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두만강'''(豆滿江,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ᡨᡠᠮᡝᠨ<br />ᠰᡝᡴᡳᠶᡝᠨ}}|투먼 서키얀}}, {{Zh|s=图们江|t=圖們江|p=Túmenjiāng|h=투먼장}}, {{llang|ru|Туманная|투만나야}})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룬다.
 
== 지리 ==
두만강은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홍토수]](紅土水)를 원류로, [[석을수]](石乙水), [[홍단수]](紅端水), [[서두수]](西頭水), [[훙치허|홍기하]](紅旗河), [[해란강]](海蘭江), 가야하(嘎呀河, 알아하), 훈춘하(琿春河)등의 지류와 합쳐져 [[동해]]로 흘러드는 547 ㎞([[서두수]]의 발원지부터는 610 ㎞)의 강이다.
 
남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와 [[함경북도]]에 속하고, 북쪽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이다. 강의 [[하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특별시]]와 [[러시아]] [[하산스키 군]] 사이의 국경이다.
 
== 명칭 ==
두만강은 두만(豆滿), 도문(圖們) 외에도 역사적으로 두만(豆漫, 豆慢), 도문(徒門), 통문(統門), 토문(土門) 등으로 불리었는데, 이는 만주어의 음역에서 비롯된 것이다. '두만'의 원래 뜻은 [[만주어]]로 '만(萬)'을 뜻하는 투먼(tumen)에서 유래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4081800209103001&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34-08-18&officeId=00020&pageNo=3&printNo=4920&publishType=00010 관북행 <6> - 관북명물·소·처녀] 동아일보, 1934.8.18.<br> 기사 본문 중 : "대저 두만이란 [[여진]]말로 만(萬)이라는 뜻인데, 두만강에는 만(萬)이나 되는 [[지류]]가 모여서 흐른다…"</ref>
 
== 녹둔도 ==
{{본문|녹둔도}}
두만강 [[하구]]에는 [[15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 [[조선]]의 영토였던 [[녹둔도]](鹿屯島)가 있었다. 녹둔도는 약 4 ㎢<ref>{{뉴스 인용|제목=못박힌 철조망 앞에서 간도·녹둔도를 기억하다. |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0051742585&code=210000 |출판사= 경향신문 |저자= 이이화 |날짜=2009-10-05}}</ref><ref>녹둔도의 면적이나 크기는 기록마다 제각각이다. 현재 [[러시아]]는 두만강 [[하구]] 32㎢를 군사지역으로 설정하고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데, 이 땅 전부를 녹둔도로 보는 견해(서울대 이기석 교수)도 있다. 동아일보(2004.6.10) 아래 기사.</ref>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두만강 하류의 섬으로, 이 섬은 두만강의 퇴적작용에 의하여 [[18세기]]<ref>[http://news.donga.com/3/all/20040610/8070989/1 영토분쟁 현장을 가다 <10> 잊혀진 섬 녹둔도] 동아일보, 2004.6.10</ref>에 [[연해주]]와 연륙(連陸)되어 육지가 되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연해주]]를 차지한 [[러시아]]는 연해주에 붙은 녹둔도까지 점령하였다.
 
== 각주 ==
{{각주|2}}
{{위키공용분류|Tumen River}}
22번째 줄:
 
[[분류:두만강| ]]
[[분류:한국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
[[분류:러시아의 강]]
[[분류:량강도의 지리]]
[[분류:함경북도의 지리]]
[[분류:러시아의 강]]
[[분류:지린 성의 강]]
[[분류: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경]]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국경]]
[[분류:아시아의 국제 하천]]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