 蛟河県 天北郷 永進村)을 들 수 있다.<ref>{{lang|zh|宣德五}}・{{lang|zh|金祥元}}・{{lang|zh|赵习}}(1985)“{{lang|zh|朝鲜语简志}}”,{{lang|zh|民族出版社}}</ref>제주방언등 다른 방언의지역은 형성되지 않았으나
== 특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