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기원전 5세기 중국 사람
S.woo (토론 | 기여)
잔글 →‎철학: 인의예지는 후대에 맹자가 도입한 개념. '인'으로 수정
151번째 줄:
[[파일:LifeAndWorksOfConfucius1687.jpg|thumb|left|130px|1687년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에 소개된 공자의 일대기인《공자생활의 성취》의 일부, Prospero Intorcetta 저]]
 
공자의 군자교육(君子敎育)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인의예지'였다이였다.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仁)'은 하나의 문장으로서 명백히 개념이 규정되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박애]],도(道),덕,선 등의 뜻을 지니고 있는 심오한 [[휴머니즘]]으로서, 정치적으로는 이름을 바르게 하고, 이에 따라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책임과 본분을 다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사회 생활에 있어서는 자기의 도리를 다하고<ref>진기(盡己)</ref> 남을 부축하며<ref>추기(推己)</ref>, 내가 싫은 것은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롯한 여러 가지 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을 지향하고 예에 정진하는 사람이 군자요, 그렇지 못한 사람은 소인으로 규정했다. 군자가 덕을 생각할 때 소인은 이익만을 생각하며, 군자가 보편적임에 비하여 소인은 상대적이라고 역설, 인간을 인간적으로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