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Ityoppyawit (토론 | 기여)
Ityoppyawit (토론 | 기여)
26번째 줄:
 
== 품종 ==
* '''[[조선무]]''' – "무"라고 했을 때 보통 [[조선무]]를 일컫는다. [[조선무|복지무]], [[조선무|둥근무]]로도 부른다. 둥글고 단단하며 윗부분이 푸른 무로, 깍두기나 김치 용으로 재배한다. 주요 품종으로는 진주대평무·중국청피무·용현무·의성반청무 등이 있다.<ref name=":1">{{웹 인용|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911|제목=무|성=박권우|웹사이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확인날짜=2016-12-19}}</ref>
한국 무는 중국을 통하여 들어온 재래종과 중국에서 일본을 거쳐 들어온 일본무 계통이 주종을 이룬다. 재래종에는 진주대평무·용현무·의성반청무 등이 있으며, 깍두기나 김치용으로 많이 쓰인다. 뿌리줄기는 7-8㎝, 뿌리길이는 20㎝ 정도이고, 무게는 800g 정도이며 재배기간은 약 3개월이다. 이 밖에도 서울봄무가 있으며, 이를 개량한 대당봄무가 육종되어 많이 재배되고 있다. 일본무는 주로 단무지용으로 재배되며, 대표적인 품종으로 미농조생무·청수궁중무가 있다. 서양무에는 파종 후 약 20일이면 수확이 가능한 20일무, 40일이면 수확하는 40일무 등이 있다. 전체적으로 회갈색인 검정무도 있으며, 약용으로 서양에서 주로 쓰인다.
* '''[[왜무]]''' – [[왜무|남지무]], [[왜무|긴무]], [[왜무|단무지무]], [[왜무|일본무]]로도 부른다. 조선무보다 수분이 많으며 몸이 희고 긴 [[왜무]]로는 [[단무지]]를 만든다.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미농조생무·청수궁중무 등이 있다.<ref name=":1" />
* '''[[열무]]''' – 어린 무이다. 재배 기간이 짧아서 1년에 여러 번 재배할 수 있다. 주로 김치를 담가 먹으며, 물냉면이나 비빔밥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 '''[[총각무]]''' – [[총각무|알타리무]]로도 부른다. 뿌리가 잔 무로, 무청째로 김치를 담근다.
* '''[[게걸무]]''' – 일반 무보다 수분함량이 적어 더 단단하며, 매운맛도 더 강하다.
 
== 재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