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98번째 줄:
 
=== 시스템이론 ===
시스템이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기능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시스템은 목표,구조,기능이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조직을 이해하는 이론이 바로 시스템이론이다.
[[시스템]]이란 일정한 규범 내에서 다양한 분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통합체로서 과업을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ref>{{저널 인용|성1=강|이름1=일규|제목=일반시스템이론에 근거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수립 모형 개발|저널=직업능력개발연구|날짜=2002.12|권=제5권|호=2호|쪽=6쪽}}</ref> 이런 시스템의 등장은 일찍이부터 학자들의 관심을 이끌었고 이러한 관심은 1930년대 시스템이론이라는 학문의 창시로 이어졌다.
 
'''시스템이론(Systems theory)'''은 오스트리아 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칼 루드비히 폰 베르탈란피(L. von Bertalanffy, 1901년 9월 19일 ~ 1972년 6월 12일)라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생물학자에게 창시되었다. 베르탈란피는 1930년대 생물학에 대하여 연구 중 기존의 분석적 접근법에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분석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베르탈렌피는 여러 학문분야들 중 어느 한분야만을 이해해서는 어떠한 분야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여러 학문분야를 통합하여 이해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와 연구의 틀을 찾기 시작했다.<ref>{{서적 인용|성1=김|이름1=영재|제목=조직행동론|날짜=2007|출판사=무역경영사}}</ref> 그 과정속에서 시스템이론이 탄생하였다. 이렇게 등장한 시스템이론은 기존의 분석법과는 달리 변화하는 현상들 중에서 각각의 실체에 대해 집중하는 대신 변화하는 것들의 상호작용에 집중함으로서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했고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모든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ref>{{서적 인용|성1=서|이름1=상원|제목=경영조직론|날짜=2009|출판사=이담}}</ref> 따라서 일반시스템이론은 종합과학적인 성격을 지닌다. 베르탈란피는 본인의 저서 ‘일반시스템이론 (General system Theory)’에서는 살아있는 유기체를 시스템의 한 예로 설명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생물학적 은유를 확산시켰다.<ref>{{저널 인용|제목=General System Theory: Foundations, Development, Applications, revised edition|저널=NY: George Braziller|성=L.. V. Bertalanffy|이름=|url=|날짜=1976|출판사=}}</ref> 이처럼 조직을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 보는 관점은 조직을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면서 존재하는 개방체계로 보며 , 조직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 하위시스템들은 서로 상호의존성을 지닌다고 본다.
 
줄 357 ⟶ 356:
|}
 
이렇게 2가지유형으로 나눌수있지만 인간이 있는곳에는 어디든 환경이 있기 때문에 폐쇄시스템의 실제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폐쇄시스템은 연구목적, 예를 들면 질병에 대한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에서 실시하는 무균실 실험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론적 관점에서 조직을 개방체계로 봄에 따라 시스템이론에서는 주로 개방시스템에 대해서 다룬다. 개방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ref name=":4" />
 
(1) 하위시스템 간의 상호의존성과 조화- 시스템은 그 내의 부분적 개체들끼리 서로 연결되고 조화되면서 조직 전체의 목표달성을 위해 움직인다. 따라서 어느 한 부분의 변화는 그 부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