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토론 | 기여)
잔글 심영 -> 심영 (배우)
(토론 | 기여)
잔글 →‎생애: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14번째 줄:
신파극의 전형적인 소재인 가정 비극을 통속적인 방법으로 풀어내는 임선규의 작품은 자연스러운 일상적 대사와 기교적 구성, 관객을 울리는 처절함이 특색이며, 한국적 멜로드라마의 전형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들을 만큼 영향력이 컸다. 그의 연극은 지방 공연될 때 몰려드는 관객 때문에 배우들이 묵을 숙소가 없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조선총독부]]가 주최하는 연극 경연 대회에 작품을 출품하여 일제에 협력하는 활동을 했다. 조선총독부가 친일 연극 단체로 결성시킨 [[조선연극문화협회]]의 이사를 맡았으며, 지원병 제도를 찬양하는 《동백꽃 피는 마을》을 발표하고 관제 연극경연대회에는 《빙화》, 《꽃피는 나무》, 《상아탑에서》를 잇따라 출품했다. [[2005년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광복 후 [[남로당]] 계열에서 활동하였으나 [[김두한]]에 의한 [[심영 (배우)|심영]] 테러가 공공연히 자행되는 등 활동이 불가하게 되자, [[1948년]] 부인 문예봉을 뒤따라 월북했다. [[북조선]]에서의 활동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일찍부터 앓고 있던 [[폐결핵]]으로 인해 [[1970년]]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문예봉과는 달리 북조선의 문예사 기술에서 임선규의 존재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