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토론 | 기여)
잔글 유학 -> 유교
18번째 줄:
[[조선 태조|태조]]는 즉위하자마자 관제를 제정했는데, 이때 경연관도 늘렸다. 하지만 경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비공식적으로 《대학연의》를 진강토록 했던 것이 경연의 역할을 대신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태종의 뒤를 이은 [[조선 정종|정종]]은 경연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는데, 태조의 양위 바로 이틀 후에 경사에서 국사에 관련된 것을 가려 모으게 지시했고, 지사 하윤(河崙)등에게 명하여 “《사서(四書)》를 관람하고자 하니 구절(句節)에 점(點)을 쳐서 바치라.”<ref>《태조실록》 권15 태조 7년 9월 17일 기축(己丑)일 조</ref>고 지시하는 등 초기부터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또한 정종은 당시 세자이던세제이던 [[조선 태종|정안군]](靖安君:이방원)에게 양위하기 한달 여 전의 경연에서 “[[노자]]와 신선(神仙)의 도를 말하여” 달라고 청하는 것<ref>《정종실록》 권6 정종 2년 10월 3일 갑오(甲午)일 조</ref>으로 보아 이미 그 시기를 전후로 하여 양위의 뜻을 가지고 있음을 내비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종은 즉위 초에는 사관(史官)의 경연 입시를 거부했지만<ref>《태조실록》 권15 태조 7년 12월 9일 신해(辛亥)일 조</ref> 문하부(門下府)에서 사관의 입시를 재차 청하자, 입시를 윤허하여 비로소 사관이 경연에 입시하게 되었다<ref>《정종실록》 권1 정종 원년 1월 7일 무인(戊寅)일 조</ref>. 이때부터 사관의 입시를 통해 조선의 경연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조선 태종|태종]]은 세자시절세제시절 《[[주역]]》<ref>《정종실록》 권4 정종 2년 5월 17일 신사(辛巳)일 조</ref>, 《대학연의》<ref>《정종실록》 권4 정종 2년 6월 20일 계축(癸丑)일 조</ref> 등을 강독하였다. 즉위 후에도 경연에서 《대학연의》의 진강을 잘 한 권근(權近)에게 음식을 내리는<ref>《정종실록》 권6 정종 2년(태종 즉위년) 11월 13일 계유(癸酉)일 조</ref> 등 잠깐 활동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경연을 게을리 하였다<ref>《태종실록》 권28 태종 14년 8월 17일 정사(丁巳)일 조, 권1 태종 원년 3월 23일 임오(壬午)일 조, 권3 태종 2년 6월 18일 경오(庚午)일 조, 권5 3년 3월 3일 경진(庚辰)일 조, 권20 10년 10월 29일 임술(壬戌)일 조, 권28 14년 8월 17일 정사(丁巳)일 조</ref>. 또한 태종 6년의 경연에 나아갔다는 기록<ref>《태종실록》 권11 태종 6년 5월 2일 신묘(辛卯)일 조</ref> 이후 실록에서 경연에 대한 기사는 존재하지 않아 이 시기를 전후로 경연을 실질적으로 폐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종은 세자로 책봉되자 서연을 열게 되고<ref>《태종실록》 권35 태종 18년 6월 20일 기해(己亥)일 조</ref>, 책봉 두 달 만에 태종이 양위함에 따라 보위에 오른다. 이후 [[집현전]]을 설치하는 등 경연에 관심을 보였으나, 말년에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경연을 열지 않게 되었다. 다만 이때는 경연을 대신하여 서연을 중시하였다.<ref>《세종실록》 권100 세종 25년 6월 23일 병오(丙午)일 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