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번째 줄:
 
최근에 철학적 질문에서 [[소크라테스]]부터 현대 [[언어 철학|언어 철학자]]까지 기본적 도구로서 사용된 직관에 대하여 의문을 던지고 있다. 리싱크 인투이션(''Rethinking Intuition'')<ref>''Rethinking Intuition: The Psychology of Intuition and its Role in Philosophical Inquiry '',(Studies in Epistemology and Cognitive Theory)
Michael DePaul , William Ramsey (Editor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8) [//en.wikipedia.org/wiki/Special:BookSources/0847687961 ISBN 0-8476-8796-1]; [//en.wikipedia.org/wiki/Special:BookSources/9780847687961 ISBN 978-0-8476-8796-1]</ref>에서 다양한 사상가들은 지식에 대한 유효한 원천으로서의 직관을 폐기하고 [[아 프리오리와 아 포스테리오리|아 프리오리]]한 철학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실험 철학은 영속적인 철학적 질문을 해겨하기해결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경험적 연구를 이용하는 철학적 연구의 한 분야이다. 이는 철학자는 자신의 직관에 호소하여 이러한 직관을 전제로 논증을 형성하는 [[분석 철학]]에서 성립된 방법론과는 대조적이다.<ref>Knobe (forthcoming).</ref> 그러나 경험적 철학에 대한 반대는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몇몇 철학자는 경험적 철학에 대해 비판하기도 한다. 실험 철학자에 의해 수집된 경험적 데이터는 철학적 직관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심리적 과정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ref>Knobe, J. and Nichols, S. (eds.) (2008) ''Experimental Philosophy''] §2.1, {{OCLC|233792562}}</ref>
 
== 각주 ==